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0월 27일 국회에서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위해 박근혜 대통령이 본회의장으로 들어간 후에도 정의당 의원들이 '국정교과서 반대'  현수막을 펼치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지난 10월 27일 국회에서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위해 박근혜 대통령이 본회의장으로 들어간 후에도 정의당 의원들이 '국정교과서 반대' 현수막을 펼치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중고교<역사> 교과서의 국정화에 동조했다가 무더기 회원 탈퇴 등 '된서리'를 맞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가 이번엔 세계최대 교원단체를 비판하고 나섰다(관련기사: '국정화 찬성' 후폭풍 한국교총... '탈퇴선언' 줄이어).

박근혜 대통령에게 '국정화 반대' 서신을 보낸 것을 문제 삼은 것이지만, 한국교총 또한 과거엔 국정교과서를 반대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한국교총, 세계최대 교원단체연합에 "반민주적 작태"?

정부의 국정화 확정 고시 발표일인 지난 3일, 한국교총은 국제교원단체총연합회(EI)가 10월 29일 박근혜 대통령 등에게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항의서한을 발송한 것과 관련해 "대한민국 국민의 의사를 무시한 부당한 행태"라면서 "이에 대해 EI본부와 전 세계 교원단체장에게도 (반박) 서한을 보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교총은 성명을 내어 "최근 검·인정제도 하에서 발행된 한국사 교과서 8종 중 7종이 좌편향으로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점에서 '좌파 교과서'라는 오명을 받은 지 오래되었다"면서 "이번 EI의 항의서한은 한국의 전반적인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정치적으로 한쪽의 손을 들어주는 등 대한민국 정치에 부당히 개입한 반교육적인 처사"라고 비판했다.

앞서 EI는 지난 10월 29일 박 대통령과 황우여 교육부장관에게 '국정교과서 계획 철회'를 촉구하는 긴급 서한을 보냈다. 세계 172개국 3250만 명의 교원을 대표하는 최대 교원단체인 EI에는 한국교총 역시 가입돼 있다.

EI는 서한에서 "저희들은 중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수를 한 가지로 제한하고, 2017년까지 정부의 통제 하에서만 역사교과서를 개발하고자 하는 귀 정부의 계획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자 이 서한을 보낸다"면서 "이는 인권과 표현의 자유와 관련해서 심각한 퇴행으로 여겨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EI는 국제노동기구(ILO)와 유네스코(UNESCO)의 1966년 '교사의 지위에 관한 권고 보고서'와 2013년 유엔 68차 총회에서 채택된 '문화적 권리 분야에 대한 UN 특별 보고관의 보고서' 등을 박 대통령에게 상기시켰다.

이들 보고서에는 "(역사)교과서는 교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폭넓게 발행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영삼 정부 때 "경쟁원리 도입하면 훨씬 질 높은 <국사>될 것"

1994년 3월 30일자 한국교총 기관지의 사설.
 1994년 3월 30일자 한국교총 기관지의 사설.
ⓒ 윤근혁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이처럼 EI를 비판하고 나선 한국교총도 김영삼 정부 시절에는 '<국사> 국정교과서'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교총의 기관지인 <한국교육신문> 1994년 3월 30일자 사설은 "아직도 국어와 국사가 국정교과서로 묶여 있어야 할 당위성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일선의 목소리임을 경청해야 할 것"이라면서 "교과서는 경쟁원리를 근간으로 자격 있는 연수자(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사설은 "만약 이 같은 경쟁원리가 도입된다면 국정의 국어교과서나 국사교과서보다 훨씬 질 높은 민간의 국어교과서, 국사교과서가 쓰일 것을 의심치 않는다"면서 "그것이 국어이든 국사이든 국가 주도의 국정교과서를 재고해야할 시점이 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덧붙이는 글 | 인터넷<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보냅니다.



태그:#국정교과서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