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 링컨 룸에서 열린 미 하원 지도부 간담회에서 폴 라이언 하원의장 등 원내대표들과 간담회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 링컨 룸에서 열린 미 하원 지도부 간담회에서 폴 라이언 하원의장 등 원내대표들과 간담회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에서 미 상원·하원 지도부를 잇달아 만나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북핵 공동대응 등을 강조했다. 이 자리에선 사드 배치를 비롯해 북핵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 등 북한과 관련한 주제들이 주로 다뤄졌다.

특히 문 대통령은 라이언 하원의장이 '사드는 양국 국민 보호를 위해 필요하고 안보를 위해 중요한 수단인데, 이에 대한 대통령의 생각은 무엇인가'라고 묻자 "혹시라도 저나 새 정부가 사드를 번복할 의사를 가지고 그런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은 버려도 좋겠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환경영향평가 때문에 절차가 너무 늦어지지 않겠는가 하는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라며 "사드 문제에 대해서는 한미동맹에 기초한 합의이고 한국민과 주한미군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전 정부의 합의라고 해서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겠다고 여러 차례 공언해 왔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과 같은 민주국가이므로 민주적, 절차적 정당성은 꼭 필요하다"라며 " 특히 촛불혁명으로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어느 때보다 강한 시기이며 그만큼 사드에 대한 민주적,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요구도 크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스테니 호이어 민주당 하원 원내총무는 "문 대통령의 사드에 대한 답변은 매우 만족스럽다"라고 말했다. 맥 손베리 하원 군사위원장(공화당)도 "사드 관련 확인에 감사드린다. 북한에게 한미 간에 이견이 없다는 것과 군사적으로 견고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답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미국(괌 기지)에서도 그렇게 한 것처럼, 한국도 민주주의 국가니까 그런 절차가 필요한 것이지 시간을 더 지연시키지 않는다고 문 대통령이 말했다"라며 "미국 의원들은 문 대통령의 설명을 들으면서 계속 고개를 끄덕였고, 설명에 감사하다는 의원도 있었다. (사드 배치 관련 환경평가를) 민주주의 가치로 설명하는 것을 이해한 듯하다"라고 말했다.

상원위원 간담회에서는 에드 마키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소위원회 간사가 "사드 문제로 한국 경제에 엄청난 손해를 끼치고 있는데, 이런 중국에 대한 대통령의 전반적인 입장은 어떤 것인가"라고 물었다. 이에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중국의 보복에 대해 미국도 함께 (한국을) 도와줘야 한다'는 취지로 답변했다"라고 전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의 촛불혁명은 미국이 한국에 이식해 준 민주주의가 활짝 꽃을 피운 것"이라며 "최근 한국은 정치적 시련을 겪었으나 한미동맹이 뿌리내린 민주주의로 극복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탄생시켰다"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민주주의 발전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 구명에 나섰던 고(故)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과 여러 의원님들의 활동이 큰 역할을 했다"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한에 억류됐다 석방 된 직후 사망한 미국 대학생 웜비어씨에 대해 "한반도 평화가 정착됐다면 웜비어 씨의 불행한 죽음도 없었을 것이므로 나도 정치인으로써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라며 "아직 미국인 3명, 한국인 6명, 캐나다인 1명이 억류중인데 이들에 대한 석방 교섭은 별개로 진행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문 대통령의 '별개'라는 표현에 대해 "북핵동결이나 폐기 관련 협상과 별개의 인도적 석방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태그:#문재인, #트럼프, #한미정상회담, #미 의회, #폴 라이언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