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어~~~허~~~에헤~~여~~하"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어~~~허~~~에헤~~여~~하"

꽃상여가 마을을 지나가며 들리는 상여 소리다. 상여는 가마 모양으로 여러 가지 꽃으로 장식되어 있어 '꽃가마'라고도 한다. 이 꽃가마에는 이승에서 삶을 마친 고인을 태워 장지까지 이동한다. 예전에는 이런 상여가 동네마다 있어 이를 보관하는 상여집이 있었다. 그래서 캄캄한 밤 이곳을 지나면서 무서워 했던 경험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상여가 많이 사라지다 보니 상여집도 없어지고,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나오고 있다. 상여의 맨 앞에서는 요령꾼이 상여를 멘 상여꾼을 지휘하기 위한 소리를 한다.

이 소리를 상여소리라고 하는데, 요령꾼은 이승을 떠나 북망산천으로 가는 고인의 넋을 위로하며 즉흥적으로 소리를 하면, 이 소리를 받아 상여꾼들은 뒷소리(후렴구)를 한다. 또한 상여 뒤를 이어 고인의 유족들이 뒤를 따른다.

이같은 상여와 상여소리는 요즘 그리 많이 볼 수 없을뿐더러, 요즘 젊은이들은 상여를 못 본 사람도 많을 것이다. 최근 들어 장례문화가 매장에서 화장로 바뀌는 등 간소화되면서, 장지까지 이동은 장의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우리의 전통 풍습인 상여 행렬도 보기 쉽지 않다. 또한, 전통을 지킨다 하더라도 상여를 이용하기에는 번거로운 점이 많아 대다수 장의차를 이용한다.

필자는 11일 오전 친구 어머님의 마지막 가는 길을 함께 하기 위해 장지를 찾았다. 동네 입구에 들어서니 화려하게 장식된 상여가 눈길을 끌었다. 필자도 시골에 살면서 마지막으로 상여를 메본 지가 5년 전쯤으로 기억된다. 그만큼 시골에서도 상여를 좀처럼 보기 힘든 모습이다. 다음은 필자가 경험했던 상여 모습이다.

장례문화의 변화로 요즈음에는 시골에서도 '상여"를 보기 힘들다. 11일 한 마을에서 상여가 지나가고 있다.
 장례문화의 변화로 요즈음에는 시골에서도 '상여"를 보기 힘들다. 11일 한 마을에서 상여가 지나가고 있다.
ⓒ 신영근

관련사진보기


상여의 맨 앞에는 만장을 드는 만장꾼과 요령꾼 그리고 10명의 상여꾼으로 구성되는데, 주로 마을 청년회가 상여를 메게 된다. 그러나 최근 농촌에는 젊은이들이 없다. 마을청년회라 하더라도 60대가 제일 어리다 보니, 상여를 점점 볼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날 필자가 찾은 마을에도 어르신들이 주로 상여를 멨다. 상여꾼들도 오래간만에 상여를 멘다면서 상여 모습을 휴대폰 카메라에 담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슬픔을 함께하며 유족들을 위로하고 정성을 다해 상여를 이끈다.

요령꾼의 상여소리와 함께 가던 상여가 마을 중간에 멈춘다. 상여꾼들이 힘이 들어 못 간다는 것이다. 이때 상주가 앞에 나와 상여꾼들에게 술과 안주를 대접하자 상여는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런 과정들이 우리의 전통풍습인 것이다.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 상여는 고인의 집 앞에서 노제를 지내기 위해 잠시 멈췄다가, 장지가 있는 산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동을 시작한 상여는 얼마 가지 못해 언덕 앞에 멈추고 상주가 다시 앞으로 와 절을 하며 고인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담아 상여에 돈을 꽂는다. 그러자 상여는 뒤를 따르는 모든 사람과 함께 언덕을 거뜬히 넘어 장지에 도착했다. 그제야 상여꾼들이 한시름을 놓자 하늘에서는 눈이 내리기 시작했다.

이렇듯 상여는 우리 전통풍습의 하나로 마을주민 모두 슬픔을 함께하며 유족들을 위로한다. 그러나 이런 풍습들이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어쩌면 얼마 지나지 않아 상여도 재현하는 모습을 박물관에서나 볼지도 모른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장례문화는 그 명백이 유지되도록 잘 보존해야 할 것이다.


태그:#상여소리, #상여, #전통풍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