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퍼 <루퍼>는 시간 여행이라는 컨셉을 담기는 하지만 ‘자기 소멸’에 관한 영화이자 ‘자살의 아이러니’로 가득한 영화다. 그런데 미래로부터 전송된 암살 대상이 루퍼 자기 자신이라면 선뜻 방아쇠를 당길 수 있겠는가?

▲ 루퍼 <루퍼>는 시간 여행이라는 컨셉을 담기는 하지만 ‘자기 소멸’에 관한 영화이자 ‘자살의 아이러니’로 가득한 영화다. 그런데 미래로부터 전송된 암살 대상이 루퍼 자기 자신이라면 선뜻 방아쇠를 당길 수 있겠는가? ⓒ (주)유니코리아문예투자


사람들은 지가의 앞날을 알고 싶어 한다. 그래서 그토록 점집을 찾거나 타롯 카드를 찾는 지도 모른다. 한데 만일 자기가 언제 죽을지를 알게 된다면 그 사람은 자신이 죽기 전까지 하루하루를 성실하게 살까, 아니면 '인생 뭐 있어' 하는 태도로 생의 마지막까지 허랑방탕하게 살다 갈까.

<루퍼>는 시간 여행이 소재지만 '자기 소멸'에 관한 영화이자 '자살의 아이러니'로 가득한 영화다. 영화 속 루퍼는 요즘 시대로 말하면 '킬러'다. 없애야 할 대상이 미래로부터 전송되면, 루퍼는 암살 대상에게 산탄총 한 발 발사하고 시신을 소각로에 집어넣으면 그만이다.

그런데 미래로부터 전송된 암살 대상이 루퍼 자기 자신이라면 선뜻 방아쇠를 당길 수 있겠는가? 미래에서 온 암살 대상이 자기라는 사실을 모른 채 산탄총알을 선물했다가, 시신의 두건을 벗겨보니 미래의 자신이라는 걸 알게 되면 그날로부터 루퍼는 자기가 언제 죽을지를 아는 시한부 인생을 사는 셈이다. 영화 <나비효과>의 감독판에 담긴 비극적인 결말이 자연스레 겹치는, 자기가 자기를 죽여야 하는 자기 살해의 아이러니, 혹은 자기 소멸의 이야기를 담는 영화가 <루퍼>다.

더불어 <루퍼>는 <터미네이터> 혹은 <악마의 씨>와도 궤를 같이 한다. 미래에서 온 조(브루스 윌리스)가 과거로 날아와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잡으려 드는 건 미래의 아내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만일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제거한다면, 미래에서 만날 조의 아내는 레인메이커의 부하에게 생명의 위협을 당할 일도 없다.

루퍼 <루퍼>는 <터미네이터> 혹은 <악마의 씨>와도 궤를 같이 한다. 미래에서 온 조(브루스 윌리스)가 과거로 날아와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잡으려 드는 건 미래의 아내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만일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제거한다면, 미래에서 만날 조의 아내는 레인메이커의 부하에게 생명의 위협을 당할 일도 없다.

▲ 루퍼 <루퍼>는 <터미네이터> 혹은 <악마의 씨>와도 궤를 같이 한다. 미래에서 온 조(브루스 윌리스)가 과거로 날아와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잡으려 드는 건 미래의 아내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만일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제거한다면, 미래에서 만날 조의 아내는 레인메이커의 부하에게 생명의 위협을 당할 일도 없다. ⓒ (주)유니코리아문예투자


어린 아이인 레인메이커를 미래의 조가 잡으려 든다는 건 <터미네이터>의 살인기계 T-101, 혹은 T-1000이 어린 존 코너 혹은 존 코너의 엄마가 될 사라 코너를 없애려 드는 스토리라인과 궤를 같이 한다. 사라 코너 혹은 어린 존 코너를 살인기계가 없애준다면 미래의 세상에서 인간 저항군은 우두머리 없는 오합지졸이 될 테고, 그렇다면 기계는 인간 저항군을 싹쓸이하기가 그만큼 쉬워질 것이다.

다시 <루퍼>로 돌아와서 살펴보자. 현재의 루퍼들이 미래에서 전송되는 루퍼 자기 자신을 살해하도록 만드는 아이러니의 장본인은 레인메이커다. 레인메이커 한 사람만 사라지면 루퍼들이 시한부 인생을 살 필요도 없을 테니 미래의 조가 필사적으로 어린 아이인 레인메이커를 제거하려 든다는 건 루퍼 자신들의 시한부적 인생을 극복하겠다는 의지이기도 하다.

공포영화의 시점으로 레인메이커를 바라보면 어린 아이인 레인메이커는 <악마의 씨>와 오버랩할 수 있다. <악마의 씨>에서 로즈마리의 배속에 있는 아이는 축복을 받아야 할 고귀한 생명이 아니다. 남편의 그릇된 악마와의 계약에 의해 잉태된 저주받은 생명이다. 악마의 씨앗을 태중에 품는 셈이다.

<루퍼>의 어린 레인메이커 역시 마찬가지다. 누군가에게는 그 무엇보다 소중한 어린 생명이겠지만 미래 세계라는 전지적 관점에서 볼 때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생명이기도 하다. 레인메이커가 다스리는 세상이 유토피아가 아니라 루퍼를 하나씩 과거로 전송함으로 피의 숙청을 단행하는 공포정치의 세상, 디스토피아이기 때문이다.

루퍼 잘못된 미래를 수정하기 위해서라면 과거로 돌아와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뒤쫓아야 하는 어린 아이의 학살을 감행해야만 하는, 미래의 조가 벌이는 비정함은 <터미네이터> 그리고 <악마의 씨>와 궤를 같이 한다.

▲ 루퍼 잘못된 미래를 수정하기 위해서라면 과거로 돌아와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뒤쫓아야 하는 어린 아이의 학살을 감행해야만 하는, 미래의 조가 벌이는 비정함은 <터미네이터> 그리고 <악마의 씨>와 궤를 같이 한다. ⓒ (주)유니코리아문예투자


잘못된 미래를 수정하기 위해서라면 과거로 돌아와 어린 시절의 레인메이커를 뒤쫓아야 하는 어린 아이의 학살을 감행해야만 하는, 미래의 조가 벌이는 비정함은 <터미네이터> 그리고 <악마의 씨>와 궤를 같이 한다.

자기가 자기를 죽여야 하는 아이러니를 더 이상 루퍼들이 겪지 않으려면, 미래의 조가 유아 살해라는 오명을 겪으면서도 감당해야 한다는 걸 <루퍼>는 묘사하고 있다. 자기 자신을 과거의 자신이 죽이는 자살의 아이러니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면 유아를 살해해야만 하는 SF의 디스토피아를 묘사하는 영화가 <루퍼>다.

루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