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구 남구청 공무원 A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기까지 근무했던 대명3동 주민센터의 문이 굳게 닫혀 있다.
 대구 남구청 공무원 A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기까지 근무했던 대명3동 주민센터의 문이 굳게 닫혀 있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대구시가 지난 17일 메르스 환자인 공무원 A(52)씨의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해 실명을 공개했지만 또 다른 제보에도 불구하고 행선지와 접촉자가 누락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대구시는 이날 오후 2시 대구시청 기자실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남구 대명3동 주민센터에 근무했던 공무원 A씨가 서울삼성병원을 다녀온 후인 지난 4일부터 15일까지 동선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권영진 시장이 직접 A씨의 동선이 파악된 내용을 설명하면서 환자 본인의 진술과 휴대전화 통화내용, GPS 추적, 신용카드 사용내역, CCTV 확인, 접촉자와의 대질과 제보 등을 통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A씨가 지난 9일 주민센터에 출근해 오전 10시경 구청 공무원이 방문해 업무를 협의하고 11시에서 12시까지 지역 장애인 2명이 찾아와 상담을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A씨가 이날 오전 무료급식센터를 방문해 노인들과 자원봉사자 등에게 인사를 한 사실은 누락돼 있다.

당시 A씨는 오전 11시 10분에서 20분 사이 주민센터에서 500여 미터 떨어진 무료급식소를 찾아 약 100여 명의 노인과 인사를 나누고 급식을 준비하고 있던 주방에까지 들어와 10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에게 인사를 하고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A씨가 찾은 무료급식소는 Y봉사클럽에서 매월 둘째와 넷째 주 목요일 무료급식을 진행하고 있으며 무료급식을 할 때마다 300~400여 명의 노인들이 찾고 있다. 그렇지만 오전인 이 시간대에는 조금 이른 시간이어서 그리 많지는 않았다.

이날 메뉴로 콩국수를 준비했던 Y봉사클럽 S사무국장은 양이 모자라자 국수를 사러 갔다 와 A씨의 방문을 몰랐다. 이후 이날 방문한 A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라는 사실을 알고 17일 오전 남구청에 신고하고 봉사회원과 노인들에 대한 조치를 요구했다.

신고를 한 이후에도 아무런 조치가 없자 S사무국장은 오후에 다시 남구청에 전화를 해 항의했다. 그러자 남구청 관계자가 S사무국장에게 전화를 걸어와 A씨와 접촉한 명단을 요구해 봉사단원 중 A씨와 인사를 나누었던 7명의 명단을 작성해 통보했다. 하지만 18일 오전까지 아무런 조치도 내리지 않고 있다.

대구시도 추가로 드러난 A씨의 동선은 없다고 자신했다. 18일 오전 10시에 열린 메르스 관련 브리핑에서 정태옥 부시장은 "어제 발표한 동선 이외에는 없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추가 동선이 드러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S사무국장은 18일 오전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명단을 확보했으면 어떤 조치를 내리든지 해야 하는데 아무런 연락도 없다"며 "방역도 한 번 해주지 않고 있어 불안하다"고 말했다.

S국장은 이어 "메르스 확진환자가 버젓이 무료급식소에 드나든 것도 문제지만 동선에서 누락되었다는 사실을 신고했는데도 묵살한 남구청이나 대구시는 시민들을 위해 제대로 대처하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태그:#대구 메르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