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창원마산 3.15해양누리공원 쪽 해안에 죽은 정어리떼가 밀려와 수거 작업이 벌어지고 있다.
 창원마산 3.15해양누리공원 쪽 해안에 죽은 정어리떼가 밀려와 수거 작업이 벌어지고 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경남 마산‧진해만에서 발생했던 202톤가량의 정어리 떼죽음 원인은 '산소 부족으로 의한 질식사'로 결론 났다.

정어리 집단폐사의 원인을 조사‧분석해온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우동식)은 정어리 집단폐사 현상을 다각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9월 30일 창원마산 3‧15해양누리공원 해안가에서 정어리 집단폐사 첫 신고가 접수돼 창원시가 국립수산과학원에 분석을 의뢰했다.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소장 임현정)가 해수와 폐사체를 바탕으로 조사와 분석을 해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집단폐사 원인 규명을 위해 10월 2일부터 7일까지 현장조사, 생물 분석, 해양환경, 해양물리, 적조와 수산자원 변동 등 여러 항목을 살펴봤다.

현장조사에서 폐사체는 전장 14∼16cm의 정어리가 대부분이었고, 멸치, 돔류 등 다른 종이 극히 일부 혼재돼 있었으며, 입을 벌리고 폐사된 개체가 다수 발견됐다. 멸치, 돔류 등 다른 어종은 비율이 0.1% 미만이었다.

대량 폐사가 발생한 마산합포구 해양누리공원(마산만), 진동만 북부해역에서는 현장조사 당시 용존산소 농도 3㎎/L 이하의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수심 4m층부터 바닥층까지 관측됐다.

산소부족 물덩어리(빈산소수괴)는 바닷물에 녹아있는 산소 농도가 3㎎/L 이하인 물덩어리로 어‧패류의 호흡 활동을 방해한다고 연구소 측은 밝혔다.

남동해연구소는 "이같은 현상은 여름철 수온이 높아지면 밀도 차이에 의해 바닷물 상층부와 저층부 사이에 밀도 약층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바닷물이 섞이지 못해 상층부로부터 산소공급이 차단되면서 저층의 용존산소가 고갈되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생물분석에서 정어리의 대량폐사를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는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일부 폐사체에서 자연어에 보통 검출되는 병원체가 발견됐으나, 이로 인한 대량폐사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폐사한 정어리에서 근육 중 중금속 농도 역시 식품의 허용기준치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분석결과 납 0.065mg/kg, 카드뮴 0.117mg/kg, 수은 0.006mg/kg으로, 수산물(어류) 식품 기준(납 0.5mg/kg, 카드뮴 0.2mg/kg, 총수은 0.5mg/kg) 이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해양환경 조사 결과, 유해적조 생물은 발견되지 않았고, 해수 중 미량금속 농도 등도 양호하였으며, 해저퇴적물 내 유기물이나 황화물 등 오염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어류의 집단폐사를 일으킬 수준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또 "해수유동 예측시스템을 활용한 부유폐사체의 이동을 역추적한 결과, 폐사체는 만 안쪽에서 발생했고, 만 바깥쪽에서 유입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발생하고 ▲산소부족으로 폐사할 때 특이증상인 입을 벌린 폐사체가 다수 발견됐으며 ▲집단 폐사를 일으킬만한 전염병원체나 유해적조생물 및 유해물질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종합해 '산소부족에 의한 폐사'로 결론지은 것.

'산소부족에 의한 폐사'에 대해 대학교수와 연구원으로 구성된 민간자문단도 같은 의견이었다고 국립수산과학원은 밝혔다.

정어리는 다른 어종에 비해 산소요구량이 높은 어종으로, 과거 미국(2011년), 인도네시아(2016년), 칠레(2022년) 등에서도 용존산소 부족으로 정어리가 대량 폐사한 사례가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번 우리나라에서 정어리가 대량 발생한 이유는 남해 동부 연안, 제주 동부 해역에서 산란된 개체의 유입 증가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했다.

우동식 원장은 "수산생물의 대량폐사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어장환경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실시간 빈산소수괴 관측시스템의 수온 및 용존산소 수직 분포(진동만)
 실시간 빈산소수괴 관측시스템의 수온 및 용존산소 수직 분포(진동만)
ⓒ 국립수산과학원

관련사진보기


태그:#마산만, #정어리, #국립수산과학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