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세를 이루던 친명의 물줄기가 거꾸로 흐르기 시작했다. 역사의 물꼬를 돌려버린 것이다. 친명파를 숙청한 이인임은 어린 우왕을 용상에 앉혀놓고 국정을 농단 했다. 출생에 의혹을 안고 있는 우왕이기에 오히려 요리하기가 용이했다. 정적 경복흥을 문하시중에서 끌어내려 터무니없는 누명을 씌워 처단하고 문하시중의 자리에 오르자 안하무인이었다.

@BRI@문하시중은 조선시대로 말하면 영의정이다. 일인지하만인지상(一人之下萬人之上)의 자리다. 하지만 이인임에게는 일인지하(一人之下)도 없었다. 용상에 앉아있는 왕도 자신이 부릴 수 있는 허수아비로 생각했다. 그러니 령(令)이 설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왕명도 예외일 수 없었다. 오로지 이인임의 령(令)만이 세상을 지배했다.

우왕은 공민왕의 아들이라고 왕위에 오르긴 하였지만 요승 신돈의 시녀 반야의 몸에서 태어나 모니노(牟尼奴)라는 이름으로 궁 밖에서 자랐다. 이인임이 우습게 볼만도 하다. 그걸 모르고 옹립한 것도 아니다. 우왕이 공민왕의 아들이던 신돈의 아들이던 그것은 이인임에게 중요하지 않았다. 자신의 권력 학장만이 눈에 보일뿐이다.

자신의 사리사욕과 자파의 세력 축성이면 국가의 명운이 어떻게 흘러가던 그것은 알바 아니었다. 지엄하신 임금님이 백성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며 조롱거리가 되는 것이 자신에게는 유리했다. 문하시중을 꿰차고 국정을 주무르기에는 흠집이 있는 우왕이 요리하기에 편하다고 생각하여 일부러 선택한 인물이 우왕이다.

신돈의 시녀 몸에서 태어난 아이, 누구의 아들?

공민왕이 죽자 명덕태후(明德太后)와 문하시중 경복흥은 왕씨 종친 중에서 새로운 임금을 옹립하기를 희망했다. 공민왕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아이가 있었지만 출생에 하자가 있어 왕위를 이어가기에는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인임은 자파의 세력을 등에 업고 우왕 옹립을 밀어 붙였다.

이인임의 세에 밀리자 명덕태후는 묘안을 생각해냈다. 요승 신돈의 시녀 반야의 몸에서 태어나 출생의 비밀이 아리송한 아이를 왕좌로 맞아들이려면 연극을 하기로 한 것이다. 이렇게 선택된 것이 궁인 한씨였고 반야의 아들이 한씨의 아들로 위장하여 궁으로 들여오면서 우(禑)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이러한 우여곡절을 거쳐 왕위에 오른 사람이 우왕이다.

명덕태후로서는 자존심 상하고 체면이 말이 아니었지만 달리 방법이 없었다. 아들을 낳지 못한 것이 한스러웠지만 왕실의 안위와 체면을 생각해서 궁여지책으로 선택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백성들은 바보가 아니었다. '우왕은 공민왕의 아들이 아니라 신돈의 자식이다'는 소문이 도성에 파다하게 퍼져나갔다. 권문세족들에게 핍박받던 백성들의 민심이 흉흉했다.

이럴수록 이인임은 쾌재를 불렀다. 우왕이 궁지에 몰릴수록 문하시중 이인임에게 매달리기 때문이다. 약점 많은 어린 우왕을 손아귀에 넣고 쥐락펴락했다. 말 그대로 안하무인이었다. 닥치는 대로 정적을 베고 눈에 보이는 대로 재물을 빼앗았다. 임금에게도 오만방자하기 이를 데 없었다. 문하시중에 시달린 우왕은 점점 국정을 멀리하고 황음에 빠졌다.

견제 받지 않은 권력을 휘두르던 이인임은 외교문제도 야기했다. 고려에 와있던 명나라 사신이 공민왕 살해사건을 자신에게 불리하게 본국에 보고하려 한다는 정보를 입수한 이인임은 호송관 김의로 하여금 명나라 사신이 돌아가는 중간에 살해하여 자신의 과오를 은폐하고 원나라에게 잘 보이려는 흉계를 꾸미기도 했다.

우리의 땅을 내놓으라니, 한판 붙어? 아니면 순순히 내줘?

친명정책을 견지하던 정몽주, 정도전 등을 제거한 이인임은 지윤, 임견미, 염흥방 등 자신의 충복을 요직에 앉혀 매관매직을 일삼았다. 전국에 걸쳐 토지를 수탈하고 수많은 노비를 손아귀에 넣었다. 뇌물만 던져주면 중죄인도 옥에서 풀어주며 국법질서를 어지럽혔다.

권신세력을 바라보는 백성들의 원성이 비등점을 향하여 치솟고 있었다. 최영장군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을 간파한 이인임은 병을 핑계로 사직하고 물러났다. 이인임에 이어 문하시중에 오른 최영은 만신창이가 된 조정을 수습하고 흐트러진 민심을 추스르기에 여념이 없었다.

난신들의 발호에 국정은 난맥상을 드러내고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져 가는데 청천벽력과도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명 태조 주원장이 철령 이북의 땅을 내놓으라는 것이다. 원나라에 속했던 땅이므로 대륙의 주인이 바뀌었으니 이제는 명나라에 귀속시켜 철령위(鐵嶺衛)를 세울 것이라는 계획이 명나라를 다녀온 설장수에 의해 알려진 것이다.

고려조정이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 들었다. 묵과할 수 없다는 강경세력과 화의하자는 세력으로 갈렸다. 이색의 의견을 쫒아 우선 명나라에 밀직제학 박의중을 사신으로 파견했다. 철령 이북의 영흥과 함흥, 그리고 공험진까지 고려의 영토임을 밝히고 철령위 설치를 중지해줄 것을 요구했다. 한편 조정에서는 군대를 모아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철령(鐵嶺)이란 백두대간을 따라 남으로 내려오던 국토의 등허리가 서쪽으로 풍류산과 동남쪽으로 장수봉을 만나 영마루를 이룬 곳이 철령이다. 함경도 안변 신고산면과 강원도 하북을 가르는 경계선이며 관북지방과 관동지방을 구획 짓는 꼭지점이다. “신고산이 우르르르 함흥 차 떠나는 소리에...”로 시작하는 신고산타령의 본고장이다.

명나라는 고려의 요구를 일축했다. 오히려 요동 관리 왕득명을 보내 철령위를 설치하겠다고 통보해온 것이다. 때맞춰 서북면도안무사 최원지의 급보가 개경에 날아들었다. 요동의 도사(都司)가 강계에 철령위를 설치하고, 요동에서 철령까지 70개의 역참을 설치하려 한다는 사실을 보고한 것이다.

대륙의 패권자 원나라를 몽고라는 구석으로 밀어붙인 명나라가 고려가 실제적으로 지배하고 있던 철령 이북의 땅을 내놓으라는 것이다. 원나라가 지배했던 땅이니 이제는 명나라가 지배해야 한다는 어처구니없는 요구였다. 실제적 지배를 무시한 명나라의 논리대로라면 발해와 고구려의 고토를 돌려줄 수 있단 말인가

과거의 역사는 오늘의 거울이다

동북공정이 벌어지고 있는 현재에도 되짚어볼 문제다. 여기서 잠깐 영토문제와 외교 문제가 불거져 나왔으니 이인임 문제를 짚고 넘어가야겠다. 이른바 종계변무(宗系辨誣)다. 명나라 태조 주원장을 기록한 명나라의 역사서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자신들의 실수로 조선의 태조 이성계가 이인임의 아들로 기록되는 오류가 발생했다.

이것을 발견한 조선 조정에서는 명나라에 사신을 보낼 때마다 정중하게 정정을 요구했으나 명나라는 들어주지 않았다. 우리가 잘못한 것도 없는데 머리를 조아린다는 것이 기막힌 노릇이다. 자신들의 실수로 야기된 명백한 오류임에도 정정은커녕 그것을 조공국을 길들이는데 역이용했다.

조선 초기와 중기를 거치면서 명나라에게는 조선을 압박하는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조선에게는 굴욕의 멍애로 작용했다. 조선과 명나라 사이의 외교 현안으로 끈질기게 작용했던 종계변무는 명나라 왕조가 기울어 청나라에 패망하기 48년 전, 즉 1588년 선조 대에 와서야 비로소 정정되었다.

실로 200년 이상을 우려먹고 자신들의 실수를 사과는커녕 무슨 시혜나 베푸는 것처럼 정정해주었다. 강대국과 동등한 관계가 아니라 사대하는 약소국의 설움이다. 중국이 지금 현재 추진하고 있는 동북공정을 마무리하여 고구려사를 중국변방사로 편입해놓고 통일 후 한국에 대하여 어떠한 흉계를 꾸밀지 걱정이다.

종계변무가 마침표를 찍는데 200년이 걸렸듯이 중국사에 편입된 고구려사를 우리의 역사로 되찾아 오는데 몇 백 년이 걸릴지 아무도 모른다. 광개토대왕을 자신들의 변방을 다스렸던 왕으로 폄훼하는 중국의 시각이 우리에겐 어처구니없지만 중국은 중국의 시각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책동을 사전에 저지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의 행간에서 진실(眞實)을 캐는 광원. 그동안 <이방원전> <수양대군>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소현세자> <조선 건국지> <뜻밖의 조선역사> <간신의 민낯> <진령군> <하루> 대하역사소설<압록강>을 펴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