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4월 25일(현지시간)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워싱턴DC 미국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참석자들에게 착석을 권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사회도 이를 환영해야 하는가? 한국의 주요 언론들은 행여나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 정책으로 인해 한국 초국적기업들이 미국이나 기타 경쟁국들의 기업보다 우호적인 대우를 받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우려를 나타내며 한국 정부가 해외로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을 더 잘 지원하라고 촉구한다. 더 놀라운 것은 한국 정부의 태도다. 현 정부의 대통령은 한미일 안보 강화를 지속적으로 선전하면서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를 더 촉진하는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2023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이 동맹국의 상호이해를 파괴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반면 한국 정부는 미국이 한국 기업들로 하여금 미국 투자를 촉진하는 것에 대해 어떤 우려도 표명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이를 부추기고 있다.
2023년부터 해외 자회사가 국내로 보내는 배당에 대해 비과세하도록 법인세법을 개정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여야가 합심해서 추진하는 내용이다. 이는 국내 기업들의 해외투자를 더욱 촉진할 것이다. 해외법인으로부터 들어오는 소득이 비과세되기 때문이다.
생산의 현지화는 국내 기술의 이전을 포함한다. 생산공정, 엔지니어 교육, 노동력 훈련 등에서 그렇다. 이를 통해 공정혁신 역량과 암묵지가 해외로 이전된다. 초기 해외직접투자는 경쟁력이 없는 생산시설을 역외로 이전하는 것이었지만 2000년대 이후 정보통신기술 등이 발전하자 연구개발의 외주화, 연구개발을 위한 역외 투자도 증가했다.
그러나 잘 알려져 있듯이 1990~2010년대 미국, 유럽 기업들의 역외 투자는 이들 국가에서 탈산업화를 초래했고, 제조 역량을 약화시켰다. 더불어 국가 경쟁력도 크게 하락시켰다. 이에 대한 성찰이 제조업 회귀 정책이나 인근 지역-국가로 유치하는 정책이다. 바이든은 이를 공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국이라고 해서 생산 현장 역외 이전과 제조업 경쟁력 약화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누구도 말할 수 없다. 한국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서 여전히 제조업 비중이 매우 크고 다른 국가들에서 포기한 전통적인 산업(조선, 철강, 석유화학, 기계산업 등)에서조차 강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제품 수요의 많은 부분들은 해외에서 이뤄지고 있고(수출 의존), 국내의 수요 기반은 부재하며, 장기적으로 인력공급마저 불투명한 측면이 있다. 지정학적, 지경학적 갈등이 심화하고 무역장벽이 더 강화하면 수출마저도 어렵게 된다. 여러모로 한국의 초국적기업들이 해외에 나갈 유인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대해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는 것은 향후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남종석 / 공공과학기술연구노동조합 정책위원(소셜 코리아 자문위원)
남종석
필자 소개 : 이 글을 쓴 남종석 박사는 공공과학기술연구노동조합 정책위원이며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재직중입니다. '소셜 코리아' 자문위원이기도 합니다. 한국 제조업 산업생태계, 지역불균등 발전, 제조업의 탈탄소화와 그린뉴딜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