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 트랙은 기만이다."전범기에 그려진 아베 일본 총리 얼굴에 노(NO)! 라고 쓰인 팻말을 든 대학생들은 "위안부 합의의 투 트랙 해법은 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해 3월부터 '한일 위안부 합의 즉각 파기'를 외쳐온 이들의 목소리는 새해에도 여전했다.
정부가 지난 2015년 한·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이하 위안부 합의)의 중대한 흠결을 인정한다면, 지난 합의를 즉각 파기하고 과거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목소리다.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맞은편 소녀상 앞에 모인 민주주의자주통일대학생협의회(이하 민대협) 소속 회원 30여명은 "정부가 위안부 합의를 과거와 미래를 분리한 '투 트랙' 기조로 풀어간다"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민대협은 "최근 정부가 위안부 합의를 투 트랙으로 풀어나가려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해결 방법이 될 수 없다"라며 "정부가 과거를 해결하지 않고 관리하며 여론을 무마시키려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역사문제를 해결하면서 별도로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이어가는 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이어 "투트랙 전략은 문제를 그대로 덮어두고 넘어가는 '사드식 해법'과 다르지 않다"라며 "사드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것처럼 위안부 합의 역시 해결되지 않은 채 덮고 가자는 모양새"라고 밝혔다.
"일본과 미래를 이야기할 수 있을까?"
"일본은 여전히 과거 속에 사는데, 이러한 일본과 미래를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까. 일본은 과거사에 대한 어떠한 반성도 사과도 하지 않았습니다. 언제든 전쟁을 일으키는 군국주의로 나설 준비가 되어있는 일본과는 미래를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집회에 참석한 한 대학생이 단호하게 말했다. 또 다른 참석자 역시 "일본은 군국주의로 부활하기 위해 박근혜 정부와 위안부 합의를 맺었다"라며 "즉각적인 위안부 합의만이 해결책"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민대협은 또 일본 정부의 출연금 10억 엔으로 세워진 화해치유재단의 해체와 10억 엔을 반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얼마 전 화해치유재단의 이사진 5명이 사퇴했지만, 이것과는 별개로 재단의 해체와 10억 엔을 반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집회를 마친 이들은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로 이동했다. 이들은 "오는 10일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을 하는 것으로 안다"라며 "이 자리에서 위안부 합의의 즉각 파기를 결정해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