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영도 태종대 가는 고갯길에 있는 흰여울길
김병기
태종대로 가려고 영도다리를 건넜다. 두 갈래 길이 나왔다. 내비게이션은 우측 도로로 안내했다. 가파른 첫 고갯길, 자전거를 끌고 고개 마루쯤에 있는 흰여울길로 들어가니 묵호항 논골담길에서 보았던 풍경이 펼쳐졌다. 오래된 집 담벼락과 허리춤까지 올라오는 담 사이의 거리는 두 걸음도 채 안 될 듯했다. 담 밑은 깎아지른 절벽.
6.25 전쟁 때 피난민들의 아픔과 시간의 흔적, 가파른 절벽 끝에 매달렸던 삶 속으로 문화마을 영화기록관, 두레박 쉼터, 점집, 작은 갤러리, 카페, 공방 등 아기자기한 가게들이 들어섰다. 젊은이들이 가게에 머물거나 벼랑길을 누비고 다녔다.
바다 쪽을 바라보니 배들의 주차장을 방불케 하는 장면이 연출됐다. 20~30여척의 배가 바다 한가운데에 떠 있었다. 부산으로 들어오는 화물선이나 원양어선들이 급유를 위해 머무는 '묘박지'였다. 뱃고동 소리가 힘차게 들렸다. 담벼락 밑 나무데크에 엎드려 졸고 있는 고양이는 기척도 안했다.
다시 험난한 '업힐'이 시작됐다. 중리산(150m)을 넘어 태종산(252.4m) 기슭의 태종대에 오르는 7.2km 구간의 절반은 자전거를 끌고 걸어서 고개를 넘은 듯했다.
"자전거 못 들어갑니다. 끌고 갈 수도 없어요. 들고는 올라갈 수는 있습니다."
▲부산 태종대 입구.
권우성
태종대라고 적힌 큰 표지석을 지나 고개를 오르려는 데 주차요원이 웃으면서 막았다. 가로수 기둥에 자전거를 묶고 걷기 시작했다. 부산 영도에 있는 국가지정문화재이자 국가지질공원인 태종대. 신라 태종 무열왕이 이곳에 와서 활을 쏘아서 태종대로 불렸다는 게 '동래부지'에 기록돼 있다.
곰솔이 우거진 오르막을 오르니 탁 트인 바다가 모습을 드러냈다. 맑은 날에는 대마도도 보인다고 하는 데, 날이 흐렸다. 대신 먼 바다에서부터, 벼랑을 차고 오르는 바람, 바람소리... 한참을 걸으니 기암괴석, 몽돌해변도 나타났다. 걷는 데 족히 1시간이 걸리는 국가명승지의 4km 남짓한 전망로가 아스팔트로 잘 포장돼 있다는 게 아쉬웠다.
▲ '한국의 마추픽추'... 파스텔 톤 감성마을 탄생 비화 해안선 1만리 자전거 여행을 떠났다. 첫 행선지는 동해안 고성부터 부산까지. 이 영상은 동해안 여행을 마무리하면서 만든 13편, 마지막 영상이다. 해운대달맞이공원부터 부산 을숙도까지 두 바퀴 인문학 여정을 담았다. 관련기사를 보시려면 “자갈치시장 횟집서 '자갈치' 찾지 마라... 왜냐면?”(http://omn.kr/1w9z9“, '한국의 마추픽추'... 파스텔 톤 감성마을 탄생 비화”(http://omn.kr/1w9ze) 기사를 클릭하시면 된다.
ⓒ 김병기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