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내가 만난 아프리카>는 홀로 배낭 하나 달랑 둘러메고 '김삿갓'처럼 아프리카 대륙을 76일간 돌아다닌 기록입니다.

에티오피아에서부터 시작해 케냐-우간다-콩고-르완다-탄자니아-(잔지바르)-말라위-모잠비크-짐바브웨-잠비아-보츠와나-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나미비아를 거쳐 마다가스카르까지 14개국을 6월 12일부터 8월 26일까지 다녀왔습니다. 아프리카 동부에서부터 내려와 남부 끝까지 가는 긴 여행이었습니다.

나의 여행기는 아프리카 여행을 꿈꾸는 누리꾼들과의 공유도 있지만, 사실 먼 훗날 나와의 추억대화를 위한 이야기 거리로 남겨놓는 것입니다. 혼자 떠난 아프리카 배낭여행의 경험은 내가 어려울 때 나를 뒤에서 밀어주는 보이지 않은 힘이 되어 줄 것이고, 먼 먼 훗날 인생을 참 즐겁게 살았다는 삶의 소중한 추억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기자 주>


▲ 세렝게티 초원에서 평화로이 풀을 뜯고 있는 얼룩말 떼
ⓒ 김성호
대학을 마무리하던 4학년 여름방학 때 텐트를 넣은 배낭을 메고 혼자 훌쩍 떠났다. 문득 내가 살고 있는 우리나라를 누비고 싶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그때는 아직 해외여행이 자유화 되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여행은 느낌이 올 때, 필이 꽂힐 때 바로 떠나는 것이다. 느낌은 오래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행은 떠나는 자의 몫이다. 지리산과 해인사, 덕유산, 동학사 등 우리나라의 서부쪽을 종단하는 배낭여행이었다. 나 혼자 떠난 졸업여행이었다. 우리의 산과 바다와 강, 마을이 그렇게 아름다울 수 없었다. 여행은 그렇게 나를 일깨운다.

언젠가 나는 배낭하나만을 메고 세상을 떠돌아다니는 방랑자가 되리라 꿈꾸었다. 해외여행이 자유화되면 제일 먼저 아프리카로 달려가야겠다고 다짐했다. 사자와 얼룩말이 뛰어노는 초원에서 마구 달리고 싶은 어린시절의 꿈과 제국주의 희생양으로 갈기갈기 찢겨진 대륙을 해방시키겠다는 게바라의 혁명열정이 어린 아프리카는 늘 꿈의 대상이었다.

영화 <말아톤>과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BRI@어느 날 오랫동안 잊혀졌던 아프리카의 꿈이 다시 나타났다.

"아프리카에 있는 세렝게티 초원은 지구상에 얼마남지 않은 야생동물들의 천지입니다…. 기나긴~ 건기가 끝나고 드디어 세렝게티 초원에 우기가 왔습니다…세렝게티 초원에 비가 내리면, 얼룩말이 뜁니다."

자폐아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그린 영화 <말아톤>이 하루하루의 삶에 쫓겨 가는 사회생활 속에서 뒷전이 되어버린 꿈을 다시 일깨운다. 나의 가슴은 다시 뛰고 있었다.

아프리카 초원에서 얼룩말과 달리기를 하겠다는 나의 어릴 적 꿈은 <말아톤>의 주인공 '초원'이에게 그대로 옮겨져 있다. 주인공 '초원'이에게 달리기는 자유이자 해방이고, 평등이다. 달리기를 할 때 가장 행복하고, 장애와 비장애를 초월한다.

아프리카 초원에서 마음껏 뛰어다니는 얼룩말은 '초원'이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면서 꿈이자 이상이다. '초원'이와 얼룩말이 아프리카 초원에서 같이 달릴 때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뛰어넘어 자연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인간이 침팬지로부터 마지막으로 진화되기 6백만년 전에는 인간과 동물은 아프리카 초원에서 그렇게 뛰어놀았다.

<말아톤>에 이어 비슷한 시기에 상영된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은 나의 가슴을 마구 헤집어 놓았다. 친구와 함께 떠난 오토바이여행을 통해 남미의 모순과 압박받는 민중의 삶을 보면서 젊은 의대생 체 게바라가 인간해방과 혁명의 길로 들어가는 과정을 담은 영화이다. 여행이 평범한 인간을 어떻게 혁명적 인간으로 바꾸어 놓는지를 너무나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23살의 에르네스토 게바라는 1952년 12월 친구인 29살의 생화학자 알베르토 그라나도와 함께 4개월 동안 중고 '포데로사'라는 이름의 모터싸이클을 타고 중남미를 여행하는 8000km의 대장정에 나선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출발해 칠레, 페루 등 남미를 여행하는 모습 그 자체는 일반 여행객의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다.

여행이 끝나갈 무렵 게바라는 친구 알베르토에게 말한다. "아니야, 알베르토, 무엇인가가 잘못됐어"라고 나지막이. 그리고 게바라는 다시 마음속으로 외친다. "난 더 이상 내가 아니다. 과거와 같은 난 없다"라고 큰 소리로. 평범한 오토바이 여행영화와 같으면서도 결코 평범하지 않은 영화가 되는 순간이다.

그래서 '세상을 바꾼 여행'이라 불린다. '이제 과거의 나는 없다'고 선언한 게바라는 39살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오로지 인간해방과 혁명, 진보의 한 길을 걸어갔다. 그곳이 쿠바이든, 볼리비아이든, 저 멀리 아프리카이든 주저하거나 마다하지 않았다.

또 다른 '부드러운 혁명가' 김광석

▲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의 한 장면
ⓒ South Fork Pictures
김산과 게바라와 '다르면서 같은' 우리들의 80년대 혁명가가 있다. 우리가 힘들고 지쳤을 때 북돋아 주고, 아프고 외로울 때 친구가 되어주었던 '부드러운 혁명가' 김광석. 그도 우리들 곁에 없다. 32살의 젊은 나이에 정확히 10년 전 우리 곁을 떠났다. 조국 해방을 위해 일본과 만주, 중국을 방랑했던 김산과 인간해방을 위해 남미와 아프리카에서 헌신했던 게바라도 33살과 39살의 짧은 생을 살다갔지만, 우리들의 마음속에 영원히 살아 있다.

올해 김광석 10주기를 맞아 게바라와 함께 그를 생각했다. 암울했던 시대에 휘청거리던 우리를 부축해주던 노래 <그루터기>, 30대의 방황을 위로해주던 <서른 즈음에>, 언젠가 나도 황혼 무렵에 그런 사랑을 하고 싶다고 느꼈던 <어느 60대 노부부의 이야기>. 그의 노래는 나이와 성별과 시대를 초월한다.

김광석은 나이 마흔이 되면 가죽옷을 입고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를 타고서 세계여행을 하고 싶다고 했다. 아마도 지금쯤 하늘나라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지구보다 더 넓은 우주를 여행하면서 자유를 만끽하고 있을 것이다. 밤하늘의 은하수 사이에 가끔씩 나타나는 검은 줄기는 아마도 김광석이 타고 우주를 여행하는 오토바이 연기통에서 나오는 똥일지도 모른다.

게바라를 생각하면 늘 김광석이 떠오른다. 다른 것 같으면서도 묘하게 같은 인물이다. 게바라가 천둥 같은 구호를 외쳤다면 김광석은 부드러운 노래를 불렀고, 게바라가 높은 깃발을 쳐들었다면 김광석은 따뜻한 손을 우리에게 나지막이 내밀었다.

김광석이 오토바이여행을 했다면 아마도 제일먼저 아프리카 초원으로 달려갔을 것이다. 그가 찾고자 했던 자유와 인간해방이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그가 언제나 외로운 사람들에게 내밀던 따뜻한 손길을 갈망하는 민중들이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와 우간다에서 기다리고 있다.

'초원'이와 게바라, 김광석과 함께 떠나는 아프리카로의 여행

▲ 킬리만자로 최정상인 우후루에서 찍은 만년설을 배경으로 하는 해돋이 광경
ⓒ 김성호
게바라와 김광석은 여행을 좋아한다. 그들은 모두 혁명가이면서 여행가였다. 여행이 바로 자유이고 인간해방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혁명가는 외로운 존재여서 끊임없이 어디론가 떠나야 하는 방랑자여서 일까. 여행은 한 인간의 삶뿐 아니라 세계의 역사를 바꿀 수 있다. 혁명을 꿈꾸지 않는 자는 젊은이가 아니듯이, 여행을 하지 않는 자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 여행을 하지 않고서는 세상 민중의 삶과 인류의 모순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세월은 흘렀어도 꿈은 결코 죽지 않았다. 어릴 적 '초원의 꿈'과 젊었을 적 '혁명의 열정'은 내 마음속 깊은 곳에 숨겨져 있을 뿐 사라진 것이 아니었다. 세계지도를 펼쳐보았다. 여행은 지도를 펼치는 순간 이미 시작된다. 에티오피아와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남아공, 그리고 섬나라 마다가스카르가 어릴 적 밤하늘의 별들이 쏟아져 들어오듯 눈 안으로 밀물같이 밀려 들어왔다.

홀로 떠나는 것은 두렵지 않다. 처음 떠나는 곳은 언제나 낯선 곳이고, 여행은 늘 혼자이며 고독한 것이다. 자유를 누리려면 기꺼이 고독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마음의 행복이 늘 함께 하는 것이 또한 여행이다.

부딪히고, 넘어지고, 깨어지면… 다시 훌훌 털고 일어나서 앞으로 걸어가리라. 지금까지 살아온 것 처럼 상처를 보듬으면서. 황열별 예방주사는 이미 맞았고, 말라리야 약도 준비했다. 여행에서 건강보다 우선하는 것은 없다. 예상치 못한 어려움도 닥칠 것이다. 어디나 여행에서는 이런 저런 일들이 일어난다. 아프리카도 사람이 사는 곳이다. 인간에 대한 예의만 지킨다면 아프리카라고 겁낼 필요는 없다.

6백만년 전 "응아~~"라는 힘찬 아기 울음소리와 함께 인류가 태어난 곳. '인류의 자궁' 아프리카로 가는 길은 잃어버린 나의 탯줄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다. 혼자서 배낭하나만을 달랑 메고 달려가지만, 앞으로 76일 동안 아프리카 대륙을 누비면서 나는 걷고 또 걸으면서 그들 속으로 천천히 천천히 들어갈 것이다. 그들과 내가 하나라는 사실을 찾아서…. 인간의 갈등은 늘 '다름'이라는 오해에서 시작되었다.

초원의 꿈이 어린 동물의 나라이며, 인간해방의 혁명열정이 숨쉬는 아프리카로 떠나는 배낭여행객의 마음은 마냥 설렌다. 길을 잃고 방황할 때 지도가 나를 지켜줄 것이고, '초원'이와 게바라, 김광석이 나의 말동무가 되어줄 것이다. 아프리카 여행은 고독을 벗 삼아 떠나는 오디세이이자 잊혀진 꿈을 찾아가는 동심의 탐험이다.

덧붙이는 글 | 김성호 기자는 전 열린우리당 의원입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