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고로쇠 수액 채취.
 고로쇠 수액 채취.
ⓒ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관련사진보기

 
'뼈에 좋은 봄의 기운'으로 자연이 만들어내는 이온음료인 고로쇠 수액 채취가 시작되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경남 진주 인공조림지에 식재된 우산 고로쇠나무 등 4종의 고로쇠나무에서 올해 첫 수액 채취 작업을 시작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소는 "고로쇠 수액은 일반적으로 경칩 전후로 채취되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온으로 채취 시기가 1월 중순까지 당겨졌다"고 했다.

고로쇠 수액은 밤 최저기온이 영하 2.1℃ 이하이면서 낮 최고기온 영상 10.6℃ 이하의 조건에서 일교차 10℃ 이상 차이를 보일 때 출수가 가장 활발하다.

남부지방에서는 이미 출수 적정 기온 범위에 드는 날이 잦아 진주 고로쇠나무 인공조림지뿐만 아니라 광양, 거제 등지에서도 1월 중순경 전후부터 고로쇠 수액 채취가 시작되었다.

연구소는 "최근 고로쇠 수액량이 감소하고 있는데, 지속된 겨울 가뭄이 생산량 감소의 중요한 요인일 것으로 예상되어 올해부터 진주를 비롯한 6개 지역을 선정하여 대기 온‧습도 및 토양 온‧습도와 출수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있다"고 했다.

서정원 연구소장은"기후변화 등 환경적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역별 적정 고로쇠 수액 출수 시기 예측 모델 개발에 힘쓰겠다"라며"출수시기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도를 높여 보다 많은 국민이 고로쇠 수액을 마실 수 있고 임가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하동군은 지리산 일대 최대 고로쇠 산지인 화개면 의신·범왕마을 일원에서 지난 주말부터 고로쇠 수액을 채취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하동군은 화개면을 비롯해 청암·악양·적량면 등 해발 500m 이상 지리산 자락에서 260여 농가가 고로쇠 수액 채취허가를 받아 수액을 채취한다.

이들 농가는 지난해 국유림 4962㏊와 사유림 60㏊에서 62만ℓ의 수액을 채취해 약 19억원의 농가 소득을 올렸다.

고로쇠 수액은 밤 기온이 영하 2∼3℃까지 떨어졌다가 낮 기온이 10∼13℃ 정도 오를 때 가장 많이 나오며, 눈·비가 오거나 바람이 부는 날에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고로쇠는 뼈에 이롭다고 해서 '골리수(骨利樹)'라고 불리며, 마그네슘·칼슘·자당 등 여러 가지 미네랄 성분을 함유해 관절염·이뇨·변비·위장병·신경통·습진 등에 효과가 있어 인기가 높다.

김정태 하동고로쇠협회 회장은 "하동산 고로쇠 수액은 청정 지리산에서 친환경적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수질이 매우 우수하다"며 "가격은 18ℓ들이 1말 기준으로 5만 5000원 선에서 거래된다"고 말했다.  
 
고로쇠 수액 채취.
 고로쇠 수액 채취.
ⓒ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관련사진보기

  
고로쇠 수액 채취.
 고로쇠 수액 채취.
ⓒ 하동군청

관련사진보기


태그:#고로쇠,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하동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