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솥 안에 물을 붓고 개구리를 넣어 불을 뗀다. 개구리는 어떻게 할까. 서서히 덥혀지는 가마솥의 열기에 뜨거운 줄 모르고 있다가 죽는다고 한다.

이 우화는 tvN <피리부는 사나이> 10회에서 등장했다. 극 중 윤희성(유준상 분)은 '대한민국이 끓는 가마솥'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서서히 덥혀지는 가마솥으로 인해 죽는 줄도 모르고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고. 결국 개구리를 죽이고야만 가마솥, 드라마는 대한민국을 그렇게 정의한다. 그리고 이들은 끓는 가마솥의 현실을 낱낱이 고발하고 있다. <피리부는 사나이>가 그렇고 <동네 변호사 조들호>가 그렇다.

뉴타운 재개발에서 외국인 노동자 임금 체납까지

 철거 피해 현장은 드라마 <피리부는 사나이> 속 주요한 갈등의 진원지로 사용된다.

철거 피해 현장은 드라마 <피리부는 사나이> 속 주요한 갈등의 진원지로 사용된다. ⓒ tvN


<피리부는 사나이>에서 극을 이끌어 가는 주요한 갈등의 진원지는 K그룹의 철거 피해 현장이다. 철거민들의 강력한 저항에 경찰들이 무자비한 진압을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불길이 번져 철거민과 경찰 사상자가 발생했다.

K그룹의 신입 사원이었던 주성찬(신하균 분)은 강제 진압의 불가피함을 설파했고, 그의 의견에 따라 강제 진압이 이루어졌다. 그 진압 작전에는 오정학 팀장(성동일 분)과 양청장(김종수 분)이 참여했고, 그 과정에서 여명하(조윤희 분) 등은 가족을 잃었다. '피리부는 사나이' 윤희성(유준상 분)도, 그의 하수인으로 수배를 받게 된 정수경(이신성 분)도 모두 그 강제 진압과 관련이 있는 인물들이다.

이렇듯 극 중 주요 인물들을 얽히고설키게 만든 뉴타운 재개발 철거 현장은 용산 참사를 떠올리게 한다. <피리부는 사나이>는 무리한 강제 진압으로 인해 인명 피해까지 생긴 용산 참사를 소재로 해 매회 끓는 가마솥 같은 대한민국의 현실을 고발한다.

<피리부는 사나이> 10회에서 오랫동안 벼르던 용역 우두머리를 죽이고 괴로워하는 정수경 앞에 자신의 모습을 드러낸 윤희성은 '그저 한 사람을 죽이는 것으로 대한민국의 현실이 달라지지 않는다'며 사람들이 스스로 싸울 수 있도록 돕자고 정수경을 설득한다. 그들은 '언더그라운드'라는 사이트를 매개로 억울한 사연을 가진 사람들을 모집하고, 그들로 하여금 자신을 그렇게 만든 곳으로 몸을 던지게 유도한다.

<피리부는 사나이> 9회 10회에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공장 점거와 인질 사건이 등장한다. 수면 위로는 공장장을 비롯한 한국인 직원들을 볼모로 삼은 공장 점거였지만, 사건의 이면에는 수시로 인간을 때리고 모욕을 주며, 임금까지 체납한 파렴치한 악덕 기업주와 그 하수인들이 있다.

뉴타운 재개발에서부터, 외국인 노동자 임금 체납까지. <피리부는 사나이> 속 사건들은 이미 우리가 시사 다큐를 통해 본 익숙한 우리의 사회 현실이다.

법으로도 보호받지 못하는 영세 소상인들의 몰락

 <동네 변호사 조들호>는 법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영세 소상인들을 현실적으로 그려냈다.

<동네 변호사 조들호>는 법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영세 소상인들을 현실적으로 그려냈다. ⓒ KBS


잘 나가던 검사 시절, 대화 그룹 회장 아들이 벌인 사건인 줄 알면서도 검찰 수뇌부의 지시에 따라 덮었던 사건으로 인해 강일구(최재환 분)가 죽고, 노숙자 변지식(김기천 분)조차 살인범으로 몰리자, 모든 것을 포기한 채 노숙자로 살아가던 조들호(박신양 분)가 다시 변호사로 법정에 선다.

그가 변호해야 하는 변기식은 설렁탕 집을 내고 가족과 열심히 살아보려 했지만, 장사가 잘 되자 집주인이 내모는 바람에 가족과 헤어진 채 노숙자 신세가 된 사람이다. 조들호는 증인으로 그의 아들까지 동원하며 진실을 밝히려 했지만 결국 1심에서 패한다. 그는 방향을 바꿔 목격자인 치매 할머니를 등장시켜 항소심을 승리로 이끈다.

드디어 그는 '동네 변호사 조들호'란 간판까지 걸고 본격적인 변호사 활동을 시작하고자 한다. 그렇게 동네 변호사가 된 조들호의 첫 사건은 모처럼 함께 회식을 하러간 감자탕집에서 시작된다. 줄 서서 먹었다는 단골집이란 말이 무색하게 파리 새끼 한 마리 보이지 않는 감자탕집에서 조들호 일행이 식사를 하려 하자 '집주인'이란 사람이 빈 소주상자를 발로 차며 시끄럽게 등장한다.

침을 찍찍 뱉으며 식탁에 발을 올리는 등 불손한 자세로 일관하던 그는 이곳을 개발하려 하니 얼른 집을 비우라고 독촉을 한다. 분개하는 감자탕집 아들에게 '임대자 보호법'까지 운운하며 법대로 하잔다. 이어 철거 용역까지 등장하고 이들과 몸싸움을 벌이던 조들호는 설렁탕집에 이어, 감자탕집 주인을 위한 본격 '동네 변호사'가 된다.

<동네 변호사 조들호> 4회 조들호 일행에게 밀린 가게 주인이 찾아간 곳은 뜻밖에도 조들호가 해결하지 못한 뺑소니 사고의 범인 정회장의 아들이 있는 룸싸롱이었다. 그는 그 일대의 가게를 모조리 사들여 또 하나의 '뉴타운'을 만들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경찰 위기 협상팀(피리부는 사나이)와 변호사(동네 변호사 조들호)는 비록 하는 일은 다르지만, 그들이 일하는 과정에서 만난 사람들은 모두 서민들이다. 가족과 함께 살던 터전은 빼앗기고, 가족들은 죽거나 뿔뿔이 흩어지거나, 범죄자로 몰리거나 스스로 범죄자가 되는 '을들'의 현실을 드라마는 극의 주요한 갈등으로 끌어들인다.

거기에 한때 자신의 영달에 눈이 멀어, 애꿎은 사람들을 희생시키는 데 앞장섰던 앞잡이 노릇을 하던 주인공들의 '개과천선'이 더해져 정의의 싹이 핀다. 끓는 가마솥의 불길 속에서 서서히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각성과 위로를 주기 위해 드라마가 솔선수범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피리부는 사나이 동네 변호사 조들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6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말하는 몸'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함께 썼어요. 제보는 이메일 (alreadyblues@gmail.com)로 주시면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