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열린 대선출마 선언 기자회견에서 두 손으로 하트를 그려보이고 있다.
▲ 하트 그린 남경필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열린 대선출마 선언 기자회견에서 두 손으로 하트를 그려보이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을 겨냥, "외교전문가는 결정을 하기보다는 대통령과 정치 리더십이 만든 결정을 잘 실행하는 그런 직업"이라면서 '대통령 DNA'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대통령되면 국민 안전 책임자로 반기문 모셔오겠다"

25일 대선 출마를 공식선언한 남 지사는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자리에서 경쟁 상대를 향한 견제를 숨기지 않았다(관련 기사 : 남경필 "핵 보유 준비 등 '한국형 자주국방' 실현").

남 지사는 특히 반 전 총장에 대해 "제가 대통령이 되면 반 전 총장은 국민 안전과 안보를 책임질 책임자로 십고초려를 해서라도 모셔오겠다"면서 "(대통령을 하려면) 결정하고 매일 책임지는 리더십을 갖춰야하는데, 그런 점에서는 (반 전 총장은) 상당히 부족한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외교·행정 전문가로 '수동적' 삶을 살아온 반 전 총장이, 매 순간 대소사를 결정해야하는 대통령직을 적극 이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다.   

같은 당 소속 예비 후보인 유승민 의원에 향해서도 화살을 날렸다. 남 지사는 유 의원의  주장과 정책이 '공허'하다고 지적했다. 남 지사는 "국민은 담론에 지쳤다"면서 "유 후보의 여태 주장을 보면 담론 중심으로, 구체적인 정책은 보육 관련 외에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모병제 등 유 의원과 입장을 달리하는 주제에 대해선 토론을 벌이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유 후보가 출마하면 (치열한 토론을 통해) 이제 국민 앞에 당당히 걸어가야 한다"면서 "반 전 총장도 이것을 준비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대선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 대선출마 선언한 남경필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대선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제외한 여권 진영과 반문 세력의 규합, 즉 '반문 빅텐트'는 전면 부정했다. 남 지사는 "문재인 전 후보만 빼고 다 모이자는 것은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그런 편 가르기 하지말자는 게 새로운 정치 모습이다"라고 말했다. 남 지사는 그러면서도 "문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지금처럼 좁은 협력, 당내 패권, 이런 것이 쌓인 상태로 대통령이 된다면 대한민국이 분열될 거라는 걱정이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낮은 지지율은 어떻게 극복하겠느냐"는 질문에는 "국민이 어떤 이유에서 고통 받는지, 무엇이 힘든지 현장에서 느꼈고, 그런 모든 것들이 국민 앞에 가감 없이 비춰질 기회를 쥐겠다"면서 "그 과정에서 지지율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우리 바른정당은 10% 남짓의 지지율로, 폼 잡을 때가 아니라 죽기를 각오하고 서로 부딪히고 싸워야 한다"면서 "에누리 없다, 여유를 챙길만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열린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대선출마 선언 기자회견에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 남경필 출마선언에 함께한 나경원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열린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대선출마 선언 기자회견에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한편, 이날 출마선언 회견에는 바른정당 합류를 연기해온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이 참석했다. 사회를 맡은 이성헌 전 의원은 나 의원을 소개하면서 "(의원들이) 바른정당 오라고 말하는데, 나 의원으로부터 (나중에) 직접 듣는 기회를 갖겠다"고 말했다. 지난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을 도왔던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 출신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도 자리를 함께했다.


태그:#반기문, #남경필, #바른정당, #유승민, #대선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