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 지역 문화인 등 3500여 명이 동참한 부산국제영화제(BIFF)지지 성명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이 15일 오전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열렸다.
 부산 지역 문화인 등 3500여 명이 동참한 부산국제영화제(BIFF)지지 성명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이 15일 오전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열렸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부산시와 부산국제영화제(BIFF) 사이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BIFF가 신규 자문위원을 위촉하자 부산시는 이들에 대한 효력정지를 법원에 신청하며 맞불을 놓았다. 악화하는 상황에서 BIFF를 지지하는 지역 문화계는 부산시 행정에 쓴소리를 가하고 있다.

지역 문화인들은 15일 오전 부산시청을 찾아 BIFF 관련 정책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갈등의) 근본 원인은 문화예술의 본질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이라며 "부산시와 BIFF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태의 원인도 부산시가 표현의 자유, 영화제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부당한 간섭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시가) 마치 영화인들과 부산 문화예술인, 영화제와 부산시민들이 대립하는 양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면서 "불필요한 지역갈등을 유발하는 것에 대해 다수의 부산 문화예술인과 시민들은 우려를 넘어 깊은 분노를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은 표현의 자유 보장과 영화제 독립성 및 자율성 침해에 대한 사과·재발방지, 서병수 부산시장의 조속한 BIFF조직위원장직 사퇴 실행과 여론조장·법적 분쟁 중단 등을 요구했다.

기필코 정관개정 막는다는 부산시, 계속된 법정 다툼 예고

하지만 부산시는 하루 앞선 지난 14일 오후 부산지방법원에 BIFF 신규 자문위원 68명의 효력을 중지해달라는 임시처분 신청을 이미 제출한 상태이다. BIFF 측에 우호적인 신규 자문위원들이 영화제 정관을 개정하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이들 신규 자문위원은 BIFF 조직위원회 총회 의결권도 갖게 되는데, 그 경우 정관 개정이 가능한 2/3선을 넘게 되기 때문이다. BIFF 측은 이미 지난달 25일 열린 총회에서 정관 개정을 위한 임시총회 소집을 발의한 상태이다.

이날 총회에서 시를 대표해 BIFF조직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서 시장은 임시총회 개최에 동의하지 않으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지만, BIFF는 서 시장이 거부해도 총회를 열 수 있는 절차에 돌입했다. 정관상 임시총회는 조직위원장의 동의없이도 자문위원들의 의결로 개최할 수 있게 되어있다.

임시총회를 막는 것이 불가능해진 부산시 입장에서는 적어도 정관 개정까지는 못하도록 신규 자문위원들의 효력을 정지시키는 것이 급하게 됐다. 부산시는 법적 대응과 함께 BIFF 측과 대화를 이어가고 있지만 별다른 진척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상황이 꼬여가며 부산시는 계속된 법적 공방을 예고하고 있다. 시는 가처분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총회가 열리더라도 이를 저지하기 위한 가처분 신청을 또 낸다는 방침이다.


태그:#부산국제영화제, #BIFF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