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바른정당 유승민 대선후보가 지난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19대 대통령 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김무성 선대위원장 등과 함께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 유승민 선대위원장 맡은 김무성 바른정당 유승민 대선후보가 지난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19대 대통령 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김무성 선대위원장 등과 함께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유승민 후보님, 바른정당에서 유 후보의 사퇴를 요구하며 안철수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것보다 기막힌 일이 있나."

[유승민] "그것 말고도 기막힌 일은 많다. 사퇴할 일은 전혀 없다. 안 후보와 그런 이야기가 오간 적 없고, 사퇴할 일 없으니 걱정하지 마시라."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 후보의 '완주 의지'는 전날(19일) KBS 대선주자 토론회에서도 강조됐다. 초점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던진 질문에 있었다. '반문 연대'를 위해 안 후보와 단일화를 해야한다는 바른정당 내 목소리를 상대 후보가 걱정하는 모습이 전파를 탄 것이다.

유 후보의 '완주'를 둘러싼 당 내홍은 잦아든 모양새다. 주호영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의에서 "정치는 긴 호흡을 가지고 해야 하는 마라톤이다"라면서 "신개발지에 가면 '떴다방'이 있는데, 경기가 일어서면 다른 곳으로 옮기는 복덕방으로, 국민은 이런 '떴다방' 정치를 싫어한다"고 강조했다.

당내 사퇴론이나 단일화 목소리를 차단한 포석이었다. 주 위원장은 "대선에서 후보와 정당 지지율이 만족할 만큼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의기소침하거나 기죽을 필요 없다"면서 "짧은 시간에 유 후보의 열망을 알아주지 않더라도 바른정당의 창당 목적을 가다듬어 꾸준히 노력하면 된다"고 말했다. 

다만, 김무성 공동선대위원장은 같은 회의 자리에서 "문재인 후보는 그동안 자신과 생각이 다른 정치 세력에게 적폐라는 극언을 해왔다"면서 "북한을 향해 주적이라는 표현을 하지 못하는 이런 사람이 대통령이 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그런 생각을 강하게 가졌다"며 '특별한 논의'를 제안했다.

캠프 측은 '사퇴론은 소수 의견', 정병국 "모든 것을 논의"

바른정당 유승민 대통령선거 후보가 지난 17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앞에서 열린 '바른정당 제19대 대통령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출정식'에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바른정당 유승민 대통령선거 후보가 지난 17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앞에서 열린 '바른정당 제19대 대통령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출정식'에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공개회의 직후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는 김 위원장이 말한 '특별한 논의'가 이뤄졌다. 회의는 약 2시간가량 장시간 진행됐다. 정병국 공동선대위원장은 이후 취재진과 만나 "문재인은 절대로 대통령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를 했다"면서 "그렇다면 전략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이런 논의를 했다"고 전했다.

정 대표는 이 '반문 전략' 논의에서 '유승민 사퇴론까지 나왔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모든 것을 다 포함해서 다방면으로 여러 가지를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후보 사퇴론은) 주가 아니었다"고 밝혔다. 주는 아니되, 거론된 것은 맞다는 이야기였다.

김무성 선대위원장은 비공개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유승민 후보가 더 분발해 잘 싸워달라는 요청이 나왔다"면서 "더 깊은 이야기는 고도의 전략이라 더 이상 말할 수 없다"며 자리를 떠났다.

일부 의원들은 '사퇴론'에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다. 권성동 의원은 비공개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열심히 후보가 뛰고 있는데 무슨 후보 사퇴 이야기냐"라면서 "그런 이야기를 어떻게 하나"라고 일축했다. 황영철 의원도 "(후보 사퇴론은) 안 나왔다"며 논의 사실을 부인했다. 또 다른 한 의원은 "사퇴론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면서도 "(지지율 때문에) 걱정이 태산이다"라고 전했다. 

유승민 캠프 측은 일부 '사퇴 압박' 분위기에 "그런 주장을 강하게 하는 사람은 2명에서 3명 정도"라면서 소수 의견임을 강조했다. 김영우 의원 또한 같은날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지지율이 낮다는 이유로 후보 사퇴를 하면 죽도 밥도 되지 않는 이상한 정당이 된다"면서 "과거에 취해 후보 사퇴를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다. 현실성이 없을 뿐더러 명분이 없다"고 강조했다.


태그:#정병국, #김무성, #유승민, #문재인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