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엄지뉴스

관련사진보기


서울시 교통요금이 지하철 200원, 버스 150원씩 각각 인상된다. 이렇게 되면 교통카드 기준으로 지하철 요금은 현행 1050원에서 1250원, 버스 요금은 1050원에서 1200원이 된다.

서울시는 18일 대중요금 요금조정안에 대한 물가대책위원회 심의를 완료했다면서 오는 27일 첫차부터 일제히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물가대책위는 지난 12일 한 차례 요금조정안을 보류했다가 이번에 통과시킨 것이다. 서울시 교통요금 인상은 지난 2012년 2월 버스와 지하철 모두 150원씩 인상한 이후 3년 4개월만이다.

시는 그 대신 '조조할인제'를 도입, 오전 6시 30분 이전에 카드를 태그한 승객에 대해서는 기본요금 20%를 할인해 줄 예정이다.

조조할인이 적용되면, 처음 승차한 교통수단에 한해 지하철은 1000원, 버스는 960원이 돼 기본요금보다도 싸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청소년과 어린이 요금은 현재 수준인 720원과 450원으로 각각 동결했으며, 다만 어린이 현금 할증을 폐지해 카드와 현금에 동일 요금을 부과한다. 청소년은 버스 이용시 신분확인으로 인한 운행지연과 사고를 막기위해 현금은 일반요금을 적용한다.

서울시는 또 서울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영주권을 가진 외국인들도 내국인과 균등하게 무임승차 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이 같이 요금인상으로 얻어진 재원으로 대중교통 안전 분야에 재투자하고 서비스 개선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최근 박원순 서울시장은 출입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올해 버스요금 인상을 꼭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2년 후에 100원 내린다는 다짐을 하고 올렸다"고 말한 다음, "오세훈 시장이 5년간 안 올려서 (내가) 취임하고 올렸고, 이번에 안 올리면 내년 총선 있어서 못 올리고, 한 1~2년 지나면 또 내 선거가 온다"며 "이명박 시장 시절 환승시스템 도입하면서 어마한 혜택을 줬는데 지금 결국 버스만 5천억 적자라서 결국은 그게 그거였다"며 인상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유가는 내렸는데..." 누리군 비난 일색

그러나 교통요금 인상에 대한 시민들의 시선은 따갑기 그지 없다.

특히 메르스 사태 여파로 뒤숭숭한 이 시기에 서민들과 가장 밀접한 교통요금을 꼭 올려야하느냐는 의견이 많았다.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oosm****'는 "메르스로 국민들이 힘들어하는 이때에 슬그머니 요금 올리네. 이게 서민을 위한 시장이냐?"고 말했고, 'ksg2****'도 "메르스 땜에 나라가 시끄러운데 이 틈을 타 교통비 올려버리네 타이밍봐라"고 올렸다.

다음의 '아몬드쵸코'는 "이번 메르스 위험 알렸다고 박 시장이 하는 거 전부 찬성 아니니 정신차리길~!!!"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요금인상으로 서민 생활의 압박을 우려하는 사람도 많았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대중교통 요금을 5%도 아니고 20% 기습인상이라니.."(다음 'ntciqzy'), "직장인 월급도 안 오르고 유가도 내리는데 교통요금은 또 올리냐~"(네이버 'nsh8****')과 같이 하소연하거나 "자전거로 출근해야겠다"(네이버 'kimm****')고 체념하기도 했다.

'조조할인제에 대해선 "앞으로 회사출근은 6시 30분 이전에 대중교통 타야 할인 받는구나. 서민들은 더 일찍 출근해서 열정적으로 일하라는 배려인가?"(다음 '쿠키런마스터')라고 비꼬는 의견도 있었으며, "아니 우리가 왜 외국인 무임승차까지 돈을 내줘야 합니까?"(네이버 'okic****'라며 일부는 외국인에게 적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김경호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이번 요금인상은 메르스 사태 이전인 지난해 8월부터 시의회,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 등과 협의해 추진해왔던 것"이라며 "시민들의 반대여론이 많다는 것은 알지만, 그렇다고 해서 올리지 않으면 결국 시민 세금으로 보전할 수밖에 없다"고 시민들의 이해를 구했다.

○ 편집ㅣ최은경 기자



태그:#서울시, #교통요금인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