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1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정부의 환경 보호 노력에 대해 연설하고 있다. 이날 미국 행정부는 대부분의 발전소가 204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90%까지 감축하도록 하는 환경보호청의 새로운 기후 규칙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미국이 돌아왔다"고 선언했던 바이든이었지만, 지난 2년간 트럼프의 타이틀 42를 유지했다. 이주자 정책에 있어서 만큼은 속도를 조절한 것이다. 미국-멕시코 국경 지역으로 몰려드는 사람 숫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망명 신청 심사 기간은 한없이 늘어지고 있었고, 그 기간에 국경지대에서 벌어지는 밀입국과 각종 범죄에 대해서도 간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바이든 역시 미국 노동자 계층을 중심으로 경제를 재건해야 한다는 사고를 갖고 있다. 그렇기에 국제주의와 자국주의 사이의 교집합을 찾아야 했다.
2023년 초에 바이든은 이주자 정책을 발표했다. 핵심어는 "안전하고 질서를 유지하며 인류애가 살아있는"이다. 여기서 '안전과 질서 유지'에 해당하는 제도가 온라인 망명 신청이다. 미국 망명을 희망하는 이들은 정부가 제공하는 앱으로 망명 신청을 하고 미정부가 인터뷰 날짜를 통고하면 국경 지대의 망명 심사 센터로 와서 심사를 받게 된다.
억제력이 두드러지는 정책이다. 우선, 미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멕시코를 제외하면 다른 남아메리카 국가의 사람들은 미국 국경지대로 접근할 수가 없다.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국토안전부 장관은 온라인으로 신청하지 않고 미국-멕시코 국경에 나타나 적발될 경우 "망명 신청 부적격자가 되고 불법 입국을 시도한 경우로 간주되어 최소 5년간 미국 재입국이 불가능"해지고, 반복 시도할 때는 "형사 처벌도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이주자 수에 대한 통제 의지도 강하게 내보이고 있다. 앱을 통한 망명 신청은 하루 1000명으로 제한하고 2023년의 경우, 미국이 받을 수 있는 망명자 수를 2만명으로 제한했다. 대신 삶의 터전을 등지는 이들이 많이 발생하는 베네수엘라, 니카라과, 아이티, 쿠바의 경우 신원이 보장된 경우에 한해서 매달 3만 명씩 2년간 일할 수 있는 비자를 발급하겠다고 했다.
망명을 신청할 수 있는 기회 자체를 줄이는 바이든의 정책에 비판이 뒤따랐다. 난민에 대한 인도적 보호와 지원의 의무를 규정한 '1951 난민 협약'이 보장하는 권리를 축소시킨다는 이유였다. 이에 바이든 행정부는 합법적 방법을 열어 두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난민 문제 해결에 있어 국제 협력을 강조했다.
이렇게 국제적 대의를 확보하고자 하는 바이든의 노력은 2022년 6월의 'LA 이민·보호 선언'을 통해 드러난 바 있다. 여기에 서명한 국가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북 아메리카의 21개국이다.
일종의 국가 분업 체제다. 가령 칠레는 이주자들이 정착한 새로운 사회에 사회 경제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한다. 콜롬비아는 이주자들에게 임시 보호를 제공하는 일, 멕시코는 원활한 노동력 이동, 페루는 외국인 혐오를 줄이는 방안, 캐나다는 효율적인 망명자 수속 절차 마련, 미국은 밀입국과 인신매매등 범죄 방지책을 맡는다.
바이든과 각 세운 공화당 대선주자 디샌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