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최근 전국적으로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소비자들은 미세먼지로 인한 농식품의 안전 불안감이 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14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생산공학연구실(교수 정병룡)과 미세먼지해결시민본부(공동대표 김민수)가 발표한 "미세먼지가 식품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에서 나온 것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21일부터 10월 7일까지 전국 농식품 소비자 7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이다.

경상대 원예생산공학연구실과 미세먼지해결시민본부는 1월 10일 열린 한국화훼학회에서 이 결과를 공식 발표하고 이에 따른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후속 연구 결과도 곧 발표될 예정이다.

조사 결과 미세먼지로 인해 일상생활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응답자 10명 중 9명은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미세먼지가 △매우 신경이 쓰이며 일상생활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57.7%), △비교적 자주 신경이 쓰이고, 일상생활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다(32.9%)고 답한 것이다.

반면 '가끔 신경이 쓰이며 일상생활에 별 영향은 없다'와 '전혀 신경이 쓰이지 않는다'는 각각 9.0%, 0.4%에 그쳐 미세먼지가 개인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미세먼지가 농식품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의 대부분은 '노지에서 생산되는 채소가 재배와 유통과정에서 미세먼지에 노출되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9.4%)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29.2%는 '건강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라고 답했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8.6%)거나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1.9%)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소비자들은 채소와 농산물을 구입할 때 △안전(59.4%)을 가장 중시했고, △신선도(39.3%) △재배지역(5.3%) △가격(4.6%)은 그 다음이라고 답했다.

또한 '길거리 음식을 미세먼지 오염원으로 여기고 구매를 망설이거나 구매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도 87.1%로 나타나 미세먼지로 인해 농식품의 생산과 유통, 조리과정에서 불안함이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노지와 시설(비닐하우스)에서 생산된 채소 중 어느 것이 더 안전(공해에 덜 노출)한지에 대해서는 △노지나 시설이나 비슷할 것(42.9%) △시설이 더 안전하다(36.9%) △모르겠다(18.7%)의 순으로 답했다.

이에 대해, 원예생산공학연구실은 "이는 소비자들이 거의 매일 섭취하는 농식품의 생산과정과 안전성 확보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구매결정에서 객관적인 판단이 쉽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고 했다.

안전한 농식품 생산을 위해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농산물에 미세먼지가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여야 한다(52.3%)와 △고농도 미세먼지 오염에 대비한 안전한 재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45.3%)고 답했다.

원예생산공학연구실은 "미세먼지로부터 농식품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과학적 접근과 현실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공감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김민수 공동대표는 "도다 안전한 생산과 섭취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등에 관해 과학적인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농도 미세먼지로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곳곳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14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 채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이날 서울시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해 2005년 12.31 이전 수도권에 등록된 총중량 2.5톤 이상 경유차 운행제한과 자동차 배출가스, 공회전 단속 및 행정, 공공기관 주차장을 전면 폐쇄했다.
▲ 미세먼지 공습에 발걸음 재촉하는 시민들 고농도 미세먼지로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곳곳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14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 채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이날 서울시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해 2005년 12.31 이전 수도권에 등록된 총중량 2.5톤 이상 경유차 운행제한과 자동차 배출가스, 공회전 단속 및 행정, 공공기관 주차장을 전면 폐쇄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태그:#미세먼지, #경상대학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