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포토마스크를 보고 있다. 왼쪽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포토마스크를 보고 있다. 왼쪽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대통령실 제공

관련사진보기

 
교육부가 미리 계획된 일정을 잇달아 바꿔가며 '반도체 인재 양성' 관련 행사를 급하게 만들고 있다. 정부 관계부처에서 이미 반도체 인재양성을 위한 계획을 결정한 것으로 확인돼, 균형을 잡아야 할 교육부가 상황에 떠밀려 '요식 행사를 급조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교육부의 첫 번째 의무는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 공급"이라면서 반도체 인력 양성을 지시한 뒤 일주일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14일 교육부는 반도체 관련 학계와 기업 전문가, 전공 대학원생 등을 불러 '반도체산업 생태계와 인재 수요' 공개토론회를 오는 15일 오전에 연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이례적으로 교육부 전체 직원 참석령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관리실장은 기자들에게 "교육부는 국가 인재 양성의 주관 부처로서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과학기술, 산업 분야 현장과 소통을 강화하는 등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 나갈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교육부는 앞으로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등도 방문하는 방식으로 전체 직원 직장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반도체 분야에 대해 이해를 넓히고 인재 양성 정책 수립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교육부 "요식행위라고 하는 것에 동의하기 어렵다"

교육부는 이 외에도 반도체 인재 양성 관련해 민관이 함께하는 또 다른 회의를 이번 주에 급하게 잡아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회의가 끼어들어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코로나19 학생 건강 관련 2개의 일정을 취소할 예정이다. 반도체 인재 양성 회의 등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교육부의 반도체 관련 행사 급조가 요식 행위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계부처에서 이미 이번 주 초에 대학과 전문계고의 반도체 인력 양성 방향과 계획을 사실상 결정해놓은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교육부에서 일한 바 있는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수(교육정책학)는 "반도체 인재 양성 정책이 대통령의 발언 뒤 전반적으로 급하게 추진되는 느낌"이라면서 "인재 양성과 같은 교육정책에서는 무엇보다 교육부가 중심이 되어 충분한 연구와 현장 의견 청취를 통한 공감대 형성을 해야 하는데, 이런 것이 안 된 상태에서 일방 추진되고 있어 걱정"이라고 밝혔다.

국회 교육위원회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교육은 공장에서 상품 찍어내는 것처럼 in-put이 있다고 즉각적 out-put이 나오는 영역이 아니다"면서 "(정부여당과 교육부는) 좀 더 종합적이고 최소 중기적 관점에서 (반도체 인재 양성 등을) 검토해 정책화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오마이뉴스>에 "15일 진행될 교육부 포럼(토론회)은 지난 주초에 이미 정해놓은 일정"이라면서 "이 토론회가 반도체 인재 양성 방향을 정하려는 취지도 있지만 내부 교육부 직원들의 반도체 관련 학습할 필요도 있기 때문에 진행하는 것이다. 이것을 요식행위라고 하는 것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태그:#반도체 인재 양성, #교육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