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2016년 메르스 때 '교육부-학부모 소통 채널'을 만든다고 했지만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4일 정의당 여영국 국회의원(창원성산)은 이같이 밝히면서 "교육부의 책임 방기"라고 했다. 여 의원은 "교육부가 '메르스 사태' 때 약속했던 학부모와의 소통 채널을 폐기한 채 방치하고 있다"고 했다.

여영국 의원에 따르면, 교육부는 메르스 사태 이후인 2016년 2월 '학생 감염병 예방 종합대책'을 내놓으면서 "학부모와 실시간 소통 가능한 온라인 채널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교육부는 "신종 감염병의 경우 사전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국내에 유입되면 학생·학부모의 불안감이 고조하게 된다"면서 "신종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며 이런 방책을 냈다.

이와 관련해 여 의원은 "신종 감염병이 유행하기 시작할 때 학부모들이 학교 운영 여부 등에 관해 궁금한 점을 실시간으로 질문할 수 있도록, 2016년 10월까지 온라인 채널을 만들겠다는 것이 당시 교육부 약속이었다"고 했다.

학생·교직원 격리 현황, 정부 대응 상황 등을 포함한 여러 문의를 할 수 있도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활용한 소통 채널을 제공한다는 구상이었던 것이다.

실제 교육부는 메르스 사태가 한창이던 2015년 6∼7월 페이스북과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메르스 학부모 안심채널'을 운영한 바 있고, 학부모가 질문을 올리면 교육부가 감염병 전문가 감수를 거쳐 답변을 게재하는 형식이었다.

여 의원은 "교육부는 이 메르스 학부모 안심채널을 보완하거나 새로운 채널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이후 해당 정책은 조용히 폐기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 의원은 "관련 질의에 교육부는 '학부모와 실시간 소통은 현재 시·도 교육청 담당'이라면서 '온라인 소통 채널은 현재 없으며, 실시간 문의는 질병관리본부 콜센터(전화 1339)로 하면 된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여영국 의원은 "학부모들이 불안에 떠는 상황인데, 교육부가 스스로 만들겠다던 소통 채널을 만들지 않아 유감"이라면서 "학교 휴업 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짜뉴스를 방지하기 위해 지금이라도 채널 구축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종감염병 학부모 온라인 소통채널 운영관련 현황 분석(일부).
 신종감염병 학부모 온라인 소통채널 운영관련 현황 분석(일부).
ⓒ 여영국 의원실

관련사진보기


태그:#신종 코로나, #메르스, #여영국 의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