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홍준표 경상남도지사.
 홍준표 경상남도지사.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박종훈 경남도교육감 주민소환 투표청구 허위서명' 사실을 홍준표 경남지사는 과연 몰랐을까? 경찰이 수사를 거의 마무리하고 있는 가운데, 홍 지사가 이 사건과 관련해 입장을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학부모와 시민단체, 야당 등으로 구성된 '홍준표 경남지사 주민소환운동본부'는 지난해 7월부터 '진주의료원 폐업'과 '무상급식 중단' '성완종 게이트' 등의 사유를 들어 홍 지사 주민소환을 추진했다.

그러자 홍 지사는 2015년 7월 자신의 지지자들이 박종훈 경남교육감 주민소환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 뒤 보수단체와 홍준표 지사 지지자, 새누리당 지지자 등으로 구성된 '박종훈 경남교육감 주민소환추진본부'가 결성됐다.

교육감 주민소환 허위서명 사건은 지난해 12월 22일 경남선관위가 현장을 적발하면서 알려졌다. 창원 북면에 있는 대호산악회 사무실에서 1개월가량 허위서명이 진행됐다.

허위서명 사건이 터진 뒤, 교육감 주민소환 투표청구 서명운동은 중단됐다. 허위서명 사건에 홍준표 지사 측근들이 연루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경남도 산하기관인 프로축구 경남FC와 경남개발공사 임직원, 홍 지사의 외곽지원조직인 대호산악회 회원, 경남도청 간부 공무원 등이 연루됐다. 이 사건을 수사해온 창원서부경찰서는 사관 관련 입건자 수가 33명이 이른다고 밝혔다.

3명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과 사문서 위조 혐의로 구속됐다. 경남 FC 박치근(57) 전 대표이사와 정아무개(38) 총괄팀장이 지난 3월 구속 기소됐고, 박재기(58) 전 경남개발공사 사장은 5월 16일 구속됐다.

이들은 모두 홍준표 지사의 최측근이다. 박권범(57) 전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은 불구속 입건됐다. 박 전 국장은 지난해 12월 퇴직했다가 새누리당으로 거창군수 재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창원서부경찰서 관계자는 "거의 수사가 마무리 됐다, 유출된 개인 정보는 19만 건 정도이고, 입건자는 33명"이라면서 "이번 주 안으로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사건을 검찰로 넘길 예정"이라고 밝혔다.

더민주 "홍준표 지사, 침묵은 금이 아니다"

홍준표 지사의 측근들이 허위서명 사건으로 잇달아 구속되자 홍 지사가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홍준표 지사는 지난 3월 7일 '사과문'을 경남도청 공보관을 통해 발표했다.

당시 경남FC 박치근 전 대표이사와 정아무개 총괄팀장이 구속되자, 홍 지사는 사과문을 통해 "도 산하기관 임직원의 일탈"이라고 규정했다. 경남도청 공무원이 연루된 사실이 드러났지만 아직 홍 지사는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은 17일 오후 "점입가경, 이쯤 되면 측근 개인이 아니라 조직적 일탈이다"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홍 지사의 사과를 촉구했다.

더민주 경남도당은 "'교육감 주민소환 허위서명' 사건의 세 번째 구속자가 나왔다"라면서 "박재기 전 사장의 혐의는 박권범 전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으로부터 도민 명부를 넘겨받아 허위서명에 가담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홍준표 지사의 측근들이 조직적인 범죄를 저지른 것이다, 이와 관련한 입건자 수만 30명이 넘는다고 한다"라면서 "경남도청의 고위공무원을 비롯한 직원들, 측근으로 불리는 도 산하 기관장들이 합심해서 사건을 일으켰는데 과연 홍준표 지사가 이를 몰랐을까?"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더민주 경남도당은 "한두 명의 '일탈'이 아니라 조직적인 '일탈'이다, 도지사 본인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건이라고 하더라도 잘못된 부하직원 관리에 대해 최소한의 입장표명은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면서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은 책임있는 자세가 아니다, 홍준표 지사는 침묵은 금(金)이 아닌, 때로는 독(毒)이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태그:#홍준표 지사, #박종훈 교육감, #주민소환, #창원서부경찰서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 기획편집부 기자입니다. 조용한 걸 좋아해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