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구 시민사회단체들은 19일 대구YMCA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역 의원 중 부적격자를 발표했다.
 대구 시민사회단체들은 19일 대구YMCA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역 의원 중 부적격자를 발표했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대구지역 시민단체들이 오는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역 단체장과 지방의원 중 부적격자 검증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와 대구경실련은 19일 대구YMCA 백심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역 단체장과 지방의원 중 부적격자 명단을 발표했다.

시민단체가 발표한 부적격자 명단은 기초단체장 2명과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67명 등 모두 77명에 이른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49명, 더불어민주당 23명, 무소속 5명 등이다. 현역 기초단체장 부적격자는 배기철 동구청장과 김대권 수성구청장 등 2명이다. 선정 기준은 부동산 문제와 갑질, 막말 등 자질 논란 등이다.

부적격 광역의원 8명 중 김대현·김재우·박갑상·윤기배·이만규·전경원 의원은 의정활동 미흡을 들었고 안경은·윤기배·이진련 의원은 부동산 투기와 비정규직 교직원 갑질 논란 등의 자질 문제를 들었다. 이중 윤기배 의원은 의정활동 미흡과 부동산 문제에 모두 포함됐다.

기초의원 중에는 5분 발언, 대표 조례발의를 각각 3회 이하를 기준으로 하고 구정질문을 한 번도 하지 않은 경우 등 의정활동 미흡 의원이 52명으로 가장 많고 자질과 비위, 부동산 투기로 부적합한 후보자는 26명이다.

지역별로는 달서구가 17명으로 가장 많고 동구와 북구 각각 12명, 남구 7명, 달성군 6명, 중구 5명, 수성구·서구 각각 4명 순이다.

이들은 부적격자 기준으로 시정질문 여부와 LH 부동산 투기로 불거진 부동산 문제, 각종 비위, 자질 논란을 주요 잣대로 삼았다고 밝혔다.

이어 "4년 전 지방선거에서 일당독점체제가 무너지고 정치적 다양성이 넓어져 지역정치 활성화를 기대했지만 각종 일탈행위와 부실한 의정활동은 시민의 눈높이에 한참 모자라는 실망스러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야간, 의원간 치열한 정책경쟁과 상호 견제만이 지방의회를 살리고 지역정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며 "각 정당은 줄세우는 낡은 구태 정치에서 탈피해 제대로 된 일꾼을 공천해 유권자들에게 희망을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는 이들 외에도 추가 부적격자에 대해 검증해 발표하고 각 정당의 정책공약도 검증해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지방자치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태그:#현역 부적격자, #지방선거, #기초단체장, #지방의원, #시민단체연대회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