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팍팍한 세상에서 잠시 기분전환 할 수 있는 재미난 곤충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통 사람의 눈높이에 맞춘 흥미로운 이야기이므로 얘깃거리로 좋습니다. [기자말]
1970년대까지 자개장(관련 기사 : 구조색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자개 공예와 대모벌)은 고가의 혼수품이자 사치품으로서 귀한 대접을 받았다. 장롱 속에는 옷가지와 침구류를 보관하면서 예외없이 나프탈렌을 같이 넣었다. 좀이 의복을 갉아먹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화학섬유가 대중화하기 이전이라 천연 옷감은 좀의 손쉬운 먹거리가 되었다.

우리 부모님 세대는 한 여름이 지나고 긴 옷으로 갈아 입으려다가 숭숭 구멍이 뚫린 의복에 속상해 한 경험이 많다. 관용구로 쓰이는 '좀이 쑤시다' 혹은 '좀이 슬다'라는 표현에 등장하는 놈이 바로 좀벌레다. 몸 길이는 10mm를 조금 넘으며 은회색 비늘이 온 몸을 덮고 있으며 꼬리가 3개다.
 
벽지 안, 장판 아래, 장롱 속에 숨어 식물질을 갉아먹는다.
▲ 좀. 벽지 안, 장판 아래, 장롱 속에 숨어 식물질을 갉아먹는다.
ⓒ 이상헌

관련사진보기

 
영어권에서의 일반 이름은 은생선(Silverfish)이다. 평생 동안 비늘갈이를 하며 무척 빠르게 움직이다가 위험하다 싶으면 망둥이 처럼 풀짝 뛰어 도망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야행성이며 습한 곳을 좋아하고 애벌레나 성충이나 한결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평소에는 보기 힘들지만 이사를 하려고 짐을 옮기다 보면 쉽게 발견된다.

장롱이나 장판 아래 따뜻한 곳에 숨어서 의류와 더불어 벽지도 갉아먹고 우리 몸에서 떨어지는 각질과 머리카락 등도 먹고 산다. 사람에게 병을 옮기는 곤충은 아니지만 좀이 스는 환경을 없애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습하지 않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 최선이다. 특히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므로 주기적인 환기가 필요하다. 트랩을 설치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좀 무리는 돌좀목(Archaeognatha)과 좀목(Zygentoma)으로 나뉘며 전세계적으로 1천여 종이 알려져있다. 야외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돌좀은 숲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녀석들이다. 물가 근처의 바위 틈이나 낙엽을 들추면 발견되며 나들이 가서 먹던 김밥이 땅에 떨어지면 슬금슬금 기어나오기도 한다. 돌좀 무리는 긴꼬리를 이용해 펄쩍 뛰어 도망치기에 서구권에서는 뛰는곤두선꼬리(Jumping bristletails) 라고 한다.

못난이 구박덩어리 꼽등이

생긴 모양과 서식 환경으로 인해 비호감 곤충이 된 꼽등이는 주택의 보일러룸이나 아파트의 지하실, 야외의 화장실 내부, 동굴 안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반원형으로 굽은 등으로 인해 영어권에서는 낙타귀뚜라미(Camel Cricket) 혹은 동굴귀뚜라미(Cave Cricket)라고 부른다. 암컷의 배 끝에는 산란관이 길에 나와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지하실과 보일러룸 등 습하고 어두운 환경에 서식한다.
▲ 꼽등이. 지하실과 보일러룸 등 습하고 어두운 환경에 서식한다.
ⓒ 이상헌

관련사진보기


몸 길이는 최대 40mm 내외이며 메뚜기목에 속한 녀석이지만 운치있는 소리를 내지도 못하고 들을 수도 없으며 날개도 사라지고 시각도 맹인에 가깝다. 사는 곳이 어둡고 습하며 따뜻한 곳이다보니 불필요한 감각기관이 자연스럽게 퇴화된 결과다. 야행성이므로 낮에는 은신처에 숨어 있다가 밤중에 나와 먹이활동을 한다.

잡식성으로 곤충의 사체나 유기물, 음식물 찌꺼기를 주워먹는 청소 곤충이다. 섭식활동에는 유난히 긴 더듬이를 활용하며 입틀 주변에 있는 수염과 배끝의 감각모가 보조 역할을 한다. 겁이 많아 인기척이 느껴지면 펄쩍 뛰어 도망치기에 예민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만든다. 인간에게 별다른 위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감정을 건드리기에 사람들과는 친해지기 어렵다.

습한 환경을 만들지 않아야

어둡고 습한 곳을 좋아하는 벌레로는 쥐며느리와 공벌레도 빼놓을 수 없다. 비슷하게 생긴 놈들이지만 가장 큰 차이는 몸을 동그랗게 말수 있으면 공벌레다. 벌레 세상의 아르마딜로나 천산갑이라고 할수 있기에 영어권에서도 아르마딜로벌레(Armadillo bug) 또는 알약벌레(Pill bug)라고 한다.
 
위험을 느끼면 몸을 동그랗게 만다.
▲ 공벌레. 위험을 느끼면 몸을 동그랗게 만다.
ⓒ 이상헌

관련사진보기


서양에서 나무이(Wood louse)라고 부르는 쥐며느리는 배끝에 꼬리가 나와 있고 더듬이가 긴 편이지만, 공벌레는 밋밋한 것도 차이점이다. 주기적으로 물을 주는 화분이나 야외의 돌 밑, 낙엽이 수북히 쌓인 곳, 퇴비 더미, 방치된 비닐 아래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둘 다 벌레이기는 하지만 곤충은 아니다. 가재나 게, 새우 같은 절지동물에 속한다. 서해 바닷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갯강구와 친척이다.

짝짓기를 끝낸 암컷은 배에 알을 품고 다니면서 태어난 애벌레를 한 달 정도 돌본다. 습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실내에 여러 화분을 놓아두는 경우에는 관리가 필요하다. 커피 찌꺼기를 뿌려두고 관리가 소흘하면 곰팡이가 피어나며 쥐며느리가 꼬이는 원인이 된다. 인간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미관상 불쾌함을 유발한다.

서구권에서는 색깔이 화려한 종을 애완동물로 키운다. 덩치가 작아 관리가 수월하고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기 때문이다. 칙칙이로 수분을 적당히 뿌려주고 낙엽이나 음식 찌꺼기 등을 넣어주면 알아서 번식한다. 생태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놈들이라 개구리와 쥐, 거미, 지네와 같은 여러 식충 동물의 영양공급원이 된다.
 
비 그친 뒤에 땅속에서 기어나와 지렁이를 주식으로 삼는다.
▲ 쥐며느리와 육상플라나리아. 비 그친 뒤에 땅속에서 기어나와 지렁이를 주식으로 삼는다.
ⓒ 이상헌

관련사진보기


보통 사람들은 좀처럼 목격하기 어렵지만 육상플라나리아의 식단에 지렁이와 달팽이를 비롯하여 쥐며느리가 포함된다. 사냥감에 달라붙어 소화효소를 분비하여 먹잇감을 녹여서 빨아 먹는다. 이상 언급한 벌레들을 옥내에서 완벽히 퇴치할 수는 없지만 서식환경을 만들지 않음으로써 눈에 띄지 않게 할 수는 있다.

덧붙이는 글 | 해당 기사의 사진은 글쓴이의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쥐며느리, #꼽등이, #공벌레, #육상플라나리아, #단칼곤충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