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뉴스가 아니면 타종식을 판타지로 만들어도 되나요?"

"KBS는 '국민의 방송'이 아닌 'MB의 방송'을 원하는가"

 

민생민주국민회의가 5일 오전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언론법 등 'MB악법' 관련 KBS 보도 등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MB악법'의 내용과 문제점을 충실하게 보도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병순씨가 사장으로 들어선 후 KBS가 보이고 있는 행태는 국민들의 예상을 뛰어넘었다"며 "KBS 뉴스는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은커녕 정권에게 불리한 내용은 외면하거나 축소하고, 정부 발표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전달하는 홍보성 기사들이 늘어났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이어,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의 'MB악법'과 관련해서도 KBS는 대부분 여야를 싸잡아 비난하거나 그들의 주장을 나열했을 뿐이고, 언론노조의 총파업에 대해서도 '방송차질'에 초점을 맞춰 보도했다"며 "이는 공영방송의 역할을 포기하는 듯한 보도 태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KBS를 죽이고 살리는 것은 MB가 아닌 국민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들은 입을 모아 KBS가 다시 국민의 방송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했다.

 

박석운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작년 여름 정연주 전 사장이 초법적으로 쫓겨날 때 KBS 내부의 종사자들은 '우리는 정연주 전 사장에 대해서만 반대한다'고 했지만 지금 언론법 등 MB악법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것은 어떻게 된 것인가"라고 질책했다.

 

박 대표는 이어 "지난 연말 타종행사 방송이 지적을 받자 '뉴스가 아닌 쇼였다'고 해명하는 KBS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며 "그는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는 행태로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덕우 진보신당 공동대표는 "KBS의 기자와 PD들은 전문인이고 지식인"이라며 "옛말에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고 했는데 KBS의 기자·PD들도 이명박 정부의 실정을 알고 있다면 좋아하고 즐기면서 취재하고 보도해달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또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 3개월 만에 평범한 국민들에게 헌법 제1조를 가르치고, 촛불 등 민주주의의 비약적 발전을 가져온 역사적 인물로 기록될 것"이라고 비꼬며 "KBS 내부 구성원들이 좋아하고 즐기며 현실을 취재·보도하지 않는다면 이명박 대통령과 함께 쓰레기로 취급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해 조·중·동 광고불매운동에 앞장섰던 '언론소비자주권 국민 캠페인(아래 언소주)'의 김성균 대표는 "지난 여름 KBS를 지키겠다고 촛불을 들고 나왔다가 경찰과 충돌해 상·하의가 다 찢겨지는 일까지 겪었는데 어떻게 지금 이들이 이럴 수 있냐"며 "언소주 회원들은 힘과 기술력을 동원해 사람들의 목소리를 막은 지난 타종식 행사 방송에 대해 너무나 실망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KBS를 죽이고 살릴 수 있는 것은 MB가 아니라 국민"라며 "더 이상 KBS가 우리의 친구도 공영방송도 아닌 길을 걷겠다면 본격적인 수신료 거부운동에 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생민주국민회의는 오는 6일 오전에도 <조선일보> 본사 앞에서 언론법 및 'MB악법' 개악 관련 조·중·동 보도행태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최근 주요기사]
☞ 진보버전 스타벅스, 커피는 단돈 천원
☞ 시체를 밟고 달렸다... 아, 미안하다
☞ 세상 걱정에 잠 안올 때 읽을 책
☞ 이스라엘에 맞서? 정치 생명 내놓든가
☞ 진중권 "1박2일 원조는 바로 전여옥"
☞ [엄지뉴스] 국회에서 9시뉴스를 시청하는 방법
☞ [편집노트] 비정규직은 식권마저 달랐다


태그:#민생민주국민회의, #KBS, #타종행사, #MB악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