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더불어민주당 김종민(왼쪽부터), 윤영찬, 조응천, 이원욱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칙과 상식'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민(왼쪽부터), 윤영찬, 조응천, 이원욱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칙과 상식'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그쪽이라면 저도 할 말이 있는데요."

그동안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비명계(비 이재명계)'로 불리던 김종민·윤영찬·이원욱·조응천 의원을 연달아 발언대로 나서게 한 질문 하나가 있었다. "친명이나 친문 등 '팬덤 정치'는 오래도록 정치권과 함께해 온 '양념' 아니었냐"는 질문이다.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칙과 상식 출범' 기자회견 후 이어진 브리핑 자리에서다.

"제가 친명, 친문 팬덤으로부터 꾸준히, 지속적으로 공격을 받아온 사람인데 매운맛이 달라요. 그동안은 그러려니 했는데 제가 당해 온 것 중에 요즘이 제일 세요."

발언대로 나선 조응천 의원은 "'오프(비보도 전제)'라면 더 심한 사례도 말씀드릴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강성 지지층의 행동을 보면) 같은 당과 정치 이념을 가진 사람으로 우리를 대하는 게 아닌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원욱 의원 역시 이날 "지난 추석 때 SNS에 공개한 적 있었죠"라는 말로 운을 뗐다. 그는 "제가 보낸 내용은 '추석을 잘 보내라'는 내용이었는데 답변으로 수많은 욕설이 왔다"며 "너 같은 것이 왜 민주당이냐, '국짐당(국민의힘 비하 표현)'이냐는 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이 걸(팬덤 정치) 놔두고 당 민주주의 만들어 낼 수 없다"고 비판했다.

"'팬덤 정치' 속 민주주의 병든다"
 
더불어민주당 이원욱(왼쪽부터), 윤영찬, 김종민, 조응천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칙과 상식'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원욱(왼쪽부터), 윤영찬, 김종민, 조응천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칙과 상식'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당내 비명계 의원들이 '원칙과 상식'이라고 불리는 당내 모임을 띄웠다. 대한민국 정치에 "원칙이 무너졌고 상식도 실종됐다"는 문제의식 아래다.

이날 네 명의 의원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저희는 대한민국 정치에 원칙과 상식을 다시 세우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비명계로 불려왔지만, 이제 비명계 프레임을 벗어 던지겠다. 누구를 반대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민주당의 무너진 원칙을 되살리고 국민이 요구하는 상식의 정치를 세우겠다"고 모임 설립 취지를 밝혔다.

이들 의원은 대한민국이 민생, 미래, 민주주의의 위기에 빠져 있다면서 가장 큰 책임은 집권 세력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윤석열 정권을 떠난 민심이 민주당으로 모이지 않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간 내년 총선도 비호감 총선이 될 것이다, 올해가 가기 전에 강한 야당으로 가기 위한 민주당의 변화와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 의원이 이날 '원칙과 상식을 되돌릴 방법'으로 소개한 건 크게 세 가지다. 먼저 이들은 "방탄 정당, 돈봉투 정당, 코인 정당이라는 국민 불신을 그대로 놔두고는 검찰 독재를 압도할 수 없다"며 민주당의 도덕성 회복을 주문했다.

또 "친명 일색의 지도부, 강성 지지층, 외부의 유튜브 언론 등이 지배하는 획일적, 전체주의적 목소리로는 국민의 민주당으로 갈 수 없다"며 "강성 팬덤 정치와 과감하게 결별하고 당내 민주주의를 회복할 것"을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민생과 미래를 위한 비전을 내놓고 선도하는 비전 정치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 '재명이네 마을' 이장직 사퇴해 팬덤 정치와 결별하라"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칙과 상식'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원칙과 상식'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이날 기자회견의 방점은 주로 '강성 팬덤 정치와의 결별' 쪽에 찍혔다. 

이원욱 의원은 앞서 백브리핑 자리에서 "실제 많은 의원들이 저희 취지에 공감하고 있음에도 (모임에) 이름 올리기 어려운 것은 이재명 대표에 조금이라도 쓴소리를 하면 수박으로 낙인 찍히고 친명 감별사 사이트에 올라가기 때문"이라며 "거기다 김어준 등 강성 유튜버들까지 나서 여론조사를 빙자한 여러 수단을 동원, 가짜뉴스까지 (생산하고 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는 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할 당의 과제다. 이재명 당 대표가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며 "첫 번째는 가짜뉴스를 만드는 진원지인 '재명이네 마을' 이장직에서 사퇴하는 것"이라고 지목했다. 이어 "둘째는 강성 팬덤 유튜버들을 주도하는 유튜브 채널에 정치인들을 출입 금지 시키는 것"이라며 "그것만으로도 간단히 강성 팬덤, 개딸 유튜버들과 단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종민 의원 역시 같은 자리에서 "국민의힘은 민주당보다 훨씬 비민주적인 정당이지만 (강성 팬덤 면)에서는 민주당이 더 악화돼 있다"라며 "그 이유는 이준석 전 국민의힘 당 대표가 대표 시절 극우 유튜버와 단절하고 당직자들의 (극우 유튜브 채널) 출연을 금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준석 정치'에 다 찬성하는 건 아니지만 (극우 정치 세력과) 선을 그어놓은 건 이준석 정치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의원들은 탈당에 대해 '일단' 선을 그었다. 윤영찬 의원은 "(탈당과 관련해) 네 명의 의원들이 얘기해 본 적은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 역시 앞서 탈당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우리와 뜻을 함께하는 이들이 40~50명이 있다"며 "이름을 공개하고 함께하지 못하더라도 에너지를 모아 당을 바꾸는 데 전력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김 의원은 "한 달 동안 최선의 노력 결과로 당이 바뀔 것이라 기대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을 때는 그떄가서 어떤 결단을 내릴지 (모르겠다)"라며 말을 흐렸다.

한편 네 명의 의원은 그동안 개별적으로 방송, 개인 SNS를 통해 견해를 밝혀왔던 것과 달리 앞으로는 '원칙과 상식' 모임 논의를 토대로 '방향성'을 갖고 행동할 방침이다. 모임의 구체적인 방향성 또한 차차 논의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태그:#비명계, #이원욱, #조응천, #윤영찬, #김종민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