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SK텔레콤이 4일 사물인터넷 전용망 전국 서비스를 선포하면서 가로등 원격 제어 등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SK텔레콤이 4일 사물인터넷 전용망 전국 서비스를 선포하면서 가로등 원격 제어 등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SK텔레콤이 4일 기존 '사물인터넷(IoT)'보다 설치 비용과 요금이 싼 IoT 전용망 '로라(LoRa) 네트워크' 전국 서비스를 시작했다. 로라 IoT 월 기본료는 350원(부가세 포함 385원)에서 2000원(2200원)으로, 기존 IoT 요금(최저 월 5000원) 대비 1/3~1/10에 불과하다. SK텔레콤과 KT에서 지난 3월 'LTE-M'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한 지 불과 3개월 만에 기존 서비스까지 위협하는 '자기파괴적' 서비스를 내놓은 것이다.

이형희 SK텔레콤 사업총괄은 이날 서울 오전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IoT 전용망 전국 서비스 선포식에서 "지금까지 IOT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많았지만 '로라'가 IOT에 변곡점될 것"이라면서 "로라로 서비스 단가가 내려가 기존 M2M 원격검침 등 몇 가지 사업 매출 절반 이하로 줄겠지만 자기파괴적 혁신으로 내려가는 매출보다 더 많은 기회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물인터넷은 사람과 사람이 아닌 사물과 사물을 연결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가스나 수도 원격검침, 가로등 원격 제어 등 작고 많은 제품들을 연결시켜 '소물 인터넷'이라고도 부른다.

SK텔레콤, KT 등 이동통신사들은 이미 깔아둔 LTE망을 활용할 수 있는 'LTE-M' 방식을 가장 선호했다. 'LTE-M' 방식은 속도(10Mbps)도 빨라 한꺼번에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지만 가격이 비싸다. 반면 '로라' 방식은 속도(10kbps)는 훨씬 느리고 데이터 전송량도 적지만 가격이 저렴해 IoT 보급에 더 유리하다. 전력 소모가 적어 배터리를 최대 10년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느리지만 가벼운 '로라', 사물인터넷 보급에 유리

SK텔레콤은 4일 오전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IOT(사물인터넷) 전국망 선포식을 열었다.
 SK텔레콤은 4일 오전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IOT(사물인터넷) 전국망 선포식을 열었다.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차인혁 SK텔레콤 종합기술원 IOT사업본부장은 "LTE-M은 속도가 업로드 5Mbps, 다운로드 10Mbps 정도로 빠르고 기지국간에 끊김 없이 연결해 영상이 필요하거나 트럭 같이 이동 상황을 실시간 알려줄 경우 유리하고, 로라는 분 단위, 시간 단위로 적은 데이터를 보낼 때 유리하다"고 밝혔다.

차 본부장은 "그동안 IoT 서비스가 확산되지 않은 건 가격(설치비용과 이용 요금)이 결코 가볍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기존 M2M 서비스로 100만 개를 연결하는데 10년 넘게 걸렸는데 로라는 모듈 가격이 1/5 정도고 요금도 1/3~1/4 정도여서 오는 2017년까지 IoT 연결 기기가 400만 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 본부장은 전국 150만~200만 개로 추정되는 맨홀 원격 검침을 대표적 사례로 들었다. 지금까지는 검침원이 맨홀을 일일이 열어 검침기로 온도, 습도, 가스 여부 등을 측정하고 휴대폰으로 연락해야 했는데, 맨홀 가운데 로라 모듈만 넣으면 검침원이 따로 필요 없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맨홀 가격이 10만 원 정도인데 비해, 기존 M2M 서비스 모듈(IoT 핵심 부품) 가격만 5만 원이 넘고 장비 비용까지 10만 원이어서 엄두도 낼 수 없었다. 하지만 '로라망'을 이용하면 장비 가격을 1/10 수준인 1만~2만 원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이처럼 1시간에 1번꼴로 가스나 수도, 맨홀 상태를 원격 검침하는 정도면 월 100KB(킬로바이트)를 제공하는 월 350원(부가세 포함 385원) 요금제로 충분하다. 가로등 관제처럼 송수신 간격이 10분에 1번꼴이면 월 500원, 1분에 1번이면 월 700원 수준으로 요금이 늘어난다. 움직이는 사람이나 차량 관제는 월 데이터가 10~100MB 정도인 월 1000~2000원 요금제를 써야 한다. 개인들도 스마트폰, 노트북PC 같은 고가 장비나 반려 동물 위치 추적에도 로라를 활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로라 모듈 10만 개를 IoT 관련 업체에 무료 배포하고, 이들 업체를 통해 환경 모니터링, 맨홀 관제, 누수 관리, 악취 센싱 등 로라 전용망을 이용한 20개 서비스를 올해 선보일 예정이다.


태그:#로라, #SK텔레콤, #IOT, #사물인터넷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 장지혜 기자 입니다. 세상의 바람에 흔들리기보다는 세상으로 바람을 날려보내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