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그린피스의 시위모습
 그린피스의 시위모습
ⓒ 한기양 목사

관련사진보기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장기 보관'이라는 대안을 두고도 침묵한 윤석열 대통령도 공범이다.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열린 한일 정상 회담에서 주요 피해국이 될 수밖에 없는 한국의 정상이 침묵했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무책임함이다."

3월 16일 한일 정상 회담을 두고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이 공동 입장문을 내고 한 말이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한일 정상 회담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바다 생태계의 생명과 그 바다에 기대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핵테러를 묵인한 회담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일본 정부는 방사성 오염수를 물로 희석해서 버리면 환경에 영향이 없다고 주장한다"고 설명한 뒤, 하지만 "물로 희석해 바다에 버린다고 해도 버려지는 방사성 물질의 총량에는 변함이 없기에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구나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에는 삼중수소 외에도 수많은 방사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일본 정부가 주장하는 과학적으로 안전하다는 말도 일방적 주장에 불과하다"며 "방사성 물질의 생물학적 농축은 무시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를 계획대로 방류할 경우, 우리 시민들의 먹거리 안전이 위협받고 한일 어민들의 생계가 위태로워질 것이 자명하다"며 "그렇기에 한국과 일본의 시민 안전을 위해 오염수 해양 방류가 아닌 '지상 장기 보관' 해법에 합의하는 것이 양국 정상의 책임있는 자세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기 보관이라는 해법이 분명한데도 일본 정부가 '안전하다'는 거짓말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는 것은, 끝나지 않은 후쿠시마 핵사고의 후유증을 감추고 핵발전의 위험을 축소하려는 어리석은 판단"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일본의 국제적 핵테러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밝히지 못하고 침묵하면서 국내에서는 '기승전핵'만 외치는 윤석열 대통령 역시 공범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평했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은 끝으로 "후쿠시마 오염수의 안전한 장기 보관을 염원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해양 방류를 통해 생태계와 시민 안전을 위협하려는 기시다 총리와 이 범죄적 행위에 침묵한 윤석열 대통령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한일 정상은 지금이라도 오염수 장기 보관 해법에 합의하라"고 촉구했다.
누리꾼과 함께하는 팩트체크 :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래 6단계 이미지를 클릭시 피노키오 지수가 올라갑니다.
2
0
0
0
0
1

태그:#일본 오염수 방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