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날 가까이 이어지는 축제 기간 모든 하루의 끝은 마을 광장에서 벌어지는 춤판이다. 통상 저녁 열 시쯤 시작된 춤판은 다음 날 자정을 훌쩍 넘기고 새벽을 향해 갈 즈음 마무리된다. 부부끼리, 친구끼리, 이웃끼리, 형제끼리, 혹은 모르는 사람들끼리도 어우러져 춤을 춘다. 특별한 실력도 필요 없다. 그저 음악에 맘껏 몸을 흔드는 막춤이면 충분하다. 아, 비가 와도 춤판은 벌어진다. Gobierno Municipal Cuauhtemoc 페이스북
축제가 시작되었다.
이 말은 곧, 한 해가 다 갔다는 의미다. 적어도 내가 사는 멕시코 어느 작은 시골 마을에서는 그렇다.
10월 8일 시작된 축제는 장장 스무 날 가까이 지속된다. 10월 말쯤 우리 마을 축제가 끝나면 주 전체 축제가 이어진다. 그러다 보면 12월이다. 이즈음 나라 전체가 축제에 들어간다. 멕시코 신앙의 어머니 격인 과달루페 성모 축일이 12월 12일이다. 성모 축일 앞뒤로 최소 열흘 씩, 나라 전체에 축제가 이어진다. 축제의 연속이다.
크리스마스트리는 이미 지난 9월부터 판매와 함께 장식이 시작되었다. 대형 마트에서도 9월이 되기 전 크리스마스트리 판매 부스가 자리를 잡았다. 어쩌면 지난 9월부터 이미 한 해가 다 가버렸음을 알리는 신호였을 것이다. 그나마 아직도 내 마음 어디쯤 쟁여 둔 '한국인의 마인드'가 조금이라도 남아 있기에 9월을 놓치고 이제야 한 해가 다 갔음을 실감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생의 마지막 날인 것처럼
일단, 지금은 당장 우리 마을 축제가 무르익어가고 있는 중이다. 그러니 11월에 있을 주 전체 축제나 12월 초 과달루페 성모 축제는 아무래도 너무 먼 미래다. 사람들은 오직 '지금'을 충실하게 살아간다. 마치 오늘이 생의 마지막 날인 것처럼, 어쩌면 내일은 오지 않을 것처럼. 통상 새벽 다섯 시 반에 시작되는 축제는 당일을 넘겨 다음 날 새벽 한 시나 두 시쯤 마무리 된다. 그리고 잠시 눈을 붙이고 나면, 다시 새벽 다섯 시 반, 어김없이 마을 곳곳에서 쏘아 올려지는 축포 소리와 함께 또 다른 하루의 축제가 시작된다. 성당의 종소리는 평소와 달리 큰 종, 작은 종, 중간 종까지 모두 동원된다. 종 줄 잡는 이들이라고 축제에 취하지 않을 리 없어 은은해야 할 종소리가 팔랑팔랑 펄쩍펄쩍 널을 뛴다.
깜깜한 새벽이지만 엄청난 양의 폭죽과 널뛰는 성당의 종소리들이 어우러지면, 더 이상 잠을 청할 수가 없다. 폭죽 소리에 제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명들은 마을의 개들이다. 폭죽이 터질 때마다 작정하고 짖는다. 개들뿐이겠는가? 들판에 널린 소들과 말들도 정신없이 울어 젖힌다. 흥에 겨워 울어대는 것인지, 괴로워서 울어대는 것인지는, 사실 잘 모르겠다.
그나마 개들과 소들과 말들의 소리라면 참아줄 텐데, 나귀들. 아, 정말이지 나귀들은 대책이 없다.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마지막 줄에 나오는 표현처럼 나귀들은 응앙응앙 울어댄다. 그런데 그 소리는 족히 기차 화통 소리의 데시벨과 맞먹는다. 울음인지 웃음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나귀들의 소리는, 들어본 사람만이 안다. 그 놀라 자빠질 만큼의 우렁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