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후쿠시마 원전 참사 11년째인 11일,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지역 70여개 단체로 꾸려진 탈핵부산시민연대가 윤석열 당선인의 원전 관련 공약을 비판하고 탈핵 선언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참사 11년째인 11일,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지역 70여개 단체로 꾸려진 탈핵부산시민연대가 윤석열 당선인의 원전 관련 공약을 비판하고 탈핵 선언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후쿠시마 원전의 재난이 이어지는데 핵발전 강국을 만들겠다는 대선 후보의 당선, 참담하다. (...) 우리는 단 한 기의 핵발전소 추가건설도, 단 한 기의 핵발전소 수명연장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참사 11년을 맞아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에게 보낸 시민사회단체의 메시지는 우려가 아닌 경고에 가까웠다. 대선 과정에서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 누출이 없다고 얘기하고, 추가 원전 건설 재개와 설계수명이 다한 원전의 계속운전 방침을 시사한 윤 당선인에 대한 강한 비판이었다.

"참사의 기억과 교훈, 너무 쉽게 잊어버려"

10일과 11일, 윤 당선인의 발언과 탈핵 공약을 놓고 탈핵부산시민연대, 한빛핵발전소 대응 호남권공동행동 등 영·호남 탈핵단체의 규탄 행동이 잇따랐다. 이들은 "지금 우리사회는 후쿠시마 핵사고의 기억과 교훈을 너무나도 쉽게 잊어버리고 같은 잘못을 반복하고 있다"라며 핵발전 지속 주장을 규탄했다.

"후쿠시마 사고 때 폭발사고가 없었기에 누출이 하나도 없었다는 막말을 하고,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와 고리2호기 수명연장으로 부울경 지역의 경제를 되살리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면서 부산에 10기의 핵발전소로도 모자라 핵폐기장이 되는 상황을 묵과하고, 대책없이 쌓여가는 핵폐기물을 파이로프레세싱 재처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한다."

부산시청을 찾아 기자회견을 연 탈핵부산시민연대는 "한국사회가 윤석열과 같은 이를 대통령으로 맞이하게 되는 상황은 분명 고통스럽고 참담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나 "핵발전은 누구의 미래도 될 수 없고, 되어서도 안 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위험과 책임을 전가하며 희생을 강요해온 핵발전의 역사가 지금껏 우리 사회를 지배해 왔지만, 우리는 이 고리를 끊어내고 탈핵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노력과 실천을 멈추지 않겠다"라고 다짐했다.

정수희 부산에너지정의행동 활동가는 "후쿠시마 등 핵사고 이후 핵발전을 바라보는 세계적 시각이 바뀌었고, 신규 핵시설을 용납할 지역주민은 어디에도 없다"라며 윤 당선인이 제시한 '친원전' 공약을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맹비난했다.
 
후쿠시마 원전 참사 11년째인 11일,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지역 70여개 단체로 꾸려진 탈핵부산시민연대가 윤석열 당선인의 원전 관련 공약을 비판하고 탈핵 선언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행사에 앞서 묵념을 하며 원전 참사로 희생된 이들을 추모했다..
 후쿠시마 원전 참사 11년째인 11일,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지역 70여개 단체로 꾸려진 탈핵부산시민연대가 윤석열 당선인의 원전 관련 공약을 비판하고 탈핵 선언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행사에 앞서 묵념을 하며 원전 참사로 희생된 이들을 추모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핵없는 세상을 준비하는 한빛핵발전소 대응 호남권공동행동이 10일 한빛원전 앞에서 후쿠시마 11주기 추모와 윤석열 당선인의 탈핵 수용을 촉구하는 행동을 펼치고 있다.
 핵없는 세상을 준비하는 한빛핵발전소 대응 호남권공동행동이 10일 한빛원전 앞에서 후쿠시마 11주기 추모와 윤석열 당선인의 탈핵 수용을 촉구하는 행동을 펼치고 있다.
ⓒ 광주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한국에는 영구정지 결정된 두 기의 핵발전소를 포함에 총 26기의 핵발전소가 밀집되어 있다. 단위면적당 세계 최대 핵발전소 밀집지역이다. 그것도 대부분 지진 활성 단층 위에 자리잡고 있다."

핵없는 세상을 준비하는 한빛핵발전소 대응 호남권공동행동도 하루 전 전남 영광 한빛원전 앞 공동성명을 통해 윤 당선인의 원전 정책 수정을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후쿠시마 핵사고의 재앙은 여전히 끝을 알 수 없이 진행 중"이라며 "이를 무시한채 핵발전을 중단하지 않는다면, 가속화되고 있는 기후붕괴 앞에 잠재돼 있을 다른 핵사고의 다음 희생자는 우리가 될 수 있다"라고 걱정했다.

호남권공동행동은 차기 대통령의 할 일이 탈핵이라고 단언했다. 이들 단체는 "참극이 일어나지 않게 하려면 대통령 당선인은 핵산업 부흥으로 국가를 감당할 수 없는 위험으로 내몰 게 아니라 모든 생명의 목숨과 안전, 평화를 지킬 수 있도록 탈핵을 앞당겨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또 "핵발전소 주민과 다음 세대에 일방적 고통, 희생을 전가하지 말라"라며 "야만을 선택하고, 강요하는 대통령에 대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필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 활동가는 "노후원전인 한빛1호기의 수명연장이 윤 당선인 임기 내에 결정될 것이고, 한빛 4호기는 격납건물 전체에 구멍이 확인됐는데도 재가동을 시도하려 한다"라며 "이는 지역주민과 다음 세대를 고려하지 않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중앙선관위에 제출한 10대 공약에서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과 원전 최강국 건설'을 9번째 약속으로 내세웠다. 2022 탈핵대선연대의 질의에서도 윤 당선인은 '신규 원전 백지화', 'SMR 연구개발 중단', '노후원전 수명연장 금지'에 모두 "반대한다"는 답변을 보냈다. 이는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한 탈원전 정책을 완전히 폐기하겠다는 의미다.

태그:#후쿠시마 참사, #윤석열, #당선인, #원전최강국
댓글2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