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생존 위기에 놓인 OBS경인TV(이하 OBS)를 살리기 위한 각계각층의 지지가 이어지고 있다.

OBS는 2007년 개국 후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매해 200억~400억 원 적자로 지금까지 투입한 자본금 1431억 원의 97%를 잠식했다.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 이상 올해도 적자가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렇게 되면, 자본금 전체를 잠식해 방송 재허가를 받기 힘들다.

OBS의 경영이 이렇게 어려워진 이유는 여러 가지다. 경영진의 무능도 있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 8년 동안의 방송정책도 한몫했다. 방송사의 주요 수입원인 방송광고와 관련해 OBS의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차별해왔다는 비판이 대세다.

이 때문에 7월 초로 예정된 방송통신위원회(아래 방통위)의 '2015년 방송광고 결합판매 비율' 고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고시를 앞두고 OBS 전 직원뿐 아니라, 경인지역 시민사회·언론단체 등이 OBS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방통위를 압박하기 위한 릴레이 1인 시위를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한 달 가까이 전개하고 있다.

이 1인 시위에는 지난 6월 3일 이훈기 전국언론노동조합 OBS지부장을 시작으로 매일 OBS 직원 1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 12일 박세진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노조 위원장, 24일 김환균 전국언론노조 위원장 등 언론인들의 연대 시위로 이어지고 있다.

시민사회도 동참하고 있다. 지난 15일 백준수 인문학도서관 '두잉' 관장과 전송철 전국금속노조 인천지부 사무국장, 16일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준) 사무처장이 1인 시위에 동참했다.

17일에는 인천시민연대 박재성 운영위원장과 최정임 사무국장, 인천사람연대 권순욱·이경호·장시정씨가 피켓을 들었다. 18일에는 KBS 새 노조 권오훈 위원장과 함철 수석 부위원장, 임순혜 경기미디어 시민연대 공동대표가 1인 시위를 이어갔다.

권오훈 KBS 새 노조 위원장, 김환균 언론노조 위원장, 송무호 민주행동경기원탁회의 공동 상임대표, 임순혜 미디어기독연대 대표.(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권오훈 KBS 새 노조 위원장, 김환균 언론노조 위원장, 송무호 민주행동경기원탁회의 공동 상임대표, 임순혜 미디어기독연대 대표.(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 한만송

관련사진보기


23일에는 민진영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과 송무호 민주행동경기원탁회의 공동 상임대표 등 7명이 OBS 직원들과 함께 릴레이 시위를 하며 OBS 생존과 경인지역 시청권 유지 대책을 방통위에 촉구했다.

권오훈 KBS 새 노조 위원장은 "지난날 우리는 종편(=종합편성채널)의 탄생과정에서 의무편성, 황금채널, 방송발전기금 납부 면제 등의 특혜를 준 것을 지켜봤다"며 "결과적으로 종편은 살고 차별 받아온 OBS는 죽게 생겼다. 이제는 방통위가 OBS를 살릴 것인지 아니면 죽일 것인지 분명한 답을 내놔야한다"고 했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준) 사무처장은 "OBS는 시청자들의 힘으로 만든 방송이다. 경인지역을 대표하는 이러한 방송이 방통위의 정책 차별로 역할을 제대로 못한다면 시청자들은 다시 일어설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26일엔 조능희 MBC 노조 위원장이 참석하고, 의왕과천민주수호시민모임이 지속적인 동참을 약속하는 등, 언론인과 시민들의 1인 시위 동참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국회 미방위, 'OBS 생존 해법' 촉구…최성준 방통위원장, "대책 마련할 것"

한편, 지난 16일 열린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이하 미방위) 업무보고에서는 OBS생존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의원들의 질의가 이어졌다.

송호창(의왕ㆍ과천) 의원은 "OBS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다. 방통위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고, 경인지역 국회의원 58명이 (방송광고 결합판매 비율 개선을 요구하는) 서명을 했고, 경기도지사와 인천시장도 문제 해결하라고 촉구하고 있는데, 아직 뚜렷한 대책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문병호(부평 갑) 의원은 "OBS 방송광고 결합판매 비율을 5.3%로 인상해야한다는 결론(용역 보고서)이 있던데, 방통위에서 이를 현실적으로 실천할 생각이 있느냐?"고 물었다.

최원식(계양 을) 의원도 "용역에서 OBS 지원 필요성은 정리됐다"며 "이제 방통위에서 소극적 태도보다 결단을 내려야한다"고 촉구했다.

OBS노조에 따르면,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OBS가 수중계(편성 프로그램 중 서울의 방송사로부터 수급 받는 프로그램) 없이 자체 편성을 하고 자체 제작 비율이 상당히 높기에 그런 것에 대해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며 "이해 관계자 간 이견 조정을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최 위원장은 일각에서 OBS 방송광고 결합판매 비율 조정의 걸림돌로 지적했던 증자와 관련해선 "(OBS) 대주주와 이야기를 해서 증자 약속을 직접 받기도 했다"며 "7월까지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겠다는 답도 들었다"고 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isisa.net)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OBS, #OBS경인TV, #방송통신위원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