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중국군의 춘계대공세로 서울시민들이 세 번째로 피난봇짐을 꾸려서 한강을 건너고자 몰려들고 있다(서울, 1951. 5. 29.)..
 중국군의 춘계대공세로 서울시민들이 세 번째로 피난봇짐을 꾸려서 한강을 건너고자 몰려들고 있다(서울, 1951. 5. 29.)..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22. 결혼

성실성과 진정성

"우리 덩말 결혼하는 거야요?"
"그럼요."

준기는 순희의 말이 믿기지 않는 듯, 다시 확인했다. 그리고는 너무 감격한 나머지 한동안 입을 닫지 못했다

"아, 당신 덩말 감사합네다."
"아니 내가 더 감사해요. 사실 그동안 고민 많이 했어요. 나는 당신의 신부로 너무 늙었다는 생각 때문에 많이 주저하기도 했고요."
"기럼, 내레 젊었나요."
"하지만 우리 이제 결혼해도 나는 늙어 당신의 아이를 낳을 수 없을 거예요."
"일없습네다. 우린 이미 두 자식을 두지 않았소. 이미 내가 딸을 낳았구, 님자가 아들을 낳았으니 둘 다 우리 자식이 아니오. 이만해도 우리는 행복하오. 아, 미국인들은 생판 모르는 남의 나라 피부색이 다른 아이들도 데려다 키우는데…."
"네에? 당신은 나를 또 한 번 감동시키네요. 솔직히 마흔을 넘긴 여자가 결혼을 결심하는 데는 상당한 용기가 필요해요. 저울질도 많이 하고요."

순희는 그동안 병상에서 골똘히 생각한 뒤 내린 결론이었다. 순희는 깊이 생각한 끝에 두 사람이 싱글로 사는 것보다 더블로 사는 게 피차 더 행복하리라는 판단이 섰기 때문이다. 그래서 순희는 준기에게 프러포즈했던 거다.

"남은 내 인생을 당신에게 의지하며 살고 싶어요. 당신은 이 세상에서 나의 가장 성실하고 든든한 후원자이고요."
"갑다기 웬 소쿠리 비행기야요."
"아니에요. 언젠가 낙동강 야전병원에서 준기씨가 온 종일 수술을 돕고도 밤을 새우다시피 의료 기구를 죄다 소독하는 성실성에 감동했고요. 그리고 한 여자를 20년 동안 끊임없이 기다리는 그 진정성에 껌뻑하지 않을 수 없었지요. 당신에게는 남다른 성실성과 진정성이 있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엿보여요. 또 그런 탤런트(재능)도 있고요. 제가 앞으로 당신의 탤런트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어 드리고 싶어요."
"메라구? 당신, 덩말 고맙수."

한 가족의 고단한 피난 길(춘천, 1951. 4.)
 한 가족의 고단한 피난 길(춘천, 1951. 4.)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남은 소원

"그럼요. 존이 수잔과 올 가을에 우리 교회에서 결혼한대요. 걔들 결혼식이 끝나면 우리도 곧장 교회에서 우리 둘만 조용히 결혼식을 올려요."
"고맙습네다. 감사합네다. 내레 두 가지 소원은 당신 덕분에 이뤘습네다. 이데 하나만 남는구만요."
"그 소원도 꼭 이루세요."
"내레 마디막 소원을 이루는 데두 당신이 도와주시라요."
"……."

순희는 말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준기는 순희를 와락 끌어안았다.

"당신의 간호와 물리치료 덕분으로 많이 나은 것 같아요."
"알가시오."

준기는 순희를 번쩍 안아 들고 침실로 갔다. 그들은 침대에서 두 사람만의 약혼 기념식을 뜨겁고도 길게 가졌다.

두 노인이 지팡이를 짚은 채 미군들의 군사훈련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1952. 4. 25.).
 두 노인이 지팡이를 짚은 채 미군들의 군사훈련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1952. 4. 25.).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일없습네다

"이러다가 님자 골절상 덧나는 게 아니오?"
"일없습네다. 적당한 자극과 호르몬의 분비는 오히려 상처 회복에 더 좋을 거예요."
"님자도 이제 펭안도 사람이 다 되었구려. 펭안도 말도 다 하고."
"곧 평안도 며느리가 될 거잖아요."
"내레 꿈을 꾼 것 같구만요."
"내 프러포즈를 받아줘 고맙습니다."
"내레 할 말이야요. 우리 남은 인생은 남보다 더 열심히 삽세다."
"지금 출발해도 늦지 않아요. 요즘 인생은 육십부터라고 하던데 우리는 이제 오십 초반이잖아요. 남은 날 서로에게 진 빚이나 갚으며 삽시다."
"그저 고맙고, 감사합네다."

시카고 다운타운
 시카고 다운타운
ⓒ 재미동포 이영

관련사진보기


(다음 회로 이어집니다.)

덧붙이는 글 | 여기에 실린 사진은 대부분 필자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수집한 것들과 재미 동포가 보내준 것입니다. 본문과 사진이미지가 다를 경우 한국전쟁의 한 자료사진으로 봐주십시오.



태그:#어떤 약속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이 기자의 최신기사"아무에게도 악을 갚지 말라"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