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

관련사진보기

 
대통령실은 20일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가능성을 열어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러시아의 반응에 "러시아 당국이 일어나지 않는 일에 대해 코멘트를 한 격이 되는데,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는 향후 러시아의 행동에 달려있다고 거꾸로 생각하면 될 듯하다"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어제(19일) 윤 대통령의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 말씀은 상식적이고 원론적인 대답이었다"고 거듭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리고는 윤 대통령의 발언은 "인도적 기준에서 국제사회 모두가 심각하다고 할 민간인 살상이나 인도적 문제가 발생한다면, 그런 가정에서 한국도 지켜만 볼 수 있느냐는 표현"이라고 재차 설명했다(관련 기사 : 대통령실 "러시아 언급은 가정 상황, 코멘트 않겠다" https://omn.kr/23lm8).

그는 우크라이나 지원과 관련해 "우리의 입장은 계속 유지된다. 국제사회가 공분할 만한 대량 민간인 희생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이라는 조건부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이에 앞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재 한국이 해오는 우크라이나 지원 내용에 변화가 없다"면서 "인도적 지원과 재정적 지원을 작년보다 올해 더 적극적으로 하고, 앞으로 필요하면 우크라이나 국민 재건을 위해서도 논의할 수 있다"이라고 알렸다. 

이어 "우리나라 국내법에 바깥 교전국에 대해서 무기 지원을 금지한다는 법률 조항이 없다"면서 "외교부 내부 훈령을 봐도 어려움에 빠진 제3국에 군사지원을 못 한다는 조항 없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우리가 자율적으로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한 국제사회 대열에 적극 동참하면서도 한-러 관계를 안정적으로 동시 관리해야 한다는 걸 동시에 충족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가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현재 준비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이 고위 관계자는 오는 26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무기지원이 의제가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지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한·미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 지원할 것이냐'는 내용은 현재 준비되고 있지 않다는 것"면서 "이미 우리가 자체적으로 지난 1년 동안 계획에 따라 준비하고 있고 그때그때 미국과 필요한 협의해왔다"고 답했다. 

추가로 나온 질문은 전날(19일)에 이어 이날 러시아 외무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어떠한 무기 제공도 반러시아 적대 행위로 간주하겠다"고 항의하고, 중국이 윤 대통령의 양안(중국-대만) 관계 언급에 반발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 대한 대응책이 무엇이냐는 것이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상대방이 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거기에 대해 걱정이 있다는 것"이라며 "한-중 관계는 상호존중과 호혜의 원칙에 따라 이미 약속한 규범을 지키고 국제사회 룰을 철저히 준수한다면, 필요한 대화를 적극 확대해나가겠다는 원칙이 있다. 여기에 대해선 러시아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태그:#윤석열, #우크라이나, #러시아, #로이터통신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