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창원시는 22일 동네서점 살리기 간담회를 열었다.
 창원시는 22일 동네서점 살리기 간담회를 열었다.
ⓒ 창원시청

관련사진보기


창원시가 동네서점 살리기에 나서 관심을 끈다. 앞으로 창원시는 '지역서점 인증제'를 도입하고 도서관·평생교육시설 등에서 구입하는 도서는 모두 지역서점에서만 하기로 했다.

창원(옛 창원․마산․진해)도 동네서점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창원에는 서울에 본사를 두고, 1000평 이상이 되는 대형 서점 두 곳이 있다.

동네서점은 모두 49곳. 창원 읍·면·동 숫자(62개)보다 적다. 10여년 전과 비교하면 동네서점은 1/3 가량 줄어들었다.

동네서점이 줄어드는 가장 큰 원인은 대형서점이 지역에까지 매장을 두기 때문이다. 또 독서인구가 줄어들고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영향력이 커진 것도 이유다.

서점은 매장에 오는 구매자한테 책을 판매하는 것도 있지만, 학교나 도서관 등에 납품하기도 한다. 학교나 도서관 납품은 대부분 최저입찰 방식이다.

창원지역 서점업계에 따르면, 일부 서점이 입찰을 거의 독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서점은 다른 서점의 명의를 빌리거나 매장이 없는 '유령서점'을 만들어 입찰하고 있다.

한 서점 관계자는 "창원에 있는 한 서점이 다른 서점의 명의만 빌려 거의 대부분 입찰을 차지하고, 어떨 경우에는 시골에 주소를 두고 지금은 운영하지 않는 서점의 명의를 빌려 입찰하기도 한다"며 "그렇다보니 동네서점이 낙찰받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서점은 '허가제'가 아니라 누구나 신고만 하면 할 수 있는 '신고제'다. 쉽게 말해 매장이 없어도 서점명의만 갖고 관공서의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한국서점조합연합회는 자체적으로 '서점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매장을 두고 일정액의 회비를 내면 인증제를 해주는 제도다. 이 제도는 아직 지역에까지 확산하지는 않고 있다.

동네서점 살리기 추진 계획은?

23일 창원시는 동네서점 살리기 정책을 펼친다고 밝혔다. 22일 창원교육지원청, 공공도서관, 창원시서점조합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었다. '동네서점 살리기' 추진계획을 논의하고, 앞으로 창원시와 지역 서점들이 협약 체결을 해나가기로 했다.

창원시에 따르면, 안상수 시장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지역경제와 골목상권의 활성화, 지역문화 창출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동네서점이 대형유통업체의 시장 독식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시 차원에서 고사 위기에 빠진 동네서점 살리기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우선 창원시는 '지역서점 인증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등록된 서점에 대해 철저하게 현장 조사를 해서, 실제 매장을 두고 주 50시간 이상 운영할 경우 '지역서점 인증'을 하기로 했다.

창원시는 인증을 받은 서점과 우선 계약을 체결했다. 창원시 경제국 담당자는 "서점이 자유업이다 보니 등록만 해놓고 매장이 없어도 된다. 그렇다 보니 이른바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입찰을 받는 사례가 있었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역서점 인증제를 실시할 것"이라 밝혔다.

또 '지역서점 구매 의무화'를 추진한다. 내년부터 창원시는 문화도서관사업소, 공공도서관, 평생교육시설(작은도서관·마을문고·평생교육센터) 등 총 96곳에서 구입하는 도서는 모두 지역 서점에서만 하기로 했다.

내년 창원시 관내 96곳의 도서구입 예산은 10억 원인데, 이를 모두 동네서점에서만 하기로 한 것이다. 창원시 담당자는 "그동난 동네서점 구입 비율은 25% 정도였는데, 내년부터는 100%로 확대될 예정"이라며 "전국적으로 이같은 정책을 시행하는 지자체가 일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경남에서는 처음"이라 말했다.

또 창원시는 '도서 구입 방식의 수의계약 전환'을 하기로 했다. 창원시는 "도서정가제 개정으로 동네서점도 공공기관의 도서 납품에 참여할 길이 열렸지만 아직 실적은 저조하다"며 "현재 공개입찰로 이루어지는 도서구입 방식을 수의계약으로 전환할 것"이라 밝혔다.

창원시 담당자는 "도서 납품을 동네서점 순환제로 할 계획이고, 구체적인 기준을 만들어 시행할 것"이라 밝혔다. 창원시 송성재 경제국장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네서점이 다시 살아나 시민들의 사랑방이자 문화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철 창원시서점조합장은 "동네서점은 골목상권이다. 지금은 거의 도태되다시피했다. 가장 큰 원인이 유령사업자들이 등록증을 갖고 공공기관의 도서 납품에 입찰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유령서점이 없어지고, 동네 서점이 살아날 수 있게 하는 창원시 정책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태그:#동네서점, #창원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