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나는 늙은 동물의 얼굴을 본 적이 없다. 넓게 보면 사람도 동물인지라 늙은 사람 얼굴은 제법 자주 보았으나, 사람을 '호모 사피엔스'라는 학술적 명칭으로 살짝 분리해두고 여러 다른 포유동물로만 따진다면, 내 기억을 하나하나 되짚어보더라도, 나는 늙은 동물의 얼굴을 본 적이 별로 없다.

반려동물로 가족처럼 지내는 강아지나 고양이의 늙은 얼굴이라면, 가끔 본 적이 있다. 사람으로 치면 경로석에 앉아도 될 법한 나이로 환산되는 15살 이상 나이먹은 강아지나 고양이를 보곤 했는데, 늙은 축에 들었다고는 해도 솔직히 말하면 그들은 여전히 귀엽다. 

병에 걸려 동작이 느려지거나 안쓰러울 만큼 덜 활달해지는 녀석들도 있지만, 그렇다 해도 기본적으로 반려동물들은 연령대를 불문하고 귀여워 보인다.

그러면, 살과 젖과 피와 알 등을 얻기 위해 목적의식적으로 기르는 가축의 경우는 어떨까? 아무리 기억을 헤집어보아도, 도시에 살며 축산농장에 별로 방문해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동물의 늙은 얼굴을 만나본 적이 거의 없는 게 사실이다. 

그도 그럴 것이, 실제로 대부분의 가축들은 늙음을 경험하지 않는다고 한다. 가축으로 키워지는, 아니 '식재료'로 사육되는 그 동물들이 늙음을 경험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이 늙은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대부분 도축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야생상태의 칠면조는 10년 이상 살지만, 축산농장에서 사육되는 칠면조는 생후 3~4개월이면 도축된다(24쪽).
 
책 표지 <사로잡는 얼굴들>
▲ 책 표지 <사로잡는 얼굴들>
ⓒ 가망서사

관련사진보기


이사 레슈코의 사진 에세이 <사로잡는 얼굴들>은 식용을 목적으로 길러지다 '생추어리'에 들어오게 된 동물들의 늙은 얼굴 초상화를 수록하고, 노년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겪은 생의 질곡과 아픔과 뒤늦게 찾아온 기쁨에 대해 이야기해주는 책이다.

'생추어리'는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동물보호소나 동물쉼터 정도가 될 것 같은데, 도축 직전 혹은 학대 도중에 구출된 여러 종의 동물들을 돌보는 시설을 말한다. 이 같은 총체적 돌봄을 하는 '생추어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한 곳이 있고, 우리나라보다 땅덩어리가 큰 미국에는 여러 곳 있다.   

나이듦 그리고 늙어감

사실 늙음(老, being old)의 이미지는 대개의 경우 그것 자체로는 그다지 긍정적 감정을 일으키는 것 같지는 않다. 있는 그대로 늙음을 좋아라 하고 진심으로 반기는 사람은 딱히 많지 않다. 어쩔 수 없이 늙어간다, 우리는 대체로 그리 생각한다. 여기서 '우리'란 '인간 종'을 가리킨다. 

우리는 나이가 오십이 넘었는데도 피부와 몸매가 (스스로 관리를 잘했거나 의료적 도움을 받았거나를 막론하고) 젊은이와 거의 동급인 사람들에게 눈길을 더 주고 반색하고 감탄한다. 또 우리는 나이가 팔십이 넘었는데도 체력과 근력을 젊은이 못지않게 유지하고 걸음속도가 빠른 사람을 부러워하고 우러른다. 

나이가 적은 사람의 얼굴이 늙어 보이면 '노안'이라 부르고, 나이가 많은 사람의 얼굴이 어려 보이면 '동안'이라 칭하며, 노안보다 동안이 상대적으로 더 좋다고 생각한다. 요컨대 우리는 나이가 많더라도 늙지 않는 (늙어 보이지 않는) 사람을 선호하는 것이다.  

그런데, 나이 많은 동물의 나이 많아 보이는 '노안'을 있는 그대로 정직하게 수록한 이사 레슈코의 책 <사로잡는 얼굴들>의 원제는 <Allowed to Grow Old>다. 말 그대로 "늙어감을 허락받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수록했다. 나이 많이 먹었음에도 어딘가 부자연스럽게 주름살 없는 팽팽한 피부, 불끈불끈 탄탄한 근육을 유지하는 일에 대해 이 책은 관심이 없다.

늙음을 받아들이는 얼굴들
 
책 속에서. 소의 얼굴
▲ 책 속에서. 소의 얼굴
ⓒ 가망서사

관련사진보기


이사 레슈코는 나이든 동물들의 얼굴과 눈빛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무려 10년 동안 온갖 노력을 다 기울였다. 동물들이 살고 있는 '생추어리'의 집에 들어가 땅바닥에 숱하게 엎드렸다. 사실성을 강조하기 위해 몽환적 느낌을 더해주는 카메라 기종은 일부러 선택하지 않았다. 동물들이 놀랄세라 카메라 플래시도 아예 터트리지 않았으며,오직 '햇빛'이라는 자연광에만 의존해 사진을 찍었다. 동물들의 얼굴을 예쁘게 미화해서 찍는 게 목적이 아니었다. 

이사 레슈코는, 자신이 바라보았을 때 그들의 나이든 얼굴과 그윽한 눈빛에서 느낄 수 있고 전달받을 수 있었던 그들의 연륜과 내공과 품위를 화면에 담고 싶었다. 그리고 다행스럽게도, 그 같은 이사 레슈코의 의지가 이 책 <사로잡는 얼굴들>에 잘 구현되어있다.

모델이 된 동물들은 의젓하다. 사진 찍힌 바로 다음날 세상을 떠난 동물도 있지만, 그들은 너나할 것 없이 (사진 찍는 이가 그만큼 편안하게 해준 탓일까) 조만간 자연적으로 끝나게 될 자신의 유한한 삶을 지금 충분히 누리고 있다는 듯 느긋한 표정을 지어 보인다. 

한 마디로 말해, 그들은 불쌍해 보이지 않는다. 그들의 늙음과 쇠잔함은 분명 보는 이의 마음을 동요케 하나, 불쌍하다는 느낌으로 후다닥 휘몰아치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의 사진 뒤에 붙어있는 '과거지사(학대받거나 쫓겨났던, 고통스러운 지난 날들)'를 한 자 한 자 읽어갈 때에도 마음은 아프지만, 가엾다는 느낌으로 그 마음이 황급히 변형되지도 않는다. 

마음이 흔들리고, 마음이 아파오는 상태를 지긋이 겪어낼 수 있게 해준달까. 이 책은 불행과 빈곤의 이미지를 일부러 선별하고 중첩해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불쌍함과 가여움 같은 감성자극을 극대화하려는 '감성 포르노' 혹은 '빈곤 포르노' 류와는 확실히 다른 길을 간다. 동물들의 늙은 얼굴을 들여다보는 동안 막 따뜻한 느낌도 없는 한편, 막 휘둘리는 느낌도 없다.     

'감성포르노'를 넘어, 육식에 대한 진지한 고민으로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나의 육식생활에 대해 다시금 돌아볼 수 있었다. 4~5년 전쯤(대략 2018년 초) 무심코 쇠고기를 오래도록 씹던 중 "아, 내가 왜 남의 살(소의 살)을 이렇게 오래도록 씹고 있지?"하는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지면서 육식을 줄이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소를 키우는 방식이 지구의 기후환경에 큰 부담을 준다는 것을 살펴보고는 육식을 끊기로 결심했다. 

그리하여 지금 쇠고기&돼지고기는 먹기를 중단했다. 솔직히 말하면, 아직 완전히 끊지는 못했다. 외식이나 회식 때 다른 이들과 함께 식사하기 위해 연간 1~2회 정도는 먹는다. 따라서 어떻든 나의 육식생활은 비록 규모는 줄었지만, 게다가 우유로 만든 유제품과 닭고기는 여전히 즐겁게 먹으니, 여전히 계속된다고 말해야겠다.  
 
책 속에서 닭의 얼굴
▲ 책 속에서 닭의 얼굴
ⓒ 가망서사

관련사진보기


그래서였을까, 이 책 <사로잡는 얼굴들>의 앞부분에 나온 한 마리 닭의 얼굴에 내 눈길이 오래 머물 수밖에 없었다. 그 닭은 품위있는 얼굴, 초연한 눈빛을 하고 있었다. 오래 전부터 내가 알고 지냈던 어떤 노인의 얼굴, 그 선한 눈빛을 닮았다. 

그 얼굴을 한참 바라보는데 난데없는 상상의 소리, 이런 음성이 문득 들려왔다. "괜찮아, 천천히 해도 돼." 이 음성은 '67% 채식주의자'의 자기합리화를 얄팍하게 뒷받침하는 의도된 환청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래도 괜찮다. 뭐든 100%를 꽉꽉 채워 달성해야만 꼭 만족스러운 건 아니니까.

그런 의미에서 육식생활에 대한 죄의식이나 자기방어적 심정을 잠시 내려놓고 육식생활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한 번 정도 해보는 것쯤은 괜찮겠지 하는 정도로 '가볍게' 마음을 먹는다면, 이 책을 기분좋게 읽어나갈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건 있다. 이 책을 읽기 전과는 (아주 조금일지라도) 조금 달라진 자기자신의 생각을 만나게 되리라는 것.

덧붙이는 글 | <주간기독교>에도 실립니다.


사로잡는 얼굴들 - 마침내 나이 들 자유를 얻은 생추어리 동물들의 초상

이사 레슈코 (지은이), 김민주 (옮긴이), 가망서사(2022)


#사로잡는 얼굴들#가망서사#육식#늙음
댓글8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외로운 사람들을 위한 정치수업], [해나(한나) 아렌트의 행위이론과 시민 정치(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박원순의 죽음과 시민의 침묵], [(2022세종도서) 환경살림 80가지] 출간작가 - She calls herself as a ‘public intellectual(지식소매상).’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