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가보훈부 승격과 재외동포청 신설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공포안 서명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이날 공포된 정부조직법에 따라 오는 6월 국가보훈처는 '부'로 격상되고 외교부 산하에 재외동포청이 신설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가보훈부 승격과 재외동포청 신설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공포안 서명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이날 공포된 정부조직법에 따라 오는 6월 국가보훈처는 '부'로 격상되고 외교부 산하에 재외동포청이 신설된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정부 출범 이후 9개월 만에 첫 정부조직 개편에 나서 국가보훈처를 국가보훈부로 승격시킨 윤석열 대통령은 "정부는 호국영웅들을 한치의 소홀함 없이 책임있게 예우할 것"이라며 "호국영웅들께서 온몸으로 지켰던 자유의 정신을 더욱 소중하게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2일 오후 4시부터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국가보훈부 승격 및 재외동포청 신설 서명식' 축사를 통해 "한 국가의 품격은 누구를 기억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분들이 존중받고 예우받는 보훈문화의 확산"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앞서 윤 대통령은 "어제 3.1절 기념사에서도 말씀드렸습니다만, 조국 위해 헌신하신 분들을 제대로 기억하지 않는다면 그런 국가는 미래가 없다"면서 "오늘 우리가 누리고 있는 눈부신 번영은 호국영웅들이 목숨 걸고 자유를 수호한 결과"라고 재차 강조했다.  

또한 '재외동포청' 출범 의미에 대해 "전 세계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전담조직의 출범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면서 "재외동포청의 신설은 선거과정, 해외순방, 우리 동포들을 뵐 때마다 약속을 드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750만 재외동포 여러분께서 체감할 수 있도록 지역별 분야별 맞춤형 동포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동포 여러분께서 안전하게 지내실 수 있도록 정부가 더욱 노력하겠다. 다양한 교류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와의 깊은 유대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국가보훈처의 국가보훈부 승격도, 재외동포청 신설도 모두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일이고 우리의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재외동포 보호라는 대한민국 헌법정신을 실천하는 길"이라며 "대한민국의 부름에 응답한 분들을 정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잊지 않을 것"이라는 다짐으로 축사를 맺었다. 

축사에 앞서 윤 대통령은 초청 인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국가보훈부 승격과 재외동포청을 신설하는 '정부조직법' 공포안에 대한 공개 서명식을 가졌다. 이때 "보훈문화는 곧 국격입니다. 국가보훈부 승격을 축하합니다"와 "재외동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심 재외동포청 신설을 축하합니다"라고 축하의 메시지도 남겼다. 

이도훈 대변인의 서면브리핑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행사를 마치고 참석자 전원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또 참석한 보훈가족의 청소년과 어린이들에게 "미래세대를 위한 보훈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약속했고, 어르신들에게도 "오랫동안 건강하시라"는 인사를 건넸다.

이외에도 윤 대통령은 1965년 파월 장병 훈련 중 이등병이 잘못 흘린 수류탄을 몸으로 막아 산화한 고 강재구 소령의 배우자 온영순 여사, 아들 강병훈씨와 인사를 나누며 "64년에 태어나신 아드님이 1년 만에 아버님을 떠나보내게 되어 상심이 크셨겠다"고 위로의 말을 전했다고 한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故) 윤영하 소령의 부모 등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 및 유가족들과 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상임대표를 비롯해 재외동포청 초청인사 등 총 30여 명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박진 외교부 장관,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이완규 법제처장, 신범철 국방부 차관,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 조지호 경찰청 차장, 남화영 소방청 차장, 신용해 법무부 교정본부장과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등이 함께했다.

태그:#윤석열, #국가보훈부, #재외동포청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