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여성들이 뿔났다."

경남여성단체연합 등 여성단체로 구성된 '제20대 총선 여성 국회의원 30% 실현을 위한 여성공동행동'은 22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유권자 비례성 확대, 여성 대표성 강화"를 촉구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회의원 숫자와 비례대표수 등에 대해 논란이 많은 가운데, 여성단체들이 공동입장을 냈다. 특히 새누리당이 비례대표 축소를 거론하자 여성단체들은 '민주주의 역행'이라 지적했다.

 ‘제20대 총선 여성 국회의원 30% 실현을 위한 여성공동행동’은 22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유권자 비례성 확대, 여성 대표성 강화”를 촉구했다.
 ‘제20대 총선 여성 국회의원 30% 실현을 위한 여성공동행동’은 22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유권자 비례성 확대, 여성 대표성 강화”를 촉구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여성공동행동은 "새누리당은 정치 불신의 민심을 빙자하여 의원정수 확대 절대 불가라는 원칙을 내세우고, 농어촌 지역 대표성 확보를 핑계 삼아 '비례대표 의석 축소, 지역구 의석 확대'를 주장함으로써 절반 유권자의 표가 사장되는 현실을 외면하고 현행 승자독식의 정치구조를 강화하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정치개혁을 자신들의 밥그릇 싸움으로 변질시키고, 민주적 헌법 가치를 희생시키며 자신들의 기득권을 사수하겠다는 집권 여당의 결연한 의지를 표출한 것에 다름 아니다"고 덧붙였다.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해, 이들은 "혁신적인 정치개혁안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개혁 논의는 뒷전에 두고 당내 분열과 혼란으로 야당의 본분을 망각하고 선거제도 개악의 공범자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는 양성평등기본법을 지킬 것을 촉구했다. 여성공동행동은 "국제의회연맹이 올해 8월 1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한국의 여성의원비율은 조사대상국 190개국 가운데 111위에 머물렀다"며 "현재 국회는 전체 국회의원의 84.7%, 지역구 국회의원의 92.3%가 남성 정치인들로 채워져 남성 정치 독점구조가 공고한 상황"이라 밝혔다.

이어 "이는 국회가 입법하고 지난 2015년 7월 1일 발효된 양성평등기본법에도 철저히 위배되는 현상"이라며 "양성평등기본법은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정치 참여'를 명문화하고 있다. 국회는 자신들이 만든 법을 지키기 위해 과연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고 덧붙였다.

비례대표 확대가 성평등 국회의 지름길이라는 것. 이들은 "비례대표 확대는 여성, 소수자의 대표성을 보장하며 사회적 대표성을 실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방패막이다"고 했다.

이들은 "매 선거 때마다 천만 표에 달하는 사표를 방지하고 유권자들의 의사를 더욱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비례대표제의 확대는 시대적 사명이다"며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보장하고 유권자의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는 제도인 비례대표를 축소하려는 정치권의 시도를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성공동행동은 "19대 국회는 선거제도 개혁의 책무를 조속히 이행할 것", "국회는 자신들이 만든 양성평등기본법을 지킬 것", "천 만 표 사표 방지, 비례대표 확대할 것", "여성대표성 강화하여 성평등 국회 실현할 것"을 촉구했다.

여성공동행동은 경남여성단체연합, 경남여성연대, 전국여성노동조합 경남지부, 경남다문화강사모임,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 새정치민주연합 여성위원회, 경남녹색당 등 50여 개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태그:#국회의원, #비례대표, #여성공동행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