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OBS 생존과 시청자 주권 사수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5월 27일 방송통신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사 위기에 놓인 OBS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김창곤 민주노총 인천지역본부장이 성명서를 읽고 있다.<시사인천 자료사진>
 ‘OBS 생존과 시청자 주권 사수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5월 27일 방송통신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사 위기에 놓인 OBS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김창곤 민주노총 인천지역본부장이 성명서를 읽고 있다.<시사인천 자료사진>
ⓒ 한만송

관련사진보기


방송통신위원회(아래 방통위)가 이달 중으로 '2015 방송광고 결합판매 비율'을 고시할 예정인 가운데, OBS경인TV(이하 OBS)는 정말 막다른 길에 섰다. 쥐 신세인 OBS 구성원들은 고양이를 물 기세다.

OBS는 2007년 개국 후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매해 200억~400억 원 적자를 내며 지금까지 투입한 자본금 1431억 원의 97%까지 잠식한 상태다. 방통위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OBS는 올해마저 적자가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렇게 되면, 자본금 전체를 잠식하고, 방송 재허가도 받기 어렵다. 공익적인 역할도 할 수 없게 된다.

결국 OBS 노사는 최근 임금 12%를 삭감하기로 타협했다. 대신 회사는 최근 시행하려한 정리해고를 하지 않기로 했다. 그리고 이제 노사 공동으로 방통위 앞에서 릴레이 시위를 하기로 했다.

3일 릴레이 시위의 첫 주자로 나선 이훈기 전국언론노동조합 OBS 노조 지부장은 "OBS 구성원들은 이미 지상파 최저수준 급여와 최악수준 노동 강도를 겪고 있다"며 "전 직원들은 이번 한 번이 아니라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왔다"고 밝혔다.

OBS 노사가 공동으로 요구하는 것은 방송광고 결합판매 비율 인상이다. OBS의 방송 프로그램 자체 제작 비율이 41.5%로 높은 만큼 방송광고 결합판매 비율을 2.5% 올려 달라는 것이다. 결합판매 비율을 2.5% 인상할 경우 연간 광고매출액이 139억 원 증가해 재정 적자로 인한 경영 불안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는 게 OBS 쪽의 계산이다.

이번 릴레이 시위는 'OBS 생존과 시청자 주권 사수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 지부장의 1인 시위를 시작으로 하루 10명씩 전 직원이 시위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 시위는 방통위의 적절한 조치가 있을 때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최동호 OBS 총괄본부장을 비롯해 보도·경영국장 등도 동참할 예정이다. 경인지역 시민사회와 정치권도 지원 준비를 하고 있다.

OBS지부 관계자는 "방통위가 종편에 베푼 의무 재송신을 통한 전국 방송, 황금채널 배정, 방송발전기금 납부 면제 등 각종 특혜의 '반의 반' 만이라도 OBS에 줬다면 OBS는 지금과 같은 비극을 직면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이번엔 노사가 공동으로 대응하는 만큼 방송광고결합판매 고시에 변동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OBS 회사 쪽 관계자는 기자와 한 전화 통화에서 "1인 시위 등은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회사는 기본적으로 방통위와 정책을 조율하고 있다"고 한 뒤 "노조가 직원 동참을 공식적으로 요청했고, 회사는 업무를 조정해주는 협조를 할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노사가 벼랑 끝에 내몰린 현 상황을 공동으로 인식하고, 해법을 찾기 위해 함께 움직이기로 한 것이라 의미는 커 보인다.

전국언론노동조합 OBS희망조합 이훈기 지부장이 과천 정부청사 입구에서 방송통신위원회의 OBS 대책을 요구하는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 : OBS노조>
 전국언론노동조합 OBS희망조합 이훈기 지부장이 과천 정부청사 입구에서 방송통신위원회의 OBS 대책을 요구하는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 : OBS노조>
ⓒ 한만송

관련사진보기


한편, 이날 릴레이시위 돌입기자회견에는 경인지역 시청자와 다른 방송사 직원들도 참가했다. 경기도 시청자로서 기자회견에 참석한 임순혜 경기 미디어시민연대 공동대표는 "iTV 정파부터 OBS개국 그리고 지금까지 OBS 노동조합원들과 함께 했다"며 "옆에서 볼 때 이들이 원하는 것은 좋은 방송, 제대로 된 언론인이 되겠다는 것 뿐인데 방통위가 이제는 대답을 할 때"라고 말했다.

권오훈 전국언론노동조합 KBS 본부장도 "과거 시사프로그램을 할 때 OBS 동지들의 투쟁을 취재했는데, 그로부터 수년이 흘렀는데도 같은 처지라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이번에야말로 OBS의 생존권을 옥죄고 있는 결합판매고시비율을 제대로 바로잡아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능희 MBC 본부장도 "모든 것은 원칙의 문제"라고 전제하고 "방통위가 원칙을 지킨다면 문제는 없었다"며 "국민혈세를 들여 진행한 광고연구용역을 받아들여 이번 결합판고시를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정배 EBS 지부장은 "종편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안 할 수 없다"면서 "종편에는 중간광고, 의무전송 등 온갖 특혜를 몰아주면서 지역방송사로서 자기소임을 다하려는 OBS는 역외재전송도 몇 년이나 지연하는 등 차별과 홀대를 서슴없이 자행했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6월 안에 2015 방송광고 결합판매고시 개정의 주요 내용을 정할 방침으로 이달 말이나 늦어도 7월 중에 2015년 고시를 최종 의결한다는 방침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isisa.net)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OBS, #방송통신위원회, #방송광고결합판매, #종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