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공용브리핑룸에서 메르스와 관련 서울시 브리핑에 대한 보건복지부 입장 및 의료기관 내 접촉자 관련 조치계획등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공용브리핑룸에서 메르스와 관련 서울시 브리핑에 대한 보건복지부 입장 및 의료기관 내 접촉자 관련 조치계획등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보건복지부가 뒤늦게 평택성모병원을 메르스 사태의 진원지로 지목하며, 특정 기간 이곳을 방문한 모든 시민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병원을 공개하라는 국민들의 여론이 빗발침에도 '국민 불안'을 이유로 병원 비공개를 고수해왔다. 하지만 지난 4일 해당 병원이 높은 감염률을 보여 적극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민관종합TF의 의견에 따라 공개를 결정했다. 해당 병원에서만 메르스 사망자 2명을 포함해 확진자 30명이 나온 뒤였다.

뒤늦은 전수조사... "5월 15일~25일 방문자 신고해달라"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5일 오전 브리핑에서 "민간전문가들과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특히 이 병원이 다른 병원들에 비해서 원내 접촉자가 높은 감염력을 보이는 특성을 보였다"며 "병원 내 모든 접촉자를 보다 능동적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어 병원을 공개하게 됐다"고 전했다.

또한 문 장관은 "금번 메르스 확산은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평택성모병원에 5월 15일에서 29일 사이에 계셨던 분들 중에서 대부분의 환자가 발생했다"며 "41명의 환자 중 30명의 환자가 이 병원에서 발생하였으며 병원 내 감염 환자도 모두 이 병원의 환자에 의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제와서 병원을 공개한 것이 시의적절 했느냐는 지적에는 "역학조사 결과 평택성모병원은 시설을 폐쇄하고 소독한 지 열흘이 지나서까지 바이러스가 검출됐다"며 "밀접접촉자뿐만 아니라 방문자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는 이 기간 사이에 평택성모병원을 방문한 모든 시민을 전수조사 하겠다고 밝히며 방문 사실이 있는 시민은 당국에 알려줄 것을 요청했다.

문 장관은 "그동안 해당 병동의 입·퇴원 환자나 의료진에 대해서는 추적 관리를 해 왔지만 위험시기에 이 병원을 방문한 모든 분들의 신고를 접수해서 위험증상 여부를 확인하려 한다"며 "평택시민을 비롯한 경기도민 중 지난 5월 15일~25일 평택성모병원을 방문했다면 경기도 콜센터 또는 보건복지부 콜센터로 연락 해달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신고 접수 후에 개별 문진을 실시해, 증상이 의심되면 보건인력이 임시 격리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한 뒤 검사 및 모니터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증상이 없는 사람은 자가격리를 하게 되며, 희망자에 한해 시설격리도 가능하다. 다만 문 장관은 "5월 15일~25일 외에 방문한 것은 메르스 감염과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조치는 평택성모병원으로 인해 확산되는 메르스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해서 평택시 등 지역 주민의 건강을 지키고 불안을 덜기 위한 조치"라며 "지나치게 과도한 걱정으로 불필요한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현명한 대처를 당부드린다"고 재차 강조했다.

○ 편집ㅣ홍현진 기자



태그:#평택성모병원, #메르스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좋은 사람'이 '좋은 기자'가 된다고 믿습니다. 오마이뉴스 정치부에디터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