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115명의 유해가 18일 70년 만에 고향에 돌아왔다. 18일 오전 부산 수미르공원에서는 이들의 귀향에 맞춰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는 추모제가 열렸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115명의 유해가 18일 70년 만에 고향에 돌아왔다. 18일 오전 부산 수미르공원에서는 이들의 귀향에 맞춰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는 추모제가 열렸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115명의 유해가 18일 70년 만에 고향에 돌아왔다. 18일 오전 부산 수미르공원에서는 이들의 귀향에 맞춰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는 추모제가 열렸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115명의 유해가 18일 70년 만에 고향에 돌아왔다. 18일 오전 부산 수미르공원에서는 이들의 귀향에 맞춰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는 추모제가 열렸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수평선 너머로 아득히 사라지는 고향 땅을 바라보며 끌려간 일본에서 다시 조국 땅을 밟는데까지 걸린 시간 70년. 115명의 청춘은 사라지고 그만큼의 유해를 든 행렬만이 조용히 이어졌다.

일본 최북단 홋카이도 일대의 공사장 등에서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다 죽어간 조선인들의 유해가 18일 마침내 부산 땅을 밟았다. 지난 1997년부터 평화디딤돌의 동아시아공동워크숍이 '홋카이도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유골 귀환 추진위원회'(아래 추진위)를 설립해 시작한 '70년 만의 귀향' 사업의 결실이다.

돌아갈 날을 빌며 지났을 도쿄, 교토, 히로시마, 시모노세키에서 지난 일주일간 추도행사를 거친 뒤 고국에 도착한 유해는 한국인 청년들의 품에 안겼다. 이렇듯 100위가 넘는 유해가 동시에 귀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115명의 유해가 18일 70년 만에 고향에 돌아왔다. 18일 오전 부산 수미르공원에서는 이들의 귀향에 맞춰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는 추모제가 열렸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115명의 유해가 18일 70년 만에 고향에 돌아왔다. 18일 오전 부산 수미르공원에서는 이들의 귀향에 맞춰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는 추모제가 열렸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19일 장례식 엄수, 박원순 추도사

강제 징용자들이 생전 마지막으로 고향 땅을 밟았을 수미르 공원 일대에서 열린 추모제에서는 진혼굿 등이 이들의 넋을 달랬다.

귀환 사업을 함께 진행한 일본 측 참석자들은 너무나 늦어버린 이들의 귀환에 참회의 뜻을 전했다. 도노히라 요시히코 추진위 공동대표는 "희생당한 조선인들이 고향으로 돌아오기까지 70년이나 걸렸다"면서 "많은 희생이 발생해 죄송한 마음"이라며 고개를 숙였다.

일본의 우경화를 걱정하고 아픈 역사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다짐도 있어졌다. 특히 일본인 참석자들은 한목소리로 전쟁 가능 법안이라 불리는 일본 아베 정권의 '집단 자위권 법안'을 비판했다. 한국 측 참석자인 정병호 추진위 공동대표도 "아픈 기억이 사라지거나 잊혀 가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추모제를 마친 유해는 서울로 이동해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에서 하룻밤을 보낸다. 돌아온 고국에서의 첫날밤이다. 19일에 오후 7시에는 서울광장에서 장례식이 엄수된다. 장례식에는 추모사를 맡은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해 한국종교평화인회의 소속 7대 종단 대표자 등 각계각층 인사 1천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이보다 앞선 오후 4시부터는 서울도서관에서 이번 귀환 사업 전반에 대한 보고회가 계획되어 있다. 장례식을 마친 유해는 20일 서울시립승화원을 찾아 화장절차를 거친 뒤 파주 서울시립 제2추모공원에 안치될 예정이다.


태그:#강제노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