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돌이켜보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는 12년 전 동일본 대지진에 이은 쓰나미로 핵발전소가 침수되었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그로 인한 재앙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아무리 기술상 완벽을 자신하여도 예측불허의 사고는 일어날 수 있다."

경남녹색당은 1일 낸 "후쿠시마 오염수 무단 투기를 절대 반대한다. 정부는 생태 재앙이 될 수 있는 핵발전소 건설계획을 중지하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국민의 80% 가까이 반대하고 있는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무단 투기 시점이 턱밑으로 다가왔다"며 "후쿠시마 오염수 무단 투기 계획에 단호히 반대한다"라고 했다.

이어 "바다는 인간과 뭇 생명의 원천이고 영원한 삶의 터전이기 때문이다. 일본이 선례가 되어 바다가 온갖 핵시설의 방사능 오염수를 무단 방류하는 국제 쓰레기장이 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핵오염수 해양투기에 대해, 이들은 "성능도 검증되지 않고 고장도 잦은 알프스(ALPS)라는 다핵종제거설비로 그 많은 핵 오염수의 방사능물질을 다 걸러낸다는 것을 어떻게 믿을 수 있는가? 더구나 그동안 거짓과 은폐로 일관한 도쿄전력이라는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방류가 아닌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아무리 너른 태평양이지만 투기되는 모든 방사성 물질이 균일하게 섞인다는 보장도 없다. 바다 생태계가 오염된 곳의 먹이 사슬을 통하여 축적되어 인체에 들어온 방사능물질이 내부 피폭을 일으킬 수 있다"라고 했다.

이어 "향후 30년 이상을 방류할 예정인데 방사능에 취약한 어린이, 노약자와 임신부의 건강은 어떻게 담보할 수 있는가? 안전을 100% 확신할 수 없다면 사전예방원칙에 따라서 위험한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핵발전소 수명연장에 대해, 이들은 "정부는 생태 재앙이 될 수 있는 핵발전소 수명 연장과 신규 발전소 건설을 기후위기 대응책이라며 막무가내 추진하고 있다"며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서 2030년까지 원전 발전 비중을 32%로 크게 상향하고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핵발전소 터를 다지고 있다. 노후 핵발전소인 고리 2호기의 수명 연장뿐 아니라 신규 핵발전소 추가 건설까지 꾀하고 있다"라고 했다.

경남녹색당은 "핵발전소는 기후위기 시대의 산불, 태풍 등 극한 기후와 테러의 위험에 취약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는 아직 고준위 핵폐기물을 저장할 시설의 부지도 없다. 아니 부지를 찾는 논의조차 못 하고 있다"라며 "게다가 핵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는 탈탄소 에너지 시대에 기업 활동의 필수 요건이 된 RE100을 만족하는 재생에너지 전기가 아니어서 국가 경쟁력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했다.

경남녹색당은 "후쿠시마 핵 오염수 투기 계획 철회를 일본에 강력 촉구하라", "핵 오염수 투기 즉시 일본 연근해의 수산물 수입을 제한하라", "노후 핵발전소 수명 연장과 신규 핵발전소 건설계획을 전면 중지하라"고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의 긴급 구호 메시지. 일본 정부는 핵오염수 해양투기 계획을 철회하라!
 환경운동연합의 긴급 구호 메시지. 일본 정부는 핵오염수 해양투기 계획을 철회하라!
ⓒ 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태그:#경남녹색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