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차등흡광탐지측정기(DIAL)
 차등흡광탐지측정기(DIAL)
ⓒ 환경부

관련사진보기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1월 1일부터 11일까지 '영국 국립물리연구소(National Physical Laboratory)' 연구진과 공동으로 첨단광학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장 및 매립지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공동으로 조사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번 공동조사는 첨단광학 원격측정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영국 국립물리연구소'에서 올해 8월에 도입한 '차등흡광탐지측정기'의 국내 적용성 평가 및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환경부는 "양 기관은 우리나라 산업현장의 특성에 맞춰 광학원격측정이 구현될 수 있도록 최적의 시스템 구성방안에 대해 공동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차등흡광탐지측정기는 원거리에서 자외선(UV) 또는 적외선(IR) 레이저를 이용해 특정 파장에서 흡수되는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의 흡광량을 측정함으로 사람의 접근이 어렵거나 안전상의 위험이 있는 배출원의 오염물질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은 이번 공동조사를 통해 차등흡광탐지측정기가 탑재된 이동측정차량을 활용하여 '영국 국립물리연구소'의 배출원 측정기술과 경험을 배우고, 우리나라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맞는 현장측정 기법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번 공동연구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대기 배출원 관리의 선진화를 위한 좋은 기회"라며, "앞으로도 국립환경과학원은 기후변화 유발물질과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을 관리하고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국립환경과학원, #차등흡광탐지측정기, #환경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