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광주비엔날레 이사회는 18일 오후 4시간여 가까이 회의를 열고 '신정아 파문'의 책임을 통감한다며 전원 사퇴하기로 결정했다. 이사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회의를 하고 있다.
ⓒ 오마이뉴스 강성관
(재)광주비엔날레 한갑수 이사장을 비롯한 이사 27명이 전원 사퇴하는 초유의 사태가 맞아 제7회 비엔날레 준비 등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광주비엔날레는 국제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취지로 국내와 국외 공동 예술감독제를 처음으로 도입해 감독을 선임했지만, 국내 감독으로 선임한 신정아 동국대 교수의 가짜 학위 등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이 같은 사태를 맞았다.

'신정아 파문' 광주비엔날레 이사 전원 사퇴

이와 관련 광주전남문화연대 등 광주지역 시민 예술단체들은 "이미 의혹이 제기된 상태에서 어떻게 제대로 된 검증도 없이 감독으로 선임할 수 있느냐"며 이사진 총사퇴와 재편을 주장해 왔다.

광주비엔날레 이사들은 18일 오후 2시부터 4시간 가량 회의를 진행하면서 '어떤 것이 책임있는 것이냐'를 두고 이사들간에 의견이 갈려 진통을 겪었다.

한갑수 이사장은 회의를 마친 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사 전원이 신정아 감독 선임건에 대해 도의적인 책임을 지고 사퇴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한 이사장은 또 공동 예술감독제 유지 여부에 대해 "신정아 교수를 대신할 국내감독을 새로 선임하지않고 국외 단독 감독제로 가기로 했다"면서 "국내 감독이 없어 야기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한 시스템을 마련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비엔날레 당연직 이사는 이사장을 포함해 9명으로, 이날 이사회는 당연직 이사들을 중심으로 비상대책기구를 구성해 새 이사진 개편 등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애초 이날 이사회에서는 국내 감독 선임이 철회된 신정아 교수를 대신할 새 국내 감독을 선임할 것인지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었지만 강연균 이사 등이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나서 진통을 겪었다.

강연균 이사는 이사회 과정에서 한갑수 이사장에게 사퇴서를 직접 전달하기도 했으며, 광주비엔날레 운영과 구조에 대한 성토가 잇따랐다.

"이사직 내놓고 신임묻자"... "우리도 피해자" 의견 맞서

강연균 이사는 "비엔날레를 개최하면서 늘 자화자찬하면서 한번도 반성하는 기회가 없었다"면서 "그러니 이런 꼴이 안오겠느냐, 올 수 밖에 없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강 이사는 "비엔날레에는 절대적으로 전문가 집단이 없다"면서 "비엔날레는 하부구조가 너무 약하다"고 비판했다.

황영성 이사도 "이사들이 총체적으로 현재의 결과에 대해 책임지는 의미로 이사직을 다 내놓고 다시 신임을 묻자"며 "비상대책위를 만들어서 이후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정광주 이사도 "이 사태가 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인사검증을 이사회에서 잘해서 밝혔다면 신뢰가 무너지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총체적인 점검 계기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강박원 이사는 "누가 이사회 하고 싶냐, 그러나 책임지는 이사회가 돼야 한다"면서 "이 사태를 어떻게 해결해 갈지 의견을 모으는 것이 책임있는 자세"라고 맞섰다.

감독선정소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이종상 이사는 "신정아 교수 기사를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니 잘하는 큐레이터로 칭찬하는 기사가 많았다"면서 "우리도 뜻하지 않은 피해자"라고 말했다.

이 이사는 "속이는 사람이 잘못이지 우리는 피해자다. 동국대는 통과되었지만 비엔날레는 그렇게 안됐다"면서 "사표 내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책임을 져야한다"고 사퇴 의견에 반대했다.

박종운 이사 역시 "우리가 뭘 그렇게 잘못했는지, 우리가 신이냐 인간이다"이라며 "이런(이사의 거취문제) 이야기 하려고 모인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따졌다.

2시간이 넘는 공개적인 회의에서 이사들간에 의견이 엇갈리면서, 회의는 이사들의 거취 문제로 옮겨져 결국 비공개 회의를 1시간 넘게 열렸다.

당연직 이사들 개혁 요구 받아들일까

▲ 이날 이사회에 앞서 비엔날레개혁예술인연대는 이사진 총사퇴와 조직 개편 등을 요구했다.
ⓒ 오마이뉴스 강성관
결국 비공개 회의에서 이사들은 전원 사퇴를 결정하게 됐다.

하지만 정관 상 27명의 이사 중 당연직 이사 8명(이사장 제외)은 사퇴서를 제출해도 남게됐다. 이에 대해 한갑수 이사장은 "당연직 이사분들이 남아 대책기구를 꾸리고 신임 이사진 선출 등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기구 구성과 신임 이사진 구성 등을 당연직 이사들에게 맡기는 것은 무책임한 아니냐'는 지적에 한갑수 이사장은 "그냥 이사회가 그대로 있으면 비난이 더 쏟아질 것"이라며 "당연직 이사 중에도 예총회장 등 전문가들이 있다"고 말했다.

'신정아 파문'으로 이사진 총사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은 광주비엔날레가 지역 문화단체들이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이사회 전문화와 조직 개혁 요구에 대해 어떤 답안지를 내놓을 관심이다.

이와 관련 광주전남문화연대 등 23개 시민 예술단체 등으로 구성된 '광주비엔날레 개혁을 위한 문화예술인 연대'는 이사회에 앞서 광주비엔날레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사진은 사퇴하라"며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이사회를 재구성하고 종신이사제를 폐지하라"고 요구했다.

김지원 광주전남문화연대 사무국장은 "이사회 구성이 급하다는 측면도 있지만 어떻게 어떤 사람들로 구성하는가가 중요하다"면서 "당연직 이사 수는 물론 이사진 수도 27명에서 12여명 안팎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들은 향후 이사진 개편 등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낼 예정이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