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석준 부산교육감이 30일 오후 부산시교육청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임기 전반기 평가와 후반기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김석준 부산교육감이 30일 오후 부산시교육청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임기 전반기 평가와 후반기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민선 3기 후반기를 향해가는 부산 교육의 다음 목표는 '안전'과 '청렴'이다. 김석준 부산교육감은 30일 취임 2년을 즈음해 부산교육청에서 전반기 교육 행정을 평가하고, 후반기 주요 추진계획을 밝혔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 교육감은 "학교의 문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바꾸어 나가겠다"며 안전과 청렴에 초점을 맞춘 수업과 교직문화 개선 등 학교문화 혁신을 통한 불합리한 관행 개선을 다짐했다.

이를 위해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된 학교에 대한 임기 내 개축을 추진한다. 전국 시도교육청 중 바닥권에서 7위까지 끌어올린 청렴도를 임기 내 상위권으로 올려놓겠다는 포부도 포함됐다.

이 밖에도 부산형 혁신학교로 주목받아온 '다행복학교'를 현재의 21개교에서 30개교 내외로 확대 지정·운영하고, 2018년부터 실질적 의무 급식 실현이 가능하도록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스쿨폴리스 제도' 재검토 가능성 언급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는 최근 부산에서 문제가 된 학교전담경찰관(스쿨풀리스)과 여학생의 성관계 후속 대책이 주로 거론됐다. 김 교육감은 관내 학교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심려를 끼쳐 송구스럽다"고 사과하고 "학교안전 책임 경찰이 학생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는 건 어떤 이유로도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교육감은 "스쿨폴리스가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건 효과가 있었다"고 인정하면서도 "개선방안이 만들어질 때까지 중단하고 경찰청과 협의해서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내겠다"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기존의 학교 내 상담 제도를 언급하며 스쿨폴리스 폐지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그는 "현저하게 학교 폭력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바꿀 필요가 있다"면서 "굳이 스쿨폴리스 힘을 빌리지 않더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은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무늬만 '진보교육감' 지적에는 적극 반박

이날 김 교육감은 기자회견에서 "일부 부문에 대해서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는 게 사실"이라며 이를 "가시적인 성과에 급급해 서두르기보다는 합리적이고 점진적으로 변화와 개혁을 추진한 데 대한 평가가 아닌가 싶다"고 받아들였다.

그는 "진보교육감에 대한 기대가 컸는데 그렇지 않다는 반응도 나온다"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김 교육감은 "35%를 얻어 당선됐지만 지지하지 않은 65%까지도 안는 교육감이 되겠다고 당선 이후 밝혔다"면서 "진보교육감의 정체성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김 교육감은 "일부에서는 김석준 부산교육감이 '맛이 갔다'라고도 하고 있다"고 전하며 "맛이 간 증거를 대보라"고 강경한 어조로 말했다. 그는 "전투적으로 안 하기 때문에 성에 안 찬다고 느끼는 것 같다"면서 "약속을 하나씩 지키고 있다, 지속적으로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태그:#김석준, #부산교육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