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상남도(홍준표 지사)가 2억8000만 원을 들여 대중가수 등을 초청해 '광복 70주년 경축음악회'를 열고, 공무원 동원을 위한 공문을 시·군에 보내 논란을 빚고 있다.

경남도는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평화 염원과 도민의 역량을 결집, 대한민국의 도약과 번영을 다짐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광복 70주년 경축음악회'를 연다"라고 밝혔다.

이 음악회는 오는 15일 오후 6시 30분 창원 소재 경남도청 광장에서 열린다. 인순이, 혜은이, 최정원, 김동규, 경남팝스오케스트라 등이 출연하고, '경남 발전상 사진전' '무궁화 꽃동산 조성' 등 부대행사가 열린다.

'시·군 공무원 참관 요청' 공문... 경남도 "강제 아니다"

경상남도는 오는 15일 저녁 경남도청 광장에서 '광복 70주년 경축음악회'를 열기로 하고, 시군에 공문을 보내 '공무원 참관'을 요청했다.
 경상남도는 오는 15일 저녁 경남도청 광장에서 '광복 70주년 경축음악회'를 열기로 하고, 시군에 공문을 보내 '공무원 참관'을 요청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경남도는 최근 시·군에 '음악회 홍보와 참관 협조 공문'을 보냈다. 경남도는 시·군 누리집 팝업창과 시·군보에 행사 내용을 게재하도록 했다. 그러면서 경남도는 '시·군 공무원 참관 요청'하면서, 시는 대형버스 두 대와 군은 대형버스 한 대를 동원하도록 했다. 이같은 공문을 받은 일부 시·군에서는 읍·면·동별 내지 부서별로 공무원을 할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문을 받은 시·군에서는 '공무원 강제동원'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신헌호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남지역본부 본부장 직무대행은 "경남도에서 전화상 구두로 해도 시·군은 부담이 되는데 공문을 받으면 더 강제성으로 느껴진다"라면서 "시·군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인다고 하더라도, 공문 내용은 공무원 강제동원으로 받아들여진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 문화예술관 관계자는 "공무원 강제동원은 오해다, 시·군에서 유관단체나 개인이 음악회에 참석할 경우 버스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라면서 "몇 군데 항의 전화가 와서 공무원 강제동원을 하지 말라고 했다, 일부 시·군에서는 명단을 내도록 했다고 해서 그것도 못하도록 했다"라고 밝혔다.

"예산 절감에 반대되는 행사" vs. "생각하기 나름"

한편, 광복절 경축음악회에 많은 예산을 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까지 경남도는 광복절 때마다 강당에서 간단한 기념식을 열어왔다. 많은 예산을 들여 가수를 초청해 음악회를 열기는 처음이다.

차윤재 경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대표는 "홍준표 지사는 예산 절감을 내세우고, 또 그것을 자랑해왔다, 학교 무상급식 중단과 진주의료원 폐원도 예산 절감 차원이라 주장했다"라면서 "이번 음악회는 그런 도정과 반대되는 예산 집행이다, 문제가 있다"라고 꼬집었다.

김유철 경남민예총 부회장은 "국가적으로 광복 70주년 행사를 왜 강조하는지 그 의도를 모르겠다, 더구나 진정한 광복은 분단 극복이어야 한다"라면서 "그런데 정부도 그렇고 경남도 차원의 행사도 그런 고민을 한 흔적이 적어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가수 초청해서 이벤트 쇼하는 형태는 바람직하지 않다"라면서 "예산 타령하면서, 아무리 문화예술이라 하더라도 이렇게 혈세를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말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경남도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생각하기 나름이다, 국가 차원에서 행사를 권장하고 다른 시·도에서도 비슷한 행사를 한다"라면서 "광복 70주년의 의미를 가지기 위해 음악회를 열기로 했고, 되도록 지역 출신 가수를 초청하려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태그:#광복절, #음악회, #경상남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