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합강습지 모래톱에서 설명을 듣고 있는 수녀들
합강습지 모래톱에서 설명을 듣고 있는 수녀들 ⓒ 김병기

 합강습지에서 발견된 수달 발자국
합강습지에서 발견된 수달 발자국 ⓒ 김병기

"와~ 진짜 수달 발자국이 있어요?"

22명의 수녀들이 천진난만한 아이처럼 놀란 표정을 하면서 강변으로 모여들었다. 모래톱 위에 남겨진 야생의 흔적. 다섯 발가락 끝에 콕 찍힌 날카로운 발톱은 분명 수달이다. 멸종위기종 1급 야생생물이자 천연기념물 330호이다. 고라니도 군데군데 검은콩 같은 똥을 한 무더기씩 싸놓았다. 바로 앞쪽 모래강에선 멸종위기종 1급 어류인 흰수마자와 미호종개가 산다.

"미호강과 금강이 만나는 세종의 합강습지는 야생의 공간입니다. 세종이 도시화되면서 살 곳을 잃은 야생생물들이 쫓겨 온 마지막 피난처이기도 하죠. 사람들에게도 이롭습니다. 습지로 들어올 때 보셨듯이 경관부터 끝내줍니다. 또 미호강과 금강의 오폐수를 깨끗이 정화하는 자연 콩팥입니다. 홍수 때에는 스펀지처럼 물을 흡수하고 가뭄에는 물을 내어줍니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지난 21일 세종의 합강습지 모래톱 위에 둘러선 수녀들 앞에서 합강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설명했다. 이 처장은 특히 "환경부와 세종시는 6km 하류에 세종보를 세우려고 하는 데, 그러면 이곳은 펄이 차서 생태적 가치를 상실하게 될 것"이라면서 "농업용수, 공업용수로도 사용하지 않는데, 단지 대관람차를 설치하고 오리 배 몇 개 띄우겠다고 세종보를 담수하려하고 있다"고 합강습지가 처한 위기 상황을 설명했다.

 합강습지에서 수녀들에게 설명을 하고 있는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합강습지에서 수녀들에게 설명을 하고 있는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김병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찬미 받으소서 7년 여정' 3년차 현장 활동

이날 합강습지를 방문한 수녀들은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소속 회원들이다. '찬미 받으소서 7년 여정'의 3년차 활동의 일환으로 합강습지를 둘러본 뒤, 지난 4월 30일부터 175일째 세종보 담수를 막기 위해 풍찬노숙을 하고 있는 세종보 농성장에서 미사를 올렸다.

수녀회 대전 관구 소속인 최숙희 테레사 수녀는 "창조질서 보존을 위해 애를 쓰는 현장 활동가들의 모습을 보고 듣고 배우러 왔다"면서 "천안에 위치한 우리 수도회는 가장 가까운 곳의 환경 이슈를 찾아 연대하는 활동을 해왔는데, 지금 열려있는 세종보는 단순히 한 개 보가 아니라 이곳이 닫히면 모든 강이 죽을 수 있는 교두보와 같은 곳"이라고 방문 취지를 설명했다.

첫 방문지인 합강습지에 도착한 수녀들은 이경호 사무처장의 안내를 받으며 합강습지 위쪽 둔치의 자전거길 갓길을 줄지어 걸었다. 진회색 수녀복 위에 '재생에너지로 지구를 살려요' '탄소배출을 막아주세요'라고 적힌 몸자보을 걸쳤다. 재생 종이에 '거침없이 흘러라, 흘러야 강이다' 'stop 세종보 담수' '4대강 보 해체'라고 적은 손피켓도 들었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최숙희 테레사 수녀가 세종보 농성장을 방문한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최숙희 테레사 수녀가 세종보 농성장을 방문한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 김병기

 합강습지를 걷고 있는 수녀들
합강습지를 걷고 있는 수녀들 ⓒ 김병기

수녀들, 사방 2km 합강습지 풍광에 감탄사 연발

바로 앞쪽 비탈을 내려서면서부터 드넓게 펼쳐진 합강습지의 풍광. 사방 2km에 걸쳐 드넓은 버드나무 군락이 형성돼 있다. 하늘 아래 녹색 뭉게구름이 땅으로 내려앉은듯한 인상적인 모습이다. 시야를 약간 들면 미호강과 금강이 만나는 합강의 물결을 내려다볼 수 있다. 수녀들의 입에서 연이어 감탄사가 터져 나왔다.

이경호 처장은 군데군데에서 잠시 쉬면서 이곳의 지형과 새 등 각종 야생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줬다. 이 처장은 특히 "생물 다양성을 보장하는 건 지형의 다양성"이라면서 "이곳은 두 강이 만나는 지점이기에 유역면적이 넓을 뿐만 아니라 퇴적지도 자연스레 형성되고, 깊고 낮은 물, 흐르거나 고여 있는 물. 자갈밭과 모래밭 등의 지형이 골고루 형성이 돼있기에 다양한 서식군들이 살아갈 수 있는 기본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처장의 안내를 받으며 수녀들은 습지 더 깊숙한 곳으로 들어갔다. 미호강이 끝나는 지점에 S자로 세워진 금강 보행교 아래쪽 모래톱이다. 수풀을 헤치고 가파른 둔치를 내려가니 탁 트인 드넓은 모래톱이 나타났다. 수녀들의 발자국이 수달과 새들의 발자국 옆 모래톱 위에 새겨졌다. 수녀들은 또다시 "너무 멋진 곳이네"라고 말하면서 탄성을 내질렀다.

수녀들은 이 처장이 가져간 탐조장비인 텔레스코프에 눈을 가까이 대고 멀리 모래톱에 앉아서 쉬고 있는 새들을 관찰했다. 이 처장은 "이제 겨울 철새들이 도래하는 시기인데, 수만 킬로미터를 날면서 기력이 바닥이 난 새들이 이곳에 내리면 쉬면서 체력을 보충해야 하는데, 세종보 담수로 물에 잠긴다면 새들은 세상을 뜰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합강습지 전경
합강습지 전경 ⓒ 김병기

새와 인간의 쉼터인 모래톱... 세종보 담수한다면 '수몰'

미호천은 금강에 모래를 대량으로 공급하는 강이다. 모래톱 옆 물속에서도 강물과 함께 모래가 흘렀다. 이곳엔 맑은 모래강에서 살아가는 멸종위기 1급 어류인 미호종개와 흰수마자가 군집해 있기도 하다. 환경부는 매년 멸종위기에 처한 미호종개 복원을 위해 바로 위쪽에서 방사행사도 열고 있다.

이 처장은 "멸종위기종을 보호해야할 환경부가 매년 막대한 혈세를 들여 방사행사를 하면서, 주요 서식처인 이곳을 망칠 세종보 담수 계획을 고집하고 있다"면서 "환경단체들이 환경부를 환경파괴부, 환경개발부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이런 이중적인 행태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날 수녀들은 합강습지 모래톱에서 나와 둔치 아래의 흙길을 걸었다. 박영미 실비아 수녀는 "너무 아름다운 이곳을 반드시 지켜야 하는데, 많은 분들에게 세종보가 막히면 어떤 피해가 오는지를 알리고 싶다"면서 "수도자들은 환경을 살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국회 등 국가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분들도 이런 위기감을 느낄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숙희 테레사 수녀도 "이곳에 오니 하느님께서 너무나 좋은 것을 우리에게 주고 가셨다는 생각이 들었고 온몸이 힐링이 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면서 "우리가 모두 선한 마음을 회복해서 이 아름다움을 후대에 전해야 하는데 이를 모두 훼손해서 아픔만을 물려주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된다, 나와 형제들의 몸을 돌보듯이 자연도 아낄 수 있는 돌봄의 마음을 간직하며 살자는 생각을 하면서 걸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소속 수녀들이 세종 합강습지를 걷고 있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소속 수녀들이 세종 합강습지를 걷고 있다 ⓒ 김병기

4대강 16개 보 중 유일하게 개방된 세종보... 이곳마저 막힌다면

이날 합강습지를 둘러본 수녀들은 곧바로 세종보 농성장으로 갔다. 이곳에서는 박은영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집행위원장, 임도훈 상황실장과 천주교 신자 등이 수녀들을 맞이했다.

임 실장은 "이곳은 4대강 16개 보 중에 유일하게 2017년부터 개방된 상태로 있다"면서 "예전에는 펄이 가득차고, 녹조가 창궐했으며 악취가 펄펄 나던 이곳은 2017년 수문이 개방된 뒤에 자갈과 모래가 다시 쌓인 강으로 회복이 되고 있고, 수많은 생명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 실장은 이어 "세종보가 막히면 제일 먼저 잠기는 곳에 우리가 천막을 치고 농성을 하는 까닭은 물에 수장되고 망가질 수많은 생명들과 함께 끝까지 이곳을 지키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치권의 폭력과 무자비한 행정이 이곳을 수장시키려고 물을 채우기 시작한다면 우리는 물속에서 끝까지 저항할 테니, 그때 이곳으로 달려와 권력의 행태를 고발하고 증언해 달라"고 요청했다.

임 실장은 발언에 이어 '강은 흘러야 한다' 등의 노래 두 곡을 불렀다. 수녀들은 박수를 치고 몸을 가볍게 흔들면서 호응했다.

 세종보 농성장에서 미사를 드리고 있는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회원들
세종보 농성장에서 미사를 드리고 있는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회원들 ⓒ 김병기

이날 마지막 행사는 미사였다. 천주교 대전교구 생태환경위원회 김대건 베드로 신부가 집전했다. 수녀들은 한두리대교 밑 바닥보호공 바닥에 주저앉아 두 손을 모았다. 세종보 담수를 중단하라는 손피켓을 앞에 내려놓고 찬송가를 합창했다. 버드나무와 갈대가 바람에 흔들렸다. 민물가마우지가 강물 위로 납작 엎드린 채 날아갔다. 할미새 부부가 웅덩이 앞에서 종종거리며 돌아다녔다. 강물은 거세게 흘렀다.

미사를 마치고 한 수녀가 다른 수녀에게 말했다.

"여긴 새들이 진짜 많네요. 너무 좋아요."
▲ 세종보 닫히면 망치는 합강습지... 농성장에서 미사 올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와~ 진짜 수달 발자국이 있어요?" 22명의 수녀들이 천진난만한 아이처럼 놀란 표정을 하면서 강변으로 모여들었다. 모래톱 위에 남겨진 야생의 흔적. 다섯 발가락 끝에 콕 찍힌 날카로운 발톱은 분명 수달이다. 멸종위기종 1급 야생생물이자 천연기념물 330호이다. 고라니도 군데군데 검은콩 같은 똥을 한 무더기씩 싸놓았다. 바로 앞쪽 모래강에선 멸종위기종 1급 어류인 흰수마자와 미호종개가 산다.
ⓒ 김병기

관련영상보기





#세종보#합강습지#모래#녹조#자연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