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 마련한 '불평등·양극화 해소를 위한 사회연대기금 조성 선포식'이 개최됐다.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 마련한 '불평등·양극화 해소를 위한 사회연대기금 조성 선포식'이 개최됐다.
ⓒ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관련사진보기


"뒤를 돌아보니 우리 아들, 딸들이 (일하러) 갈 곳이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기업하는 분들이 돈을 많이 갖고 있습니다. 한 곳으로 쏠려있는 돈을 어떻게 나눠 쓸 것인지 고민했으면 합니다."

18일 문성현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의 말이다. 문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불평등·양극화 해소를 위한 사회연대기금 조성 선포식'에 참석해 "(일자리 문제의) 해답이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최저임금, 격차 해소 문제도 (연대기금의) 힘을 받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문 위원장이 일자리 문제의 해결책으로 강조한 것은 바로 노동조합과 회사가 함께 공동으로 조성한 사회연대기금이다. 노조쪽에선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아래 사무금융노조)이 나섰다. 사무금융노조는 이날 선포식에서 청년 일자리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사가 공동으로 기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사무금융 노사, 일자리 문제 등 해결 위해 급여인상분 모아 연대 기금 조성

김현정 사무금융노조위원장은 "(양극화 문제는) 어느 누구만의 문제가 아니라 노사정 모두의 문제일 것"이라며 "그 논의의 시작으로 우분투 프로젝트를 제안 한다"고 했다. 우분투 프로젝트는 '네가 잇어 내가 있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노조쪽은 설명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노조와 함께 증권회사 등 금융회사와 정부에서도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목희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도 "좋은 일자리는 노동자, 서민, 중산층의 따뜻한 삶의 토대"라며 "나라다운 나라, 사람 사는 세상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정부가 고용 창출 기업에 지원해야 한다"며 "사용자들도 열심히 고민해 투자처를 찾고, 비용을 줄이고, 일자리 창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부위원장은 "사회연대기금과 관련해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며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도 적극 협력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나온 고형권 기재부 제1차관은 "모든 산업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계에서 이렇게 뜻깊은 연대기금 선포식이 이뤄지는 것은 참으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더불어 "정부도 적극 나서겠다"고 그는 덧붙였다.

노사정위원장을 비롯해 기재부, 금융위, 고용노동부 등 정부인사 총출동 

뒤이어 단상에 오른 이성기 고용노동부 차관은 이번 기금 조성에 대해 솔직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굉장히 부담스러운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정부가 잘했으면 이렇게 안 해도 될 텐데(라는 마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실 정부 정책들은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며 "노사가 일정 급여인상분을 모아 비정규직, 최저임금 문제 해결해준다고 하니 적극 지지한다"고 했다. 또 이 차관은 이같은 기금 조성에 대해 "한국 노사관계가 한 단계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도 "노사가 제안한 '우분투 프로젝트'는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따뜻한 배려와 자활, 재기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포용적 금융과 맥을 같이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금융 노사가 합심해 스스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실천해 나가는 과정에서 금융위원회도 계속 관심을 갖고 공조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회사 쪽 대표로 이번 선포식에 참석한 윤경은 KB증권 대표는 "양극화, 청년실업 해소 등 내용이 마음에 와 닿아 즐거운 마음으로 이자리 섰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는 "오히려 노조에서 이런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 계기를 마련해준 부분은 저희가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표 이외 이날 행사에는 비씨카드, KB카드, SK증권 등 금융회사 대표들도 함께 자리했다.


태그:#사무금융노조, #일자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경제부 기자입니다. 0109403784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