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KBS·MBC 정상화를 위한 투쟁이 경남지역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KBS창원총국 기자들이 제작거부에 들어가고,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KBS·MBC 정상화 경남시민행동(가칭)'을 발족한다.

KBS전국기자협회에 따르면, KBS창원총국 기자들이 29일부터 제작거부에 들어간다. 창원총국 소속 간부 기자를 제외하고 취재·촬영기자 10여명이 모두 제작 거부에 들어간다.

KBS창원 뉴스도 줄어든다. 12분 안팎이던 지역 9시 뉴스가 5분으로 단축되고. 아침 930뉴스와 저녁 7시 뉴스가 삭제될 것으로 보인다.

KBS기자협회(본사 소속)가 28일부터 제작거부에 들어갔고, KBS전국기자협회·KBS전국촬영기자협회(지역총국 소속) 기자들이 29일 0시부터 제작거부에 들어가면서 창원총국 기자들도 동참하기로 한 것이다.

KBS전국기자협회는 "지역의 KBS 기자들도 제작거부를 시작합니다"며 "공영방송 정상화 위해 고대영 사장 즉각 퇴진 요구"를 선언했다.

이들은 "KBS지역 기자들은 성주 주민의 입장을 반영한 기사를 제작했고 사측에 제작자율성을 지켜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고대영 사장의 KBS에서 돌아온 것은 해당 지역국 취재부장과 전국기자협회를 대상으로 한 사상 유례없는 '특별감사'였다"고 했다.

이들은 "시청자인 국민들이 낸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이지만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보도국장에게 전화를 걸어 '하필이면 뉴스를 보셨다'며 정부에 불리한 기사를 빼라고 요구할만큼 무력했고, 이런 사실이 알려져도 정작 당사자인 회사는 잠자코 있었던 것이 고대영 사장 체제의 KBS였다"고 했다.

또 이들은 "진도 팽목항에서, 김해 봉하마을에서, 서울 광화문에서 현장 기자들은 국민들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야유 받고 쫓겨나고 있었지만, 오로지 청와대만 바라보며 국민의 목소리는 빠진 뉴스를 자화자찬했던 게 고대영 사장의 KBS였다"고 했다.

KBS전국기자협회는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공영방송을 만들기 위해 노동조합의 파업보다 앞서 결연한 의지로 제작거부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KBS PD들은  30일부터 제작거부에 돌입한다.

KBS기자협회 회원들이 28일 오전 여의도 KBS신관앞에서 ‘시청자들이 신뢰하는 KBS 뉴스 복원’을 위해 고대영 사장 퇴진, 이사회 해체 등을 요구하며 제작거부 돌입 선포식을 열었다.
▲ KBS기자협회, '고대영 사장 퇴진' 제작거부 돌입 KBS기자협회 회원들이 28일 오전 여의도 KBS신관앞에서 ‘시청자들이 신뢰하는 KBS 뉴스 복원’을 위해 고대영 사장 퇴진, 이사회 해체 등을 요구하며 제작거부 돌입 선포식을 열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시민사회단체들도 나섰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를 비롯한 단체들은 'KBS·MBC 정상화 경남시민행동'(가칭)을 발족하기로 하고, 30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연다.

경남시민행동은 'KBS·MBC 적폐 이사 파면 시민청원'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권력의 언론 장악에 맞서 공정방송을 지켜려 했던 KBS본부와 MBC본부 조합원들의 투쟁은 경영진의 징계와 해고로 철저하게 탄압당했다"고 했다.

이들은 "언론노조는 'KBS·MBC 정상화를 위한 시민행동-돌아오라 마봉춘 고봉순의 KBS·MBC 적폐이사 파면 시민청원' 활동을 통해 징계 해고 동지들의 투쟁에 힘을 보태려 한다"고 했다.

경남시민행동은 "공영방송이 이명박·박근혜 정부 9년 동안 부패한 적폐 정권을 떠받치는 도구로 전락한 것을 바로잡기 위한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 했다.


태그:#KBS, #MBC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