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시사저널>이 삼성그룹 관련 기사 삭제로 인해 편집국 기자들의 파업 사태까지 이른 가운데 시민·언론단체들이 <시사저널> 899호(8일 발행)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며 경영진을 향해 편집권 독립을 촉구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과 '<시사저널> 편집권 독립과 정상화를 위한 시민사회단체·언론단체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9일 각각 발표한 논평을 통해 "사측이 대체인력을 투입해 만든 899호는 이름만 <시사저널>일뿐"이라며 "이번 사태는 기자들의 요구대로 편집권 독립만이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899호는 금창태 사장이 노조 파업에 대비해 외부 회사와 콘텐츠 계약을 맺고, 지난해 12월 비상근 편집위원 13명을 위촉해 금 사장과 편집위원 중심으로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쩌다 <시사저널> 이 지경까지…"

@BRI@민언련은 899호에 대해 "내용과 형식 모두에서 함량미달로, <시사저널> 전현직 기자들을 비롯해 언론계에서 '짝퉁'으로 불릴 정도"라며 "정보적 가치, 시의성, 심층성 등 기사를 평가할 수 있는 어떤 잣대를 적용해도 전통있는 시사주간지라고 볼 수 없는 내용들로 채워졌다"고 비난했다.

민언련은 "커버스토리인 '2012년 부활 노리는 노무현의 속셈'는 분석의 객관적 근거가 부족해 무엇을 근거로 기사를 썼는지 의심스럽다" "류근일 조선일보 주필의 '스페셜 인터뷰'를 다뤘는데, 그가 왜 스페셜한 인터뷰 대상으로 선정됐는지 납득할 수 없다", "발로 뛰는 기사를 좀처럼 찾기 어려웠다"는 등 899호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또한 "전체적인 지면 디자인도 독자를 당혹스럽게 한다"며 "그동안 <시사저널>의 분위기와 맞지 않는 튀는 그림, 인터뷰 주인공의 머리 부분을 자르거나 사진과 사진을 어색하게 겹친 편집, 기사 양의 부족으로 기사보다 사진이 많은 지면 등은 이전의 <시사저널>과 달랐다"고 말했다.

민언련은 "어쩌다 <시사저널>이 이 지경에 이르렀느냐"며 "함량미달의 잡지로는 주간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없고, 결국 회사도 큰 손해를 보게 된다는 점을 경영진도 모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언련은 "노동조합이 요구하는 편집국장 중간평가제 등 편집권 독립의 장치는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다"며 "편집국장이 경영진의 전횡을 거부하고 편집권 독립을 실천할 수 있도록 중간평가제를 도입하자는 요구조차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사실상 사측이 사태 해결의 의지를 갖고 있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심상기 회장이라고 정상화를 위해 시민사회와 언론계의 충정어린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면서 "노조의 편집권 독립 요구를 수용하는 용단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시사저널>의 쇠락, 어쩔 작정이냐"

문화연대·전국언론노동조합 등으로 구성된 공대위는 "이번 사태를 촉발시키고 이 지경까지 몰고 온 책임은 '편집권 독립'이라는 기자들의 정당한 요구를 무시한 사측"이라며 "사측은 사태를 파국으로 몰면서 편집위원이라는 대체 인력을 꾸려 결국 내용과 형식에서 도저히 <시사저널>이라고 부를 수 없는 잡지를 독자들 앞에 내놓았다"고 비난했다.

공대위는 경영진을 향해 "도대체 어디까지 사태를 악화시킬 작정이냐"며 "비상식적인 기사 삭제에 항의하는 기자들을 징계하고, 이를 비판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언론매체를 고소한 것만으로 이미 <시사저널>은 공신력에 큰 상처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사측이 한시라도 빨리 전향적인 태도로 사태 수습에 나서지 않는다면 <시사저널>의 회생과 명예회복은 점점 더 멀어질 뿐"이라며 "편집권을 움켜쥐고 쇠락의 길로 갈 것인지 아니면 지금이라도 편집권 독립 방안을 마련해 정상화에 나설 것인지 현명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대위는 <시사저널> 사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국 22개 시민·언론단체들이 지난해 10월 12일 발족한 연대단체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