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1일 목요일 아침 출근하는 사람들로 빼곡한 만원 지하철이었습니다. 그것은 지극히 우연이었지요. 며칠째 우울한 기분이었고 매일매일이 버거웠습니다. 그날은 제대한 지 꼭 일주일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승강장에 서서 수서행 지하철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가판대로 향했습니다. 온갖 무가지들, 보수언론들이 즐비한 곳이지요. 여느 때처럼 시큰둥하게 신문 헤드라인들을 훑어보았습니다. 그것이 제가 사회적인 문제들과 접촉하는 거의 유일한 통로거든요. 그런데 유독 한 신문의 머리기사가 거짓말처럼 눈에 팍하고 들어왔습니다.

 

제대 일주일, 지하철에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고려대 경영학과 3학년 김예슬씨의 '자발적 퇴교' 선언과 대자보에 대한 기사(<경향신문> 3월 11일자)였습니다. 그 600원짜리 신문을 사서는 지하철에 올랐습니다. 그리곤 바보처럼 읽고 또 읽으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사람들로 빼곡해서 옴싹달싹도 하기 힘든 만원 지하철에서 말이죠.

 

아르바이트 장소에 도착하자마자 저는 몰래 무언가를 마구 쓰기 시작했습니다. 김예슬씨의 선언에 대한 지지글이었습니다. 그걸 프린트하고 복사해서 고대생 친구에게 건네주었지요. 고려대학교에 부착된 김예슬씨의 대자보 옆에 그걸 붙였습니다.

 

별 힘이 되지 못하겠지만 울림을 받은 자의 책임이라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선언'된 하나의 '사건', 한국사회와 20대에겐 결정적이며 시초적일 수밖에 없는 '반전'의 계기 앞에서 무력한 구경꾼이 되고 싶지 않아서입니다.

 

2003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 입학한 저는 학교에 다닌 3~4년 내내 수업 하나 제대로 들은 적 없는 못난 대학생이었습니다. 하나의 공포가 대학 시절 내내 저를 지배했는데 현대기업경영 첫 수업날, 교수님이 하시는 이야기를 듣고 겁에 질렸던 겁니다. 그는 "고대 경영대 정도 나왔으면 벤츠나 아우디 정도는 타줘야지"라는 농담을 던졌습니다.

 

"고대 나왔으면 벤츠 정도는"... 교수님 얘기에 섬뜩했습니다

 

모두들 웃었는데 왜 나는 웃지 못했는지요. 그 말이 너무 무서웠고 섬뜩했습니다. 나는 남보다 뻔지르르하게 살겠다고 수능 공부를 열심히한 게 아닌데, 고작해야 외제차 하나 타겠다고 살아온 게 아닌데 말입니다. 제대로 수업을 들을 수 없었습니다. 외무고시를 봐라, CPA를 따라, 토익을 봐라 말도 많았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학사경고도 여러 차례 맞았으며, F학점 받은 게 한둘이 아닙니다.

 

우리는 꿈 대신 수능점수에 따른 입학 가능 대학을 따져보고 대학에 왔을 뿐인 것입니다. 저 역시 그러했고, 멍청하게 학교 건물이 번지르르한 게 멋져보여서 그곳에 갔을 뿐이었습니다. 제게 대학시절은 그리 즐거운 기억이 아닙니다. 그곳이 숨 막힐 듯이 답답했으며 사람들의 우울한 표정이 싫었습니다. 제 주위에는 저와 같은 친구들이 한 둘이 아니었습니다.

 

2007년 저는 결국 고려대학교를 졸업하지 못하고 다른 길을 위해 길을 나섰습니다. 좋은 영화를 만들겠다는 꿈을 가지고 말이죠. 제 주위에는 그런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어디에나 그런 사람들은 있을 겁니다. 그러나 이런 결심은 대단한 용기가 뒤따르지요. 당신의 환상이 깨어질 수도 있습니다. 암담하고 막막한 미래가 답답하긴 매한가지일 것이며, 어딜가나 이윤중심의 풍조는 당신을 숨 막힐 정도로 괴롭힐 것입니다.

 

고려대에 다니던 시절 2학년 때부터 저는 과외를 할 수 없었습니다. 누군가는 저처럼 또 꿈 대신 점수만을 생각하며 대학에 들어오게 한다는 게 너무나 큰 죄악처럼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과외를 할 수밖에 없는 친구들의 처지도 이해가 갔습니다. 고려대학교의 턱없이 높은 등록금 때문에 수차례 휴학하는 사람들이 수두룩하니까요. 그건 마치 대학에 다니기 싫어도 대학에 계속 다니는 동 세대의 삶을 이해하는 것과 같습니다.

 

개인의 선택을 '사건화' 한 김예슬씨, 당신도 보여주세요

 

 

저는 냉면 배달, 피자 배달, 무대 철거, 사무보조 여러 가지 일을 해볼 수밖에 없습니다. 아마도 앞으로 예슬씨도 그렇겠지요. 언제는 일용직 전시회장 철거 알바를 하며 짐을 나르다가 까만 양복을 빼입은 대기업 사원 후배를 만나기도 했습니다. 아는 체도 하기 어렵더군요. 그러나 그때 왜 인사하지 못했을까 후회도 됩니다. 당당히 인사도 못할 삶을 사는 건 아닌데 말이죠. 어느새 저는 억눌린 채로 점점 자신감을 잃어왔던 겁니다.

 

훌륭한 영화감독이 될 수 있을까, 평생 가난하게 살게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 거친 세상은 우리의 자신감과 꿈을 온전히 보존하기 어렵게 만드니까요. 그러나 우리는 도망간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저들이 정해놓은 각본을 '거부'한 것입니다. 당당하게 이야기하고 떠들어댑시다. 논평하길 좋아하는 자들에게는 침묵으로 대꾸해주고, 뒷말하길 좋아하는 자들에게는 미소로 답해줍시다. 진짜 행복을 아는 사람들은 그런 사소하고 신경증적인 아웅거림들에 신경쓰지 않습니다.

 

저는 여러분처럼 잘날 것 하나 없고 내세울 것 하나 없는 겁쟁이 20대입니다. 그런 제가 지하철에서 우연히 예슬씨의 선언을 접한 건 정말 큰 행운입니다. 학생운동과 멀어진 이래 아주 오랫동안 저는 소심한 개인의 삶을 살아왔거든요. 저는 이 행운이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데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슬씨는 지극히 개인적인 삶의 선택, 행로를 바꾸는 용기의 감행을 '사건화'시킨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걸 두고도 왈가왈부 말이 많지만 저는 예슬씨가 학교를 그만둔 것보다도 익명의 무기력자들에게 그 선언을 밝혔다는 것에 더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그래서 저 역시 개인의 이름으로 소심한 대자보를 붙인 것입니다. 아침까지만 해도 삶 앞에 지쳐서 '하악하악'대던 저는, 예슬씨가 선언을 통해 감행한 그 '사건'으로 인해 다시 용기를 얻었으며 가슴이 뜨거워졌습니다.

 

이것은 하나의 행동 양식입니다. 예슬씨는 이 슬프고 불쌍한 20대 개인들뿐에게만 아니라, 벅찬 저항의 과제들 앞에서 우왕좌왕하며 갈피를 못 잡던 소위 '운동권'에게도 하나의 새로운 양식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도 이제 우리들 개인 각자의 삶과 모종의 '금지된' 용기에 대해 이야기하고 선언해나갑시다.

 

사도 바울은 예수의 부활 그 자체를 '선언'함으로써 무수한 뜬 소문들 중 하나에 불과했던 그것을 하나의 '진리', '사건'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김예슬씨는 자기 개인의 용기어린 선택을 '선언'함으로써 '사건'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이제 공은 당신에게 넘어갔습니다. 우리는 이 사건을 외롭지 않게 만들 책임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하지 '않은' 모든 것은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

 

여러분에게 요청합니다. 그녀로부터 큰 울림을 받았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이 보여줄 수 있는 용기를 선언해주십시오. 그리고 그것들이 '사건'이 될 수 있도록 움직여주십시오. 오늘(3월 12일) 아침, 고려대학교 학교 당국은 예슬씨 대자보 옆에 붙어 있던 무수한 응원메모들, 소자보들을 모두 철거했다고 합니다. 저분들이 두렵기는 한가 봅니다. 이는 예슬씨를 고립시키려는 얄팍하고 치사한 수작입니다. 온전하고 멀쩡한 '대학사회'의 책임자라면 자유로운 의사 개진에 '철거'로 답하진 않습니다.

 

대학이 스스로 자신의 치졸함을 보여준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인터넷의 구경꾼들로 남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가, 사건을 만들어야 합니다. 결코 다 같이 예슬씨처럼 자퇴해야 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우리가 하지 않은 모든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입니다. 이 모순덩어리 각본 앞에 계속 복종하겠습니까, 아니면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길을 택하시겠습니까? 묻고 싶습니다.

 

우리 앞에 던져진 하나의 거대한 근본적 질문을 회피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결국 그 질문을 회피한 자들은 어느새 힘 센 분들 옆에 안착한 386세대처럼 '곱상하게' 늙을 것이며, 회피하지 않는 자들은 새로운 시대의 첫 번째 입장객이 될 것입니다.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이 이 대자보를 읽은 우리들의 의무이자, 예슬씨가 우리들에게 안겨준 과제입니다.

 

저 자신을 포함한 20대 모두에게 묻습니다. 당신은 이제 무엇을 할 것입니까?


태그:#고대생 자퇴, #김예슬, #자퇴, #거부선언, #대학사회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9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